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석현상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haracteristics of Reverberation due to Internal Wave in Shallow Water (천해에서의 내부파에 의한 잔향음 특성)

  • 박종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47-150
    • /
    • 1998
  • 천해에서의 음파전달은 심해와 비교하여 복잡하고 경계면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서해에서 하계의 평균 수온자료로 잔향음을 계산한 결과 해저면 잔향음(reverberation)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해에서는 하계에 내부파에 의한 강한 수온약층의 생성이 관측되었으며, 이런 현상은 음파전달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내부파를 조석에 의한 장주기와 단주기로 구분하여 적용한 결과 고주파 음원을 사용할 경우 장주기 내부파에 의한 수온약층의 수식변동에 따른 잔향음은 최대 13dB까지 차이가 났으며 단주기 내부파의 경우 수온약층의 하강한 경우 수온약층이 상승한 경우보다 근거리에서 전달손실 변화가 작았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High Concentration Ozone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고농도 오존 사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재희;조석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99-200
    • /
    • 1999
  • 오존은 대기의 산화력을 증가시켜 화학 반응으로 인한 미세 먼지를 생성시키다. 이로 인하여 시정장애 등의 원인이 되어 대기질을 악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존의 고농도 현상이 1994년부터 수도권 지역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 지역에 빈번히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고농도 오존의 원인과 이론적 해석을 위해서는 측정과 모사를 병행한 연구가 요구된다.(중략)

  • PDF

Seoul Ozone Intensive Study in 2000(SOIS 2000) (2000년 서울시 오존공동관측 프로그램)

  • 한진석;조창래;김민영;조석연;김영준;이강웅;허귀석;차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97-298
    • /
    • 2000
  • 최근 서울과 수도권지역의 오존농도에 대한 환경기준치 초과횟수와 고농도 발생일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일 최고농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기도지역 및 지방도시의 고농도 오존이 크게 증가하는 등 오존의 광역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오존 및 오존 전구물질의 현황 및 발생기작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외국의 경우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여 종합적인 오존 및 오존전구물질의 현황 파악 및 생성기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중략)

  • PDF

Simultaneous Measurement and Interecomparison of Criteria Pollutants between Laboratories (대기환경기준 설정항목 실험실간 동시측정 비교)

  • 한진석;김정수;안준영;김창환;김정호;김민영;이민현;조석주;김정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99-301
    • /
    • 2000
  • 대기환경기준 설정항목은 아황산가스를 비롯하여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총부유먼지(TSP), 미세먼지(PM10), 납 6개항목이며, 이들 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와 총부유먼지는 1990년대 급격히 오염도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산화탄소와 납의 경우에도 환경기준을 대부분의 지역에서 만족하고 있으나 이산화질소와 오존은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도리어 오존의 고농도 발생현상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bservation Based Model to the Ozone Episode in Seoul, Korea (서울의 고농도 오존사례 연구를 위한 관측기반모형의 개발과 적용)

  • 신성수;조석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5-156
    • /
    • 2002
  •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와 자동차 수의 증가에 따라서 오존 전구물질인 VOC와 NOx의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고농도 오존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오존은 VOC와 NOx간의 광화학 반응으로 형성하므로. VOC와 NOx중의 하나는 제한종(limiting species)로 작용하게 되므로, 광화학 반응을 분석하여 제한종을 규명하여야만 효율적 오존 저감대책을 세울 수 있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the Inflow Rate of Wave Chamber Installed Rubble Mound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with a Seawall (월류제 부설 경사식 해수교환방파제의 유입유량 추정)

  • 이달수;오영민;전인식;김창일;성효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118-123
    • /
    • 2003
  • 재래식 방파제는 투수성이 작아 항내ㆍ외간 해수유통을 저하시켜 조석간만의 차가 작은 해역의 항만에서는 오염원이 유입될 때 수질이 쉽게 악화된다. 특히 방파제 후면 수역을 매립하여 선착장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이 현상은 심화된다 이를 해결하려면 육상으로부터의 오염원 유입을 저감시킴과 함께 정체된 항에 흐름이 존재하도록 하는 건설 공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입자추적모형에 의한 해수교환율 산정방법

