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위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greatest overflow area calculation of a Typhoon model using ADCIRC and GIS (ADCIRC와 GIS를 이용한 태풍해일의 최대범람구역 산정)

  • Ahn, Chang-Whan;Choi, Hyun;Yoon, Ho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917-920
    • /
    • 2007
  • In this research, a typhoon model has been reproduced on the Masan area which had a great damage caused by a tidal wave of the typhoon "MAEMI" at that time. In addition, after calculating the highest level of a tide that happens in the case, it can be compared with one in a real situation, and the accuracy of the typhoon model could be analyzed as well by comparing the actual overflow area with the greatest overflow area computed by the data of the highest level of a tide.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ome fundamental and primary materials for the design of stable harbor structure by predicting such as tidal changes that follow some typhoon matrixes hereafter.

  • PDF

Improvement of Flood Forecasting System for Imjin River (임진강 홍수예보시스템 개선)

  • Choi, Hyuk-Joon;Kim, Won;Lee,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12-71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구축된 임진강 홍수예보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예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주요 내용은 수문레이더의 활용, 유효우량 산정, 유출량 계산, 하도추적, 조위 영향 감안, 시스템 효율성 개선 등 여러 분야에서 기존 시스템의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구축된 임진강 홍수예보시스템은 수문학적 모형의 경우 기존의 소유역 구분을 개선하여 효율적인 홍수예보가 가능하도록 최적의 소유역을 재구성하였고, 이에 따른 소유역별 매개변수 산정, 평균 강우량 산정 등을 모두 새로이 구축하였다. 수리학적 모형의 경우에는 한강과 임진강, 서해 조위를 동시에 동역학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재구축하였으며, 최근의 측량단면을 이용하여 최적 조도계수를 재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임진강 홍수예보시스템은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적용을 통해서 검증되었다. 수문 레이더, 수문학적 모형, 수리학적 모형 등이 모두 전산시스템 상에서 원활하게 운영되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개선된 시스템의 정확도 또한 실제 적용을 통해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임진강 홍수예보 시스템을 통해 임진강 유역에 대한 홍수예보의 정확성,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Water Level Reduction in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by the Flood Plan (치수종합계획에 따른 낙동강 하구둑 부근의 수위 저감효과 분석)

  • Lee, Bae-Sung;Hawng, Man-Ha;Lee, Sang-Jin;Kang, Sh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24-1229
    • /
    • 2007
  •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막대한 홍수피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는 전국적으로 엄청난 피해를 유발하였다. 낙동강 유역에서는 이 기간동안 유입유량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유입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남강유역 및 밀양강의 유입량 규모는 예년 홍수규모에 비해서 상당히 큰 유입량이 발생하여, 제방과 저수지가 붕괴되어 수많은 재산피해를 남겼다. 이에 건설교통부에서는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을 수립, 검토하여 유역의 항구적인 수해방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부근의 치수종합대책(안) 중 우안배수문의 확장방안($47.5{\times}9.2{\times}6$련)에 대하여 홍수위저감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치수방재대책수립에 만전을 기하고자 하였다.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시 선정된 수리특성분석 모형으로는 유한요소법에 기반을 둔 RMA-2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상류단의 경계조건으로는 유역종합치수계획과 동일한 200년빈도 설계홍수량 조건을 선정하였고,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낙동강 하구둑 하류 10km지점에 위치한 명지 조위관측소의 예측조위를 하류단의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최대수위 발생시간은 대조기 창조시인 약 60시간 후이고, 하구둑 우안배수문을 확장할 경우 하구둑 내측수위가 최대 약 1.32m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rovement of Low Water Level Rating Curve in Tidal River Taehwa (태화강 갑조부의 저수위 수위-유량곡선 개선)

  • Jo, Hong-Je;Hwang, Jae-Ho;Mun, Seong-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5
    • /
    • pp.635-645
    • /
    • 2000
  • In tidal rivers, the river level, discharge and tide are interrelated. Therefore, the stage-discharge relation that takes no account of tidal effects is inaccurate. For the calculation of river discharge in low water level, this paper attempts to formulate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of stage-discharge curve to calculate the river discharge in low water level with variables as river level and differences between sea level and river level. Numerical application were perfonned on Ulsan gaging station in Taehwa river, and the comparison with existing rating curve equation showed good applicability of this multiple regression equation.uation.

  • PDF

Evaluation of Extreme Sea Levels Using Long Term Tidal Data (검조기록을 이용한 극치해면 산정)

  • 심재설;오병철;김상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4 no.4
    • /
    • pp.250-260
    • /
    • 1992
  • Two methods for computing extreme sea levels, which are the extreme probability method and the joint probability method, are examined at five different ports (Incheon, Cheju, Yeosu, Pusan, Mukho). The extreme probability mothod estimates the extreme sea levels from three different probability papers of Gumbel, Weibull and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conventional moment method and probability weighted moment method.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eme sea levels estimated by the Gumbel paper or the least square method appeared higher than those calculated by other papers or methods. The extreme values estimated by the extreme probability method are approximately 5-10 cm lower than the values by the joint probability method.

