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작적 활동 중심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Why Do Most Science Educators Encourage to Teach School Science through Lab-Based Instruction?: A Neurological Explanation (과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실험활동 중심 수업의 효율성에 대한 신경학적 설명)

  • Kwon, Yong-Ju;Lawson, Anton 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1
    • /
    • pp.29-40
    • /
    • 199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hypothesis that, because it uses tri-dimensional sensory pathway which have been showed a higher rate of neural activities than uni- or bi-dimensional's, lab-activity-bas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y in learning science than verbal-based instruction. In the present study, manipulative teaching strategy that uses visual, somatosensory and auditory information pathway was regarded as a mode of tri-dimensional sensory inputs. In addition, verbal teaching strategy that uses mainly auditory and a little visual information pathway was used as a mode of bi-dimensional sensory inputs. Fifty-six students who failed to successfully solve two proportional reasoning tasks (i.e., pouring water tasks) were sampled for this research from a junior high school.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manipulative or a verbal teaching group, and given manipulative or verbal tutoring on the use of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ies and a test of proportional reasoning during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nipulative group's performance on the test of proportional reasoning during instru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verbal group's (t=2.45, p<0.02). The present study also discussed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 PDF

공간 도형의 조작적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 연구

  • Sin, Hyeon-Yong;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403-414
    • /
    • 2001
  • 공간 지각력의 개발 ${\cdot}$ 육성은 수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들 중의 하나이지만, 중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공간 도형에 대한 조작적 활동의 경험은 매우 빈약하다. 특히, 중학교에서는 1학년에서 공간도형의 계량적 측면에 중심을 두고 취급하고 있지만, 이를 통해 수학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이 공간 도형에 대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적이고 조작적 활동을 경험하며, 이를 통해 공간 도형에 대한 상상력, 그리고 공간 도형에서의 추론 활동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할 것이다.

  • PDF

수학 교구를 활용한 클럽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e, Chang-U;Son, Suk-Hy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63-176
    • /
    • 2001
  • 대부분의 수학 수업이 알고리즘을 숙달시키고, 기계적으로 익힌 절차에 의해 정답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학은 딱딱하고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수학 수업에서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한다면 수학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상과 형식적인 수학으로의 발달을 돕고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에서는 조작 활동을 통한 자기 학습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주위의 실제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물을 관찰하여 그 성질을 추상해 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구를 이용하는 조작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규 수학 수업이 아닌 일선학교의 클럽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수학 교구를 충분히 조작하고 활용할 시간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통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능력 수준에 따른 도형 학습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 지를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Computer Science Program based on Specific Manipulative Activities in Achievement and Attitude of Learning (구체적 조작활동기반 컴퓨터과학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Park, Jung-Ho;Bae, Young-Kwon;Lee, Tae-Wu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5
    • /
    • pp.33-4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icate the computer sci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raise the next newest talented students in IT fiel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ers variables such as learning achievement and attitude at K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buk-do during 8 weeks and samples were 74 students. The summary of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part of achievement of learning between comparative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computer science program consisted of specific manipulative activities. However, the higher mean score means that teaching-learning based on specific manipulative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Second, it is found that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respond more positively about computer science than comparative group.

  • PDF

Effects of Reciprocal Writing-Reflection Activities on the Loarning Elementary Mathematics - Focused on the 2nd Grade Students - (상호교류적 쓰기-반성 활동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

  • Yoon Jeong-Min;Kang Wa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0 no.1
    • /
    • pp.21-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the reciprocal writing-reflection activities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of the 2nd grade students by developing a class model using reciprocal writing-reflection activities method as one of the interactive application of manipulative activities, reflective thought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which are the learning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We have experimented and investigated to after dividing experimental objects into two group,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reciprocal writing-reflection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the group with lower achievements in learning. Second, reciprocal writing-reflectio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mathematical tendency of the students. Third, the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s in interest, desire and usefulness regarding reciprocal writing-reflection activities. And reciprocal writing- reflection activities are helpful for their reflec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 PDF

Design and Applications of Inquiry-Style Geometry Program based on Operating Activity (조작활동 중심의 탐구형 기하 프로그램 설계 및 활용)

  • Kwon, Bo-Seo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7
    • /
    • pp.103-111
    • /
    • 2008
  • There have been a few mathematic education programs that based on operating activity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elementary student, although we can find a variety of computer-aided mathematic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thematical program based on operating activity developed as teaching materials in plain figures. As results of the post-achievement test and attitude test, it was found that the math program has been improved the achievement positively. By a result that inspects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it was found that variable factors such as interest, confidence, self-learning were changed significantly more important in statistics.

