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종성능시험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유빙을 항해하는 선박의 조종성능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Kim, Hyo-Il;Ju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69-70
    • /
    • 2016
  • 선박과 유빙의 충돌로 발생하는 빙하중은 선체의 구조강도 문제뿐만 아니라 선박의 속력감소 및 조종운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DEM (Discrete Element Method) 기법을 이용하여 유빙을 항해하는 선박의 조종성능 평가를 위한 수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여러가지 유빙 조건에서 선회성 시험 및 10/10 지그재그 시험을 시뮬레이션하여, 유빙의 상태가 선박의 조종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PDF

육상제어센터 성능시험결과 및 개선방안

  • 정우리;노화섭;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82-83
    • /
    • 2023
  •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은 선박운항상태모니터링시스템, 통신시스템, 선박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육상제어센터는 자율운항선박의 원활한 원격제어를 위해 각 개별시스템의 통합절차를 거쳐 육상제어센터의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제어 실선실험을 통해 작동성능시험, 제어성능시험, 조종성능시험 등 3종 성능평가를 시행, 원격제어시스템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중에서 일부 성능평가를 시행하여 식별된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향후 진행되는 추가성능시험을 통해 원격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조종장치 개발을 위한 지상 시험장치의 효과적인 연계방안

  • 김월동;박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4-4
    • /
    • 1997
  • 로켓 조종장치는 크게 추력방향 조종(TVC, Thrust Vector Control) 장치, 측면추력조종(Lateral Thrust Control) 장치 그리고 공기역학 조종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종장치의 공통된 특징은 모터가 작동하거나 유도탄이 비행할 때만 타의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조종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상류 초음속 유동이나 삼음속 이상의 자유유동(freestream)을 지상에서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지상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이 시험장치에는 초음속 풍동과 유동 시험장치(cold-flow test stand), 그리고 6분력 트러스트 스텐드가 포함된다. 삼성항공은 우주용 추진기관의 성능을 지상에서 간단한 장치를 구현하여 시험할 수 있는 모의연소 시험장치, 노즐유동에 포함된 고체입자를 직접 수집할 수 있는 고체입자 포집장치 등 각종 시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전술유도탄의 핵심기술가운데 하나인 조종장치와 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상 시험장치 확보에 착수하고 있다.

  • PDF

자유항주 모형선을 이용한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 관계 연구

  • Choe, Bo-Ra;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75-77
    • /
    • 2016
  • IMO는 해상에서의 선박 안전 향상을 위해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에 관한 국제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은 선박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의 방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의 수행된 연구는 복원성능과 조종성능의 각각의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아직 두 분야의 상호 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의 상호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기초적인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원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GM과 선박의 조종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선회성능을 통해 두 항복 간 상호 관계의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자유항주 모형선을 이용한 선회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GM 감소에 따른 선회반경 감소 및 초기 횡경사 각도 증가를 확인했으며, 그 변화의 경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High-lift Rudder on Ship's Maneuverability (고 양력 타가 선박의 조종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Sang-Hyun;Kim, Hyun-Jun;Jun, Hee-Chul;Yoon, Seung-Bae;Park, Hwa-Pyeong;Gim, Ok-S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4
    • /
    • pp.393-399
    • /
    • 2010
  • Recently, a vessel's maneuvering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ubject as marine pollution from the ships that stranded on a rock becomes more severe. So,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as adopted Resolution MSC.l37 to enhance international standards of ship's maneuverability. There's more than one way to improve ship's maneuverability. This research focused on improving ship's maneuverability by high-lift rudder. To predict the maneuverability, the numerical simulation model was used. The evaluation of maneuverability was carried out by turning test and zig-zag test. The results obtained with these simulation showed that the high-lift rudder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turning ability of the ship. But it was clarified that there Has a possibility that course changing ability night become bad through an increase of rudder lift.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Maneuverability of Ships at Initial Design Stage, Considering Stern Form (초기설계시 선박의 선미 형상을 고려한 조종성능 추정에 관한 연구)

  • Seung-Keon Lee;Jae-Young Choi;Yeong-Seok Seo;Woo-Jin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2
    • /
    • pp.72-76
    • /
    • 1999
  • To predict the maneuverabiliy of a ship, it is most reliable to carry out the model tests for the ship. But, at the initial design stage of ships, scene other methods of predicting the overall maneuverabiliy of ships with confined data, like principal dimensions and propeller and rudder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In this paper, the authors suggested new formulas for the linear derivatives of the sway force and yaw moment, based on the captive model test carried out by the Japanese researchers. These formulas can account the effects of stern frame line shape and stern profile, when assessing the maneuverability of ships. The usefulness of the formulas are discuss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s with the model tests.

