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작표시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Safety Sign and Operating Indicator Symbol of Agricultural Machinery for ISO Revision (ISO 국제 표준 제안을 위한 농기계 안전표지/조작표시 개발)

  • Ryu, Dong Soo;Baek, Seung Hoon;Kim, Myoung Ho;Kim, S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9-69
    • /
    • 2017
  • 농기계의 대형화, 고성능화로 장치가 복잡해지면서 안전표지 및 조작표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으나 기존에 제정된 KS B 7947의 경우 ISO표준 도안 및 작도방법을 준용하지 않고 있어 기호가 조잡하고 복잡하며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워 산업체의 활용도가 낮은 상황이며, 제조사별로 상이한 도안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ISO표준 도안 및 작도방법을 준용하여 그래픽 심볼 도안을 개정하여 산업체의 활용도가 높아져 조작표시를 농업인이 쉽게 인식하고 이해하여 위험 등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표지 및 조작표시를 ISO 표준 도안 및 작도방법을 준용하여 작성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KS B-7946에 제시된 65개 항목 중 일본과 미국에서 동시에 사용되고 있는 항목 4개는 유지하고 10개 항목은 삭제하며, 승용 동력운반차, 매연저감 장치 등 11개 항목을 추가하고 40개 항목의 수정을 통하여 국내 농기계 관련 안전표지 및 조작표시의 그래픽 심볼을 개선하고 그 결과를 ISO에 국제표준 규격도안 추가 및 개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 PDF

An Implementation Control Stick and Flying Attitude in Flight Simulator (Flight Simulator에서의 조종간 조작에 따른 비행자세 구현 방법)

  • 한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50-155
    • /
    • 1999
  • 비행 Simulator는 조종사가 실제 비행할 때와 같은 느낌을 받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조종사가 비행을 느끼게 되는 것은 여러 가지 감각기관을 통한 종합적인 느낌이다. 시각을 위하여 계기가 현재 비행 상태를 표시해야되고 외부 경치에서 고도, 속도, 자세 및 상승률을 감지하여야 한다. 이런 외부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조종사의 Stick조작에 의한 비행기의 위치 변화와 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Graphic Engine과 Actuator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이러한 Parameter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조정사의 조작에 의한 stick의 위치와 그로 인한 항공기의 자세 그리고 상태와 비행 속도 등에 따라 결정되며, 대상 항공기에 대한 제원으로 부터 조종사가 조종간의 이동크기와 조종면의 각 변위와의 관계를 계산하여 위치, 방향과 높이에 관한 Parameter를 계산해 줄 수 있는 방법 구현하였다.

  • PDF

Smart Puck System for Manipulating Digital Information via Physical Sensation (물리적 감각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조작을 위한 스마트 퍽 시스템)

  • Jo, Hyeon-Cheol;Kim, Rae-Hyeon;Park, Se-Hyeong;Han, Ma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57-8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상에서 물리적인 감각을 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 퍽 시스템을 제시한다. 기존의 데스크 탑 PC 환경의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마우스와 디지털 정보의 공간적인 불일치가 생기고 마우스의 물리적인 움직임과 모니터 상 그래픽 커서의 이동을 맵핑하여 간접적으로 정보를 조작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 퍽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tabletop display상의 디지털 정보를 직접 조작할 수 있고, 스마트 퍽을 끌거나 들어서 옮기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물리적인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지털 정보와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는 여러 사용자가 함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공유하고 조작하는데 적합하다. 스마트 퍽 시스템은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지각과 반응을 통한 물리적인 인터랙션과 가상의 디지털 정보와의 거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은 PDP 기반의 tabletop display 장치와 스마트 퍽, 그리고 tabletop display상의 스마트 퍽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스마트 퍽의 입력을 전송 받아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 PC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퍽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몇 가지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 PDF

Efficient Methods of Tactical Situation Display for Tactical Analysis Tool of P-3C Maritime Patrol Aircraft (P-3C 해상초계기 전술분석도구를 위한 전술 상황표시기의 효율적 전시 기법)