  • 이종섭;이왕관;주귀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37-239
    • /
    • 2001
  • 항 또는 폐쇄성 만에서의 수질은 만내로 유입하는 오염부하량이 얼마나 원활하게 외해로 방출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문제는 해수교환, 해수교류라는 말로 표현되고 있다. 일반적인 교환의 개념에서 볼 때 해수교환이란 어떤 해역(수괴)과 어떤 해역(수괴)이 현상의 1주기 사이에 서로 해수를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 해양에서 물질수송은 조류, 바람, 밀도류 그리고 해류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어떤 한 지점에서 1조석주기에 대하여 이러한 성분을 적분한 흐름을 잔차류라고 부른다. (중략)

  • PDF

Effects of Tidal Flat Enlargement Induced by Tidal Amplification (조석확폭에 수반되는 조간대 영역 확대의 영향성)

  • Kang Ju Whan;Moon Seung Rok;Park Seon 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1
    • /
    • pp.47-54
    • /
    • 2005
  • A method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be handled easily and economically for inputting depth data of complex bathymetry and enourmous tidal flats such as Mokpo coastal zone. The method is applied to Chungkye Bay, and some hydrodynamic features related with tidal flat are analyzed. Tidal amplification by construction of the sea-dike and sea-walls had been detected not only near Mokpo Harbor but also at Chungkye Bay which is connected with Mokpo Harbor by a narrow channel. This brings about the increase of tidal flat area, which makes the ebb dominance at Chungkye Bay more seriously. This pronounced ebb dominance with the increase of tidal discharge at the channel between Chungkye Bay and Mokpo Harbor, which results in deepened ebb dominance near Mokpo Harbor as well.

Analysis of Tidal Flow using the Frequency Domain Finite Element Method (II) (有限要素法을 이용한 海水流動解析 (II))

  • Kwun, Soon-Kuk;Koh, Deuk-Koo;Cho, Kuk-Kwang;Kim, Joon-Hyu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4 no.2
    • /
    • pp.73-84
    • /
    • 1992
  • The TIDE,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simulation of tidal flow in shallow sea was tested for its applicability at the Saemangeum area. Several pre and post processors were developed to facilitate handling of the complicated and large amount of input and output data for the model developed. Also an operation scheme to run the model and the processor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calibration test using the observed data collected at 9 points within the region, linearlized friction coefficients were adjusted to be ranged 0.0027~0.0072, and water depths below the mean sea level at every nodes were changed to be increased generally by 1 meter. Comparisons of tidal velocities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simulated for the 5 stations were made and obtained the result that the average relative error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tidal velocities was 11% for the maximum velocities and 22% for the minimum, and the absolute errors were less than 0.2m/sec. Also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R.M.S. error between the velocities of observed and simulated was 0.119 m/sec and th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0 showing close agreement. Another comparison test was done to show the result that R.M.S. error between the simulated and the observed tidal elevations at the 4 stations was 0.476m in averag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anged 0.96~0.99. Though the simulated tidal circulation pattern in the region was well agreed with the observed, the simulated tidal velocities and elevations for specific points showed some errors with the observed. It was thought that the errors main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IDE Model which was developed to solve only with the linearized scheme.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to improve the simulation results by the model, a new attempt to develop a fully nonlinear model as well as further calibration and the more reasonable generation of finite element grid would be needed.

  • PD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tratification in Deukryang Bay, Korea (밀도류 효과에 으히나 득령만의 성층변동 특성)

  • Byung-Gul Lee;Kyu-Dae Cho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7 no.2
    • /
    • pp.223-232
    • /
    • 1998
  •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tratification In Deukryang Bay were studded using observed data and analytical model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density structure and its the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from observed data along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mouth to head of the bays, we found that the stratification Intensity could be changed strongly by density current effect during the spring-neap tidal cycle, and depth variation. To find out density current effect for the formation of the stratification In detail, we Implemented a diagnostic approach by using the modified analytical model including density current, tidal current, surface heating and wind stirring. The model allowed for the observed similarities for the whole domain in the bay and increased tidal mixing efficiency value s up to 0.006-0.007 as compared to the results without density current effect. We found that the density current effect was also an important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form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rat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