  • PDF

Improve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the Ship′s Manoeuvrability at Initial Design Stage (초기 설계단계에서 선박조종성능 추정에 대한 정도향상 연구)

  • Ho-Young Lee;Sang-Sung Shin;Deuk-Joon Yu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5 no.1
    • /
    • pp.46-53
    • /
    • 1998
  • In this paper, we studied to improve Inoue's[1] and Kijima's[2] model used to predict ship's manoeuvrability at initial design state. To perform this work, we carried out PMM(Planar motion Mechanism) test and rudder open water test for 12 models of low-speed blunt-ship which have horn type rudders and bulbs in afterbody. As we adopted MMG(Mathematical Modelling Group) model, we could analyze hydrodynamic and MMG experimental coefficients. The regression analyses by principle parameters were carried out for hydrodynamic and MMG experimental coefficients. The regression analyses by principle parameters were carried out for hydrodynamic and MMG experimental coefficients and the equations by regression analysis wee used to search sensitivities and to estimate ship's manoeuvrability. We had simulated ship's manoeuvrability to check revised MMG.

  • PDF

Prediction of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the Initial Design Stage (초기설계시(初期設計時) 선박(船舶)의 조종성능(操縱性能) 추정(推定)에 관한 연구)

  • S.K. Lee;S.J.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4
    • /
    • pp.19-26
    • /
    • 1995
  • The assessment of maneuverability of a ship is very important from the view point of safety of human beings and of pollution of ocean. And, it is quite natural that every ship yard wants to have some tools with which they can build a ship with good maneuverability. But, maneuvarability of a ship is very subtle problem, and to calculate the exact maneuvering motion, lots of captive model tests must be carried out. Futhermore, in the initial design stage we can not make the scale model, because the lines of a ship is not fixed. In this paper, some approximate method to calculate the maneuvering motion of a ship, with the principal dimensions of hull, and propeller, rudder characteristics only, is studied. And, proposed approximate method is used to calculate the turning and zig-zag maneuver of several ships. The results of those calculations and the usability of the method are discussed.

  • PDF

파도 중 조종운동 간이 시뮬레이션 연구

  • Kim, Yeon-Gyu;Nam, Bo-U;Seo, Min-Guk;Lee, Gyeo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3
    • /
    • 2018
  • 국제해사기구(IMO)의 황천 중 조종성능 유지를 위한 최소추진마력 기준 제정과 국제수조협회(ITTC)의 파도 중 조종성능 추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파도 중 조종성능 추정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도 중 조종성능을 추정하는 기법중 하나인 시뮬레이션 기법 중에서 조종운동만을 시뮬레이션하는 간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유 항주시험결과가 존재하는 S-175 컨테이너선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 PDF

Effects of Speed Dependent Factors on Ship Maneuvers (속도에 따른 인자가 선박의 조종에 미치는 영향)

  • You, Young-Jun;Rhee, Key-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67-68
    • /
    • 2009
  • 선박이 항만이나 협수로에서 항해를 하는 경우 수심 등 환경적인 제한 때문에, 대양에서보다 낮은 속도로 운항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적인 제한 속에서 선박의 조종성능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사고의 위험을 줄이는데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조종성능을 추정하는 연구에서는 대양에서의 운항속도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와 같은 제한 수역에서 낮은 속도로 운항하는 선박의 조종성능을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양에서의 운항 속도와 다른 속도에서 운항하는 선박의 조종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Whole ship model에서 KT model로 바꾸어 적용하였을 때 이러한 특성이 유치되는지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