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선 염료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시대 염료의 종류와 유형 (Kinds and Types of Dy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1-215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kinds and types of dy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Some literature including "Sanga Yorok", "Gyuhap Chongseo", "Imwon Gyeonjeji" were reviewed for this purpo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lors obtained from the dyes were divided into seven color series, such as red, yellow and orange, green, blue, purple, brown, gray and black. These are practical color categories differed from abstract five cardinal colors [五方色]. The diachronic dyes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safflower and Japanese alder bark for red, indigo leaves for blue, gromwell for purple, chestnut tree bark for brown. The representative dyes u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afflower and sappan wood for red, wild pear tree bark and Pentapetes phoenicea for yellow and orange, indigo leaves for blue, sappan wood and gromwell for purple, mulberry tree for brown, and Chinese ink for gray. Common dyes used both in Joseon and China were safflower and sappan wood for red, pagoda tree blossom for yellow, a combination of pagoda tree blossom (or Amur cork tree) and indigo leaves (or sediment) for green, indigo leavers or sediment for blue, sappan wood and hollyhock for purple, and a combination of indigo leaves and Galla Rhois for gray and black.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練光亭宴會圖)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Welcome Feast for the Pyeongan Governor: Focusing on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 박진호;장연희;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09-13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기록화인 《평안감사향연도》 총 3점 중 <연광정연회도>를 분석하여 채색 재료를 규명했다. 포인트 위주의 분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우선 파장별 이미지를 촬영했다. 엑스선을 통해 먹, 금, 유·무기 안료를 분류했고, 적외선으로 먹과 구리계 안료를 파악했다. 초분광으로는 흑색, 청색, 녹색 재료 중에서 안료와 유기 염료를 구별해냈다. 색상별 선정 지점을 분석하여 백색(연백), 흑색(먹/쪽), 적색(연단+진사), 분홍색(염료), 자주색(염료), 갈색(산화철), 황색(석황/염료), 녹색(석록/석록+염료/쪽)과 청색(석청/연백+쪽/쪽), 자색(쪽+연지), 금색(금박) 등의 재료를 규명했다. 향후 파장별 라이브러리가 확보되면 더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천안시 출토 16세기 분홍 단령에 사용된 염재 동정 (Identification of Natural dyes used in 16th pink Dallryeong (Official's robe in Joseon Dynasty) Excavated from Cheonan, Chungnam)

  • 채정민;유효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9-308
    • /
    • 2015
  • 본 연구는 1996년 천안시 유량동에서 출토된 분홍색 단령의 염료 동정을 통해 조선시대에 사용된 적색 염료를 실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추출하고 이것을 당시 염색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적색계 염료(홍화, 소목, 꼭두서니)에서 추출한 염료와 함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물에서 추출한 염료와 홍화염색포의 추출 염료는 같은 시간대인 17.5분에서 피크가 나타났다. 이때 자외/가시선 분광 분석 결과는 두 시료 모두 519nm에서 최대흡수파장이 나타나 기존 홍화의 홍색소 분석 결과와 같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negative ion mode에서 질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물과 홍화 염색포에서 추출한 염료 시료는 carthamin의 분자량인 910을 나타내는 m/z 909에서 같은 시간대의 피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이 분홍 단령 직물을 염색하는데 사용된 염재는 홍화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입상점토광물에 대한 염료폐수의 흡착 (Adsorption Behavior of Organic Dye on Granular Clay)

  • 이택혁;윤국중;김선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5-50
    • /
    • 2003
  • 점토광물은 첨단소재용 원료로서 석유, 펄프, 비료, 점결제와 페인트 등 사용분야가 다양한 광물이며, 이러한 천연 점토광물을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하여 체내에 농축되면 독성과 피해를 일으키는 염료 폐수의 흡착처리 및 흡착 메커니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기염료를 흡착처리하기 위한 입상 점토광물제조의 최적조선은 굽기온도 $700^{\circ}C$이며, 점결제인 polyvinyl alcohol 의 량은 25% 이었다. 제조된 입상 점토광물의 pH는 중성이었고 산성 메디움에서의 안정한 pH의 범위는 3~9 사이였고, 비표면적은 $83m^2/g$ 이였다. 제조된 입상점토광물에 대한 유기염료의 흡착량은 산성 메디움에서 좋은 흡착결과를 보였고, 이때 흡착엔탈피는 -3.36~ -0.84 kcal/mol 로 전형적인 물리흡착임을 나타내었다.

