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선시대

Search Result 1,731,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 Study on the Roles of Daheojang and Maedeupjang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역할 규명)

  • SEOL, Jih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3
    • /
    • pp.52-67
    • /
    • 2021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roles of an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Daheojang and Maedeupjang. Daheojang and Maedeupjang share a similar manufacturing process. However, in modern times, Daheojang totally disappeared, and Maedeupjang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present study will investigate the role of Daheojang and Maedeupjang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Daheojang were craftsmen who made bands and strings of woven or twisted silk strands. They made mangsu and tassels or made knots to produce magnificent artifacts. Maedeupjang complete all steps of the process, from refining, dyeing, combining threads, daheo, maedeup, to the tassel. Daheojang in the Joseon dynasty was the center of this process. Daheojang belonged to almost all Uigwe because it used items ranging from large uso to cushion straps. Dahoe is a craft with various items and techniques. It has been widely used to produce majestic items like formal dresses, ritual ceremony pieces, and mountings, as well as daily items like jodae, pocket straps, and norigae. Based on the records of 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udy explore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Daheojang and Maedeupjang. Sambang, the room where both Daheojang and Maedeupjang belong, was the room to produce the royal chair. The royal chair essentially includes large uso. The large uso is an artifact that ties a knot in a thick circle more than two meters long. While Daheojang made rounded daheo, Maedeupjang made delicate and balanced knots. Also, they produced royal inscriptions together with a royal seal with decorative mangsu and a seal of thick rounded daheo. In order to learn about tradition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ystem of the times and social trends. Therefore, the study focused on Daheojang, who were common master crafts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now are not familiar to most people.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현재와 미래

  • 정진택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1
    • /
    • pp.22-26
    • /
    • 2004
  • 역사적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나라 중에 조선산 업이 발달하지 않은 나라가 없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예로부터 조선산업은 한 나라에서 가 장 중요시되는 산업 중의 하나였다. 특히 국가간, 대륙간 교역이 점점 더 큰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바닷길을 이용하지 않고는 교역자 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조선산업의 발전이 필연 적이라고 볼 수 있다. 20세기 중반까지 유럽, 특히 영국이 지니고 있던 조선산업의 주도권을 1950년 대 중반 일본이 물려받으면서 일본 산업 전체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이를 계기로 현재 태 평양시대의 선두로서 세계 경제를 이끌고 있는 것 이다. 한국의 조선산업도 1970년대 초반 정부의 강력한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적극 장려되어, 세계 조선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한 지 10여 년이 지나지 않아 기존 조선국들을 누르고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조선강국을 이루었고, 지 난 해의 경우에는 수주량으로 보았을 때 44%의 점 유율로 한국이 일본을 크게 앞지르게 되었다. 이번호 인터넷정보는 새해를 맞아 국가경제를 굳건 히 지탱하고 있는 전통 산업인 조선산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우리 나라 조병기술 발전사 (2)-휴전이후-ADD 창설이전

  • Kim, Gi-Se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33
    • /
    • pp.20-33
    • /
    • 1990
  • 우리나라 조병기술 발전의 자취를 살펴, 미래상 정립에 일조를 함은 물론 관계인사 미 독자 여러분께 좋은 자료로서 제공하고저, 본 지 창간 11주년기념 특집시리즈로서 꾸며 보았습니다. 이 글은 총 3편으로 구성되며, 조선시대부터 1980년까지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지난 '90년 1월호(통원 제131호)에서는 조선시대부터 창군초기까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번 호는 휴전이후인 1954년에서 ADD 창설이전까지를 위주로 다루었습니다. 다음 호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설립배경과 초창기 연구개발 활동을 중심으로 꾸며볼 계획입니다

  • PDF

Study of 3D Environment Education Content Based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반의 3D 환경교육 콘텐츠 연구)

  • Lee, Kuen-Wang;Jin, Byung-Wook;Oh, Myung-K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209-21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환경교육용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두어 단순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전통문화 체험학습이 아닌,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주거환경 모습을 가상현실로 재현하여 사용자 스스로 현재의 자연환경과 조선시대의 환경변화 모습을 학습하고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 할 수 있는 3D 환경교육용 콘텐츠를 설계 및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Study of Environmental Recognition Change for using Water pollution virtual reality Contents (수질오염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환경인식 변화 연구)

  • Lee, Keun-Wang;Kim,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4-216
    • /
    • 2011
  • 본 눈문에서 구현된 가상현실 콘텐츠는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주거환경을 문헌을 토대로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육 대상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함으로써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현재의 자연환경을 비교하여 스스로 수질오염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나아가 환경인식 변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Software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체험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Jin, Byung-Wook;Lee, Keun-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49
    • /
    • 2009
  • 본 논문은 기존의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환경교육용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두어 단순히 가상현실을 이용한 전통문화 체험학습이 아닌,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주거환경 모습을 가상현실로 재현하고 각계 전문가의 고증을 통해 작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사용자 스스로 현재의 자연환경 변화의 모습과 조선시대의 환경변화 모습을 비교 학습하고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 할 수 있는 환경교육용 가상체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서운관지'쓴 조선시대 천문학자 성덕주(1759~?)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2 s.343
    • /
    • pp.72-74
    • /
    • 1997
  • 2세기 전 조선시대 천문학에 관한 책 '서운관지'를 쓴 성덕주는 대대로 천문학을 전공한 과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형, 아들, 손자까지 모두 천문학자였는데 그가 쓴 '서운관지'는 당시 천문학에 관한 모든 것을 4권으로 나눠 총 정리한 전문서적이다. 지난 11월5일 작고한 유경로 교수는 '서운관지' 1권만 한글로 번역해 학회지에 소개한 후 별세하였는데 나머지 2,3,4권의 번역출간이 아쉽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Software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체험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Lee, Min-G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9-571
    • /
    • 2010
  • 본 논문은 기존의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환경교육용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두어 단순히 가상현실을 이용한 전통문화 체험학습이 아닌,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주거환경 모습을 가상현실로 재현하고 각계 전문가의 고증을 통해 작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사용자 스스로 현재의 자연환경 변화의 모습과 조선시대의 환경변화 모습을 비교 학습하고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 할 수 있는 환경교육용 가상체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Virtual Experienced Content based Soil (토양 기반의 환경교육 가상체험 콘텐츠 구현)

  • Lee, Keun-Wang;Jin, B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0-16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산업과 생산 활동에 급격히 오염된 토양오염을 중심으로 현재의 토양환경과 조선시대의 토양환경을 비교하고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구현하였으며 조선시대의 자연환경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환경교육 학습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토양기반의 환경교육 가상체험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