  • Byoung-Kug Kim;Yonghoon Cha;Sung-Hwa Hong;Jaeho Le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5
    • /
    • pp.495-501
    • /
    • 2023
  • P-3C/K aircraft for maritime patrols that Republic of Korea Navy is using,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sensors and communication devices. Collected data from the aircraft is managed as tactical information by flight operators and stored. When the flight mission is completed, this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actical support center on the ground and played back or used for follow-up work through a analysis tool. During a flight mission, there are tens of thousands of detection objects within an hour in KADIZ (Kor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In contrast, in TSD (tactical situation display), which displays a map when using the analysis tool, all detected objects are expressed as symbols. The increase in display symbol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SD image updating and consequently interferes with the smooth operation of operat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pplying multiple threads and multiple layer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TSD.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proven through the execution results.

A Study On the User Interface of Digital TV in a Multi-Channel Situation (다채널 환경에서 디지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

  • 이우훈;박지수;류동석;이지현;김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6-139
    • /
    • 2000
  • 본 연구는 디지털 TV의 다채널화와 관련하여 최근 사용편의성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EPG(Electronc Program Guide)와 조작장치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방송이 국내에서는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아 일본 동경 지역 SkyPerfecTV 가입자를 대상으로 다채널 TV 환경에서 디지털 STB(Set Top Box)의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편한 채널 이동 과 EPG 네비게이션 방식, 일대일 TV 환경도래와 개인별 선호 패턴의 극화 현상에 대응한 개인화된 시청환경, 광범위한 정보공간에 대해 제압감을 증강시킬 수 있는 정보표시 방법, 조작수를 줄이며 직접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 등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퍼스널 TV”라는 근미래형 인터랙션 스타일을 상정하고 가상 디지털 방송국(D/TV 시뮬레이터)을 기반으로 “퍼스널 컨트롤”과 “스마트 EPG”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PBBC(passenger boarding bridge controller) simulator (PBBC(passenger boarding bridge controller)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 Kim, Whi-Young;Hong, Jung-Hwan;Kwang, 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d
    • /
    • pp.2051-2053
    • /
    • 2001
  • 기존의 Passenger Boarding Bridge Controller는 PLC Type Controller 등으로 복합적으로 구성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16bit Micro Processor를 이용한 전용 콘트롤러를 적용해 각종 고급기능을 부여하고, 안전하고 유연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기존의 수동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부가하였으며, TFT LCD Color Display 및 Touch Screen을 장착하여 자동 운전을 위한 각종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지관리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조작자로 하여금 PBBC(Passenger Boarding Bridge Controller)의 각종상태를 쉽고 빠르게 파악 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를 설계 및 제작을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방식보다 성능면은 비슷하였고 기능면에서는 다양하게 기능을 검정을 할 수가 있었다. 향후 연구 지속시 다양한 개선이 되라 보아진다.

  • PDF

Mobile HMI Screen Configuration Model Using QR Code (QR코드를 이용한 Mobile HMI 화면 구성 모델)

  • Kim, Jong-Joo;Kim, Jae-Woong;Lee, Yun-Yeol;Chae, Yi-Geun;Park, Koo-R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117-118
    • /
    • 2022
  •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제조 현장에서 사용하는 자동화 장비의 종류가 다양해져가고 있다. 자동화 장비는 일반적으로 운영자가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장치(HMI)를 설치하여 제작되고 있다. HMI 장치는 자동화 장비마다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영자가 다양한 장비를 즉각적으로 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를 사용해 QR코드로 장비의 화면을 표시하고, 원격으로 해당 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하나의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다양한 자동화 장비를 원격으로 신속하게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어, 제품 생산에 대한 효율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Causes on Explosion Accidents of a Old Dry Chemical Powder Extinguisher (노후 분말소화기의 폭발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분석)