  • PDF

조선시대의 염료 수급 체계와 염색 수공업자 유형 (Dye Supply and Demand System and Type of Dyer in the Joseon Dynasty)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5-768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situation of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 of dyes as well as type of dye supplier and type of dyer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an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any kinds of natural dyes and natural mordant were p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Some were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when in short supply or for diplomatic reasons. As the government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dyes supply and demand, the Jeyonggam was cooperated with the Gongin merchants. As private merchants, there existed Hwapijeon merchants and Cheongramgye merchants. Cheongramgye merchants were both the producer and the seller of indigo sediment. There existed two types of dyers, such as government-operated dyers and private dyers. The Yeomjang (master dyers) and Yeommo (female dyers) were subjugated to government department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but gradually allowed to pursue self-profit. The Yeomga was the private dye house that exist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Ladies and female servants were also allowed to dye for family use or to help in livelihoods. Jeonyeomga was a branch specialized in indigo dyeing. Lastly, the Yoemgye were the merchants of dyed paper and textiles as well as dyers.

반투명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구 (A module of Semitransparent Dye-sensitized Solar Cell)

  • 강만구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237-242
    • /
    • 2009
  • As semitranspar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have advanced to large-scale applications from lab-level research, the large-scale performanc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Modules of DSSCs have been investigated to optimize the efficiency as a $TiO_2$ systhesis temperature and a surface treatment of $TiCl_4$ aqueous solution. Essentially, these semitransparent modules have an extended structure with lab-scale works with the exception of the dimensions and methods for the series connection. The $5cm{\times}6.5cm$ modules have shown an efficiency of about 6% without a scattering layer. While the fill factors of modules depend on the width of each $TiO_2$ unit cell, they are much less dependent on the lengths of the unit cells.

  • PDF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Painting Characteristics on Portraits by Nondestructive Analysis of Joseon Dynasty in 18th Century - Focusing on Yu Eon-ho's Portrait -)

  • 송유나;이한형;정용재;이혜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0
    • /
    • 2016
  • 18세기 제작된 유언호 초상화에 대한 비파괴분석 통해 채색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와 채색기법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8세기의 초상화 11점과의 채색특성을 비교해보았다. 유언호 초상에 사용된 안료는 백색에 연백, 황색에 염료, 적색에 진사, 연단, 적색염료, 녹색에 석록, 청색에 석청, 갈색에 적색산화철, 갈색염료, 자주색에 청색과 분홍색의 염료 등을 사용하였다. 11점의 초상화와 채색 안료를 비교한 결과 18세기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는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동일 화첩에 수록된 초상화일지라도 안료의 사용은 초상화마다 개별적으로 나타났다. 채색기법에서는 유언호 초상 이후의 초상에서 얼굴에 진사를 사용하지 않고 산화철만 사용하였으며, 의복의 배채에 녹색 안료 대신 염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8세기 전반에 걸쳐 제작된 초상화의 채색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가 조선 후기 초상화의 채색기법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인접면 우식증 탐지효과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USING LASER FLUORESCENCE)

  • 모경희;윤정훈;김수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3-330
    • /
    • 2004
  • 본 연구는 레이저 형광을 치아의 인접면에 적용하여 임상에서 초기 인접면 우식증의 감별에 레이저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염료와 레이저 형광법의 인접면 우식증 탐지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 중 유구치의 탈락이 없으며 인접면의 수복치료를 받지 않은 $3{\sim}9$세 사이의 어린이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진, 교익 방사선사진, 레이저 형광법, 염료와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접면 우식증의 교익 방사선 사진검사와 시진, 레이저 형광법, 염료와 레이저 형광법 사이에서 모두 높은 상관 관계(r=0.725-0.911)를 보였다(p<0.05). 2. 인접면 우식증의 교익 방사선사진 검사와 각 검사법간의 일치도(kappa치)는 각각 시진이 0.451 레이저 형광법이 0.683, 염료와 레이저 형광법이 0.772로 가장 일치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익 방사선사진 검사법과 염료와 레이저 형광법 검사 수치의 상관관계가 진단학적 일치도가 높아 레이저 형광법이 향후 교익방사선 사진 검사법을 대치 할 수 있는 인접면 우식증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