  • PDF

Graph Area Separation from A Sea Level Measurement Recording Image (조위관측기록 이미지로부터의 그래프 영역 분리)

  • Yu, Young-Jung;Park, Seo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
    • /
    • pp.175-182
    • /
    • 2013
  • The digitalization of sea level measurement recording which is recorded as analog type is useful for many related ocea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which separates the graph area from a sea level measurement recording image. At first, a pixel that is regarded as the pixel which is included in the graph area is selected. Then, many background pixels are separated using the color of the selected pixel. In each vertical line, a pixel is determined as the pixel within the graph area and the graph area is separated from the image using that pixe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overcome drawback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can separate the graph area which similar to the graph area of the original image.

A new numerical algorithm of tsunami models for considering tide-tsunami interaction (조석-지진해일 상호작용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알고리즘)

  • Yoon, Jae Seon;Ha, T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4-104
    • /
    • 2021
  • 연안에 발생하는 지진해일은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선진국은 자국의 피해 뿐 아니라 세계 주요도시에 거주하는 자국민의 안전과 대피에 대한 경보발령을 목적으로 전지구 지진해일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시 운영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지진해일 예측시스템은 지진해일의 발생과 전파, 그리고 전세계 주요 연안에 도달할 때의 해일고 모의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실제적인 위험경보를 발령하기 위해서 필요한 해일도달 시 조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능은 현재 없는 상태이다. 해일에 의한 주된 피해는 연안으로의 범람에 대한 것으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일 도달 당시의 조위를 예측하고 해일과 조석과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예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진해일 예측모델에서 조석-지진해일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해 조석과 지진해일을 동시에 모의할 수 있는 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지진해일의 전파 및 범람에 조석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지적되어왔으나 과거 연구는 이상적인 지형이나 조석 조건에 대해서만 일부 이루어졌으며, 아직까지 실제 조석을 활용한 충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실제 조석에 의한 지진해일의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지진해일 예측모델에서 실제 조석과 조류 조건에서 지진해일을 동시에 모의할 수 있도록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Mean Sea Level on the West Coast (서해안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 분석)

  • Yang, Su-Hyun;Choi, Seung-Bae;Ryu, Hong-Ryul;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0-270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반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Yoon and Kim, 2012; Jung, 2014, Yang et al., 2022). 해수면의 상승은 연안저지대 범람, 내수배제 불량 등의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분석과 장래 해수면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해수면의 변화는 전 지구적 평균해수면의 변화와는 별개로 지역적으로 변동특성이 크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Yang and Hwang, 2021), 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가 중첩되는 경우 단기간에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취약지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Arnoldo et al, 2017),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분포한 조위관측소의 조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해안의 북부보다 남부로 갈수록 평균해수면의 변화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의 변화량보다 최근의 평균해수면 변화가 더 큰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Tidal Asymmetric Characteristics in the Muan Bay (무안만의 조석비대칭적 특성 분석)

  • Kang, Ju Whan;Kim, Yang S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3
    • /
    • pp.170-179
    • /
    • 2020
  • Tidal asymmetry would occur owing to shallow water tides at the Western Coast of macro tidal area. Especially, as ebb dominance of Mokpo coastal zone is known as the most prominent in Korea, it had been studied by domestic researchers. The cause of ebb dominance in Mokpo area is considered due to extensive inter-tidal zone in Muan Bay, and this has been studied based on amplification ratio, relative phase and skewness of tide/tidal flow curves in order to analyze qualitative tidal asymmetry.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tidal characteristics with the difference of tidal amplitude and phase with Mokpo Harbor by observing the tide for 15 days in Muan Bay, which showed 40 minutes shorter ebbing time than at Mokpo Harbor. In addition, tidal flow prediction data in Mokpo North Harbor and Mokpo-Gu were analyzed. Meanwhile, the basis regarding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bed sediment and suspended sediment was provided by examining the qualitative changes in tidal asymmetry for spring-neap tidal cycle through the PCA/SWA indices. In addition, by examining long-term changes of ebb dominance in Mokpo Port, tidal characteristic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is area, which is related to tidal asymmetry, is also provided.

Monitoring of the Estuary Sand Bar Related with Tidal Inlet in Namdaecheon Stream using Landsat Imagery (Landsat 위성 영상을 활용한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 연안 하구사주 갯터짐 환경 모니터링)

  • Jang, Jiwon;Eom, Jinah;Cheong, Daekyo;Lee, Chang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5_1
    • /
    • pp.481-493
    • /
    • 2017
  • Estuary sand bar of Namdaecheon Stream is located in Yangyang-gun, Gangwon-do in Korea. This unique place is situated between end of Namdaecheon Stream and East Sea. It is an important environment area of the global ecosystem from the transition zone of land and marine environments by forming a variety of coastal circumstance. Some endemic species should be protected which is appearing in the Namdaecheon Stream because of preservation for future generations. Especially, the salmon return to this stream as adults in order to breed which is more than 70 % of the salmon in Korea peninsular. The monitoring of estuary sand bar is need to analyz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ime. First of all we represents a different shape of estuary sand bar of Namdaecheon Stream from 1984 to 2015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series. Particularly movement of the "tidal inlet" is most important factor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the change for estuary sand bar. The location of tidal inlet is compared with precipitation, height of tide and oceanic current data according to time var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