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rie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image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SongMing period

송명역학과 조선전기역학의 상수위주적 상의관의 특징

  • Received : 2014.11.03
  • Accepted : 2014.11.28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image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SongMing period. Zhouyi' theory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Zhouyi' theory of SongMing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Meaning theory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explained largely by two routes. One is the perspective of critical succession on Zhouyi'theory of focusing on meaning that led Chengyi(程?) and Yangwanli(楊萬裏). As the representative of this route, Gwongeun and Toegye not only asserted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meaning, but also developed a perspective of taking all the image and meaning. The other is the active success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about Image-Meaning theory of Tushuxue that led Chentuan(陳?) and Shaoyong(邵雍). As the representative of that route, Yulgok and Yeohun explained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universe of the universe by using methodology of Tushuxue. Furthermore, they actively succeed Shaoyong' Zhouyi theory to expand Image-Meaning theory focused on number. In addition, Cho, Haoyi(曺好益)described the propositions - "meaning is not out of image area, image equipped with meaning all, then there is no law of limitation in image adopted theory. Those propositions are opposed to Chengyi(程?) and Zhuxi(朱熹)' ZhouYi' theory.

본고는 조선전기역학과 송명역학 상의관(象義觀)의 상수위주적(象數爲主的) 특징을 고찰함에 목적이 있다. 조선전기역학은 송명역학의 기초 위에 독창적인 상의관을 전개했다. 조선전기역학의 상의관은 크게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 하나는 정이(程?)와 양만리(楊萬裏)로 이어지는 의리역학의 상의관에 대한 비판적 계승의 관점이다. 권근의 '인기리이순응지(因其理而順應之)'와 퇴계의 '귀리불귀수(貴理不貴數)'는 '이의리위주(以義理爲主)'의 상의관에 관한 대표적인 명제들이다. 이들은 의리중심의 상의관을 주지하면서도, '의불출수외(義不出數外)', '은오지의여승제지법도득명상(隱奧之義與乘除之法都得明詳)' 등 주희역학의 겸치상의(兼治象義) 상의관도 적극 수용한다. 요컨대, 이들 상의관은 의리위주(義理爲主)의 입장에서 겸치상의(兼治象義)를 천명함에 의의가 있다. 다른 하나는 진단(陳?)과 소옹(邵雍)으로 이어지는 도서역학의 상의관과 정주의 상수계열 후학에 대한 적극적 계승과 창조적 변용이다. 이이는 철학적 관점에서 '리(理) 기(氣) 물(物)의 동시적 발생'을 주장하였고, 이는 역학철학에서 '리(理) 상(象) 수(數)의 불가분리성(不可分離性)'의 상의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적 배열로 우주의 정합적 도식을 설명하려했던 도서학적 전통이다. 이러한 도서학적 전통 속에서, 장현광은 '이득수이위체(理得數而爲體)'와 '역리불외수(易理不外數)' 명제를 제기한다. 이들은 소옹의 수학적 역학을 적극 계승하여 이수위주(以數爲主)의 상의관(象義觀)을 천명하고 있다. 조호익(曹好益)은 도서학적 전통에서 벗어나 "주역"경전 해석에 집중하면서 이상위주(以象爲主)의 상의관(象義觀)을 전개한다. 그는 '불외호상(不外乎象)', '상개구의(象皆具義)', '취상무상(取象無常)' 등 이상위주(以象爲主)의 상의관(象義觀)을 제기하면서 이를 근거로 다양한 상수역학적 해석틀을 창안했다. 요컨대, 조선전기역학의 상의관은 전대의 상의관(象義觀)을 상(象) 수(數), 상(象) 리(理)(의(義)), 상(象) 기(氣), 수(數) 리(理), 수(數) 상(象) 의(義), 상(象) 수(數) 리(理) 기(氣) 등 다양한 논의로 발전시켰다. 그 논의는 이겸치상의(以兼治象義), 이수상위주(以數象爲主)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건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