  • Lee, Eui-Pye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6 no.3
    • /
    • pp.91-99
    • /
    • 2012
  • Fatal injuries and deaths have occurred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r disassembling of a powder extinguishers in Korea. If a rusted powder extinguisher is exploded during operation or disassembling, it rises to the air like a rocket and hits a head, chest, or neck part of an operator, resulting in his (her) death or injury. In this study examines the explosion accident cases of a powder fire extinguisher and analyzes their causes, reactions to explosion, and precautionary measures. And in this paper suggests 1) no using of old fire extinguishers in fire drill or education, 2)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on danger of old fire extinguishers, 3) indication of explosion danger to cartridge-type dry chemical powder fire extinguishers had already placed to buildings etc., 4) obligatory indication of durable years on fire extinguishers, 5) examination for introduction of system that do hydraulic pressure test about fire extinguishers that given period past, 6) construction of system that reclaim old fire extinguishers, 7) construction of system that recycle or reuse old fire extinguishers, and 8) operation of help desk related to old fire extinguishers as precautionary measure of fire extinguisher explosion accidents.

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

  • 박영문
    • 전기의세계
    • /
    • v.24 no.5
    • /
    • pp.38-41
    • /
    • 1975
  • 기술 및 소개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를 위한 하아드웨어시스템은 온라인리얼시스템의 구비 조건인 고속성, 신뢰성, 경제성을 기저요건으로 하여 동시에 다중프로그래밍, 다중처리가 가능한 범용전자계산기를 모체로 하고 다수의 위성계산기에 의하여 국지적 제어도 가능한 계층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이 현 추세이다. 2)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는 전력계통의 안정제어가 그 주내용이나, 전력공급의 질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장 경제적으로 전력을 안정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긴급상태 및 회복상태에서는 전력의 안정공급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3)전력계통의 안정제어의 기능은 상태의 감시, 해석 및 안전최적화의 3기능이며 안정최적화 기능중의 제어지령도 리얼타임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나 현단계로서는 CRT 표시장치등의 맨머신 인터훼이스를 통하여 제어지령의 결정과정에서 조작원이 개입하는 것이 상례이다. 즉, 전력계통의 안정제어는 아직까지는 프로세스제어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오퍼레이션제어의 특징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4)조작원의 판단이나 개입을 줄이는 첩경은 하아드웨어의 개선보다는 전력계통 리얼타임 제어에 충분할 정도로 처리시간에 단축되는 전력계통제어용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으며 그 시기는 아직 먼 것으로 전망된다.

  • PDF

Widget Guideline for TV Environment (TV 시청 환경에 적합한 위젯 가이드라인 제안)

  • Wi, Seung-Yong;Yi, Sang-S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01-1008
    • /
    • 2009
  • Newsweek 가 2007 년을 '위젯의 해'라고 선언할 정도로 IT산업에서 위젯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위젯은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의 일종을 뜻한다. 위젯은 웹 사이트와 연동하여 제 기능을 다할 뿐 아니라 데스크톱, 모바일, 심지어 TV로까지 연동될 채비까지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TV 환경에서는 TV용 위젯 그래픽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V 시청 환경에 적합한 위젯 가이드라인을 제안함에 있다. TV와 PC의 사용 환경은 서로 다르며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목적적 측면이다. PC는 주로 작업, 검색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반면, TV는 즐기고, 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둘째는 조작적 측면이다. PC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문자와 위치 등을 쉽게 입력하고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는 반면, TV는 리모컨으로 제한적인 조작을 한다. 셋째는 시청 환경적 측면이다. TV의 시청거리는 PC나 모바일 보다 멀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가족이 공유하는 미디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 가지 선행연구를 종합하였다. 첫째, 위젯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둘째, TV와 PC환경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셋째, 위젯과 TV의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TV 환경에 적합한 위젯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연구자는 가이드라인을 콘텐츠, 그래픽, 인터랙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연구자가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가이드라인에 토대로 한 TV 용 위젯을 제안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40 인치 HDTV를 중심으로 제한한다. PC 에서처럼 TV 에서 위젯이 정착하기 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가 TV 환경에 적합한 위젯에 관한 연구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