• Title/Summary/Keyword: 조직문화 프로파일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Network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Two-mode Network Analysis and MR-QAP (개인 및 조직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이원 네트워크 분석과 MR-QAP 방법론 활용을 중심으로)

  • Boyoung Jung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4 no.4
    • /
    • pp.177-193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values and orientation in shaping the competitiveness of a multinational company (MNC) based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on the competitiveness attribut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 through MR-QAP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employees in 15 different teams at a Korean automotive company headquartered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impact of network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ompeti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competitivenes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petitiveness.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social responsibility, supportiveness, innovation, and performance 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organizational culture, while emphasis on rewards and stabil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dynam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moting strategic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Differenc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Latent Profiles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Recognized by Corporate Workers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

  • Kim, Younga;Lee, Jae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533-545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latent profiles based on corporate worker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o achieve the study'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ere conducted using 253 Korean corporate worker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atent profi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corporate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5 profiles. We named each profile as high compete-low create culture, high compete-low collaborate culture, collaborate culture, high create culture, and high control culture based on each profile's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The ANOVA test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culture perception and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leve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t will provide basic data for your research.

Development of Human Sense Indexes for Web-based Database and Its Supports (웹 기반 감성지표 개발 및 보급에 관한 연구)

  • 김진호;이동춘;박민용;임좌상;박수찬;윤정선;임현균;김경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33-337
    • /
    • 1999
  • 본 연구의 목표는 감성적 제품이나 환경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DB를 개발하는 것으로서, 산업체에서의 활용도가 높고 공공성이 큰 데이터를 중심으로 지표를 수집하여 보급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2 단계 감성공학기반기술 연구 결과인 충 35 개 보고서 전자 파일을 입수하여 감성지표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Web 상으로 지원 가능한 감성공학 지표(정보물)를 도출 하였으며, 감성공학 문헌, Handbook, Data compendium, 사전 등을 중심으로 지표를 분류하여 체계화하였다. 연구보고서로부터 도출 된 초기 지표로는 감성지표 185 개, 개발 제품/시스템 소개물 94 개, 웹으로 지원 가능한 감성공학 관련 정보물 35 개가 있다. 이를 기초로 활용 가능한 지표를 엄선하였다. 감성 제품 개발에 필요한 감성지표를 쉽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색하고, 감성공학 연구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지표의 표현 방법, 용어, 기술 수준 등을 표준화하였다. 초기 도출된 감성지표 리스트 중 활용가치가 높은 결과물을 중심으로 감성지표를 정리하였으며, 현재 262개 지표에 대해서 연구책임자의 검증을 거쳐 지표화 작업을 완료하였다. 이들 결과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며, 앞으로 제품설계, 환경응용 기술로서 감성공학적 제품설계를 위한 guideline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들 지표를 보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한 감성공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감성공학 자료의 보급체계로 활용되어 기업간의 정보교환 및 커뮤니케이션 유도를 통한 기업체간의 기술 및 관리 유기체계 구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하도록 한다. 이는 기초과학 수준이 높은 북방권 국가들의 과학자들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잘 알 수 있으며 우리의 과학기술 약점을 보완하는 원천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대안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구 조직에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의 동기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활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하여 동기 및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동기 이론들과 부합한다. 대부분의 변수가 동기 및 성과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조직 협력 문화, 외국인 연구자의 의사소통 및 협력성, 외국인 연구자의 연구 능력 관련 변수들 및 연구 프로젝트의 기술수명주기, 외국인 연구자의 기존 기술지식의 흡수 등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주로 중국 및 러시아 과학자들을 활용하여 상업화하는 외국인 연구인력 활용 패턴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우호적인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연구 조직에서, 이미 과학기술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고 연구 능력도 높은 외국인 과학기술자를, 한국에서 기술이 태동 또는 성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성과가 좋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본 연구는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성과가 매우 높으며, 우리의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보완하는 유효한 수단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