A Study of Fraction Instruction Using Pattern Blocks as Manipulatives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소고 - 분수학습을 중심으로 -)

  • Kim, Min-Kyeo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44 no.1 s.108
    • /
    • pp.125-141
    • /
    • 2005
  • For many years,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structional manipulatives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classroom practice and educational research. This paper demonstrates how pattern block, a type of instructional manipulatives could be used and integra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area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Further, students' thinking process with pattern blocks is analysed to show their thinking process.

  • PDF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in Sort-Algorithm for Concrete Operational Stage Students (구체적 조작기의 초등학생을 위한 정렬 알고리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 Lee, Ju-Hee;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95-100
    • /
    • 2006
  • 현재의 초등 컴퓨터 교육은 재량시간을 통해 컴퓨터의 개념과 원리의 이해보다는 도구로서의 활용교육에 집중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의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이며 자료처리의 기본이 되는 알고리즘을 초등학생에게 교수-학습하는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조작기의 초등학생의 지적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중 정렬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해 아동들이 알고리즘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지하면서 자기 주도적으로 알고리즘의 방법을 찾고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수업의 단계를 따라 교수-학습한다면 알고리즘의 이해와 컴퓨터 개념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ntroducing Frac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법에 대한 고찰: 단위 조정 단계를 중심으로)

  • Lee, Jiyo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3
    • /
    • pp.323-345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fractions in the thir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 activitie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fractions. As results, the sessions of introduction units in textbooks was well organized to allow students to construct more extensive fraction schemes (i.e., Part-whole fraction scheme → Partitive unit fraction scheme → Partitive fraction scheme). However, most of the activities in textbooks were related to stages 1 and 2 of units coordination. In particular, the operations and partitioning schemes (i.e., equi-partitioning and splitting schemes), which are key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fraction knowledge, were not explicitly revealed. Fraction schemes also did not extend to the Iterative fraction scheme, which is central to the construction of improper fra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fractions in textbooks focusing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to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 PDF

van Hiele 모델에 의한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에 관한 연구(0 수준과 1 수준의 조작활동 중심으로)

  • 최창우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59-71
    • /
    • 1997
  •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이라는 우리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보다 낮은 수준의 학생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다. 학생들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추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이 보다 낮은 수준에서 충분하고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분수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기계적인 암기식으로 사물을 학습함으로써 수준(단계)을 뛰어 넘으려고 노력하면은 그들이 학습한 것에 관한 많은 것을 기억할 수 없을 것이다. 조작에 관한 보다 풍부한 경험과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주는 설명을 들은 어린이들이 보다 훌륭한 공간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본 고에서는 기하학적인 사고의 개발에 관한 van Hiele 모델이 초등학교에서 기하 수업의 토론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어졌다. 그 모델의 수준들이 묘사되었고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사고는 0수준과 1수준이라 는 것이 밝혀졌다. 단지 극소수의 아동들이 2수준의 사고에 도달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초등학교에서의 수업이 기하학적인 개념을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면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2 수준의 사고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0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져있고 1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에 있다. 2 수준의 사고자는 도형의 포함관계를 이해하고 비공식적으로 추론 할 수 있다. 처음 세 수준에서의 활동들에 대한 지침이 주어져 있으며 0 수준과 1수준에 연관되는 다수의 활동들을 묘사했다. 0수준의 어린이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그들이 2차원 및 3차원의 도형 둘 다를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1 수준에서 사고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2차원 및 3차원 도형의 성질들을 강조했다. 아울러 본 고에서 언급한 활동들은 상호교수에의 접근을 반영했다. 그러한 접근방식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활동과 의견으로부터 개념을 구성하게 해주며 그들의 활동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함으로서 개념을 명확하게 다듬어지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평가 활동들이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 주어져있다. 그러한 활동들은 교사들에게 어린이들의 기하학적인 사고수준을 결정하게 해주며 학습자들로 하여금 수업시간 이외에 보다 높은 사고수준으로 나아가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