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선관

Search Result 46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Brie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image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SongMing period (송명역학과 조선전기역학의 상수위주적 상의관의 특징)

  • YOON, SEOKMI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43
    • /
    • pp.267-293
    • /
    • 2014
  •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image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SongMing period. Zhouyi' theory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Zhouyi' theory of SongMing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Meaning theory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explained largely by two routes. One is the perspective of critical succession on Zhouyi'theory of focusing on meaning that led Chengyi(程?) and Yangwanli(楊萬裏). As the representative of this route, Gwongeun and Toegye not only asserted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meaning, but also developed a perspective of taking all the image and meaning. The other is the active success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about Image-Meaning theory of Tushuxue that led Chentuan(陳?) and Shaoyong(邵雍). As the representative of that route, Yulgok and Yeohun explained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universe of the universe by using methodology of Tushuxue. Furthermore, they actively succeed Shaoyong' Zhouyi theory to expand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number. In addition, Cho, Haoyi(曺好益)described the propositions - "meaning is not out of image area, image equipped with meaning all, then there is no law of limitation in image adopted theory. Those propositions are opposed to Chengyi(程?) and Zhuxi(朱熹)' ZhouYi' theory.

The Investigation of Local Governors' Diaries in Joseon Dynasty for Utilization of Governmental facilities in Regional cities (조선시대(朝鮮時代) 지방관(地方官) 작성(作成) 일기류(日記類)의 검토와 활용)

  • Yeo,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9-52
    • /
    • 2009
  • 최근 지방 도시들이 지역의 전통 문화와 문화재 그리고 이들과 연관된 지역 문화축제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조선시대 각 읍치에 설치되었던 관영시설(官營施設)들을 복원 정비하고 있다. 지방 관영시설의 복원 정비후 대두되는 중요한 과제는 무엇보다 그의 활용 문제라 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과거 읍치의 관영시설에서 행해졌던 행례의 재현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증폭된 관심과 현실적 요구에 비하여 관련분야의 연구는 극히 미약한 실정이다. 이는 무엇보다 관련 자료가 매우 적고 제한적이란 점에 기인한 것으로 관련 자료의 발굴 검토가 중요한 선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고 조선시대 지방관이 작성한 일기류(日記類)를 발굴하여 그 내용을 조사 검토하였으며, 검토된 일기류를 토대로 지방 읍치시설의 이용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 향후 지방관 작성 일기류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Based System for Main Engine Selection of Ships (선박 주기관선정 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 Dong-Kon Lee;Kyung-Ho Lee;Kyu-Yeul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4
    • /
    • pp.1-7
    • /
    • 1993
  • This paper describes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system for main engine selection of ships using general purpose expert system development tool, Nexpert Object. Developed system consist of ship performance estimation module such as resistance and propulsion, data base for main engine, knowledge base for main engine selection in Nexpert Object and graphic user interface.

  • PDF

Development of high speed ship for fast sea transportation (차세대 고속해상수송을 위한 초고속선 개발)

  • 양승일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4 no.6
    • /
    • pp.15-18
    • /
    • 1997
  • 21세기의 고속해상교통수단으로 등장할 초고속화물선의 필요성, 핵시기술, 개발실적, 실용화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더 나아가 해상급유를 고려한 태평양항로용 대형초고속화물선도 여러분야의 고도기술력과 집중적 개발비 그리고 산.학.연.관의 추진체계로 가능할 것이다. 세계물동량의 대부분이 해상수송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초고속화물선의 등장으로 21세기에는 door-to-door 서비스의 일관된 물류시스템이 우리 곁에 다가올 것으로 기대해 본다. 아울러 초고속선 기술은 조선산업의 고부가차기화를 통한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미래 조선산업에서의 주도적 역할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