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석류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hydroxycholanic Acid 류의 이담작용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ihydrocholanic Acid on Choleretic Action)

  • 홍사욱;조석준;조태순
    • 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3-200
    • /
    • 1978
  • Cholic, ursodesoxycholic, chenodesoxycholic, desoxycholic and hydesoxycholic acids were dissolved in the propylene glycol to make solution and then above solution of cholanic acids on bile secretion was investigated by injection those solutions into small intestine of rabbits and albino rats. The cholates in bile juice from rabbits injected with cholic acid were remarkably increased and therefore it exhibited a typical choleretic action. In view of pharmacological point, desoxycholic acid is considered as superior hydrocholeretic agent, and ursodesoxycholic and chenodesoxycholic acids have similar effect in decreasing order. However, the effect of bile secretion by hyodesoxycholic acid was almost negligible as that by propylene glycol administered. The cholate content in the bile juice from albino rat was increased by cholic and desoxycholic acids in decreasing order: i.e., they exhibited choleretic action. In the case of ursodesoxycholic and chenodesoxycholic acids, the concentration of cholate was slightly increased in bile juice from the rat, so that these cholates showed a weak choleretic action. While total output of bilirubin was increased by chenodesoxycholic acid, the other cholanic acid showed no effect in the rabbit.

  • PDF

계단형 불연속 지형에 대한 불연속 갤러킨 음해법의 적용 (Application of Implicit Discontinuous Galerkin Method to Step-Type Discontinuous Bathymetry)

  • 이해균;이남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3-253
    • /
    • 2021
  • 천수방정식에 대한 불연속 갤러킨 기법 (DG) 모형은 주로 양해법 기반으로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으나, 바닥마찰항의 처리, 과도한 CFL 조건 등의 불리한 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적용에서 FDM, FEM 등 다른 고전적인 수치기법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갖기 어려웠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최근, 불연속 갤러킨 기법에 대한 음해법 기반의 모형이 연구되고 있으며, 다소 복잡한 알고리즘에도 불구하고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천수방정식의 실제 하도에 대한 적용에 있어 문제점 중 하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할 때 사용된 정수압 가정으로 인하여, 하도의 계단과 같은 불연속 지형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불연속 갤러킨 음해법에 불연속 지형의 해석을 위한 표면경사법(surface gradient method)을 결합하여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제방 등 하도 구조물 위의 장주기 조석흐름, 홍수파, 계단 등을 포함하는 댐 붕괴류 모의에 적용하고 실용적인 기능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구조물이 많은 국내 하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새만금 간척전·후 금강 하구의 퇴적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Estuary of the Geum rive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배기성;김남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5-15
    • /
    • 2001
  • 새만금방조제 축조 전 후 금강하구의 조류 변화와 잔차류특성, 금강의 부유사 유입에 의한 퇴적 과정을 알아보았다. 잔차류는 새만금방조제 축조 전후 금강 하구역의 조석잔차류와 관측된 수온 염분,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에 의한 퇴적과정은 잔차류와 입자의 침강속도를 고려하여 Euler Lagrange 방법으로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3차원 수치 실험에 의하여 재현하였다. 토립자(土粒子)의 중앙입경은 $150{\mu}m$, $300{\mu}m$, $400{\mu}m$의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토립자(土粒子)의 분포사항은 금강하구둑에서 토립자(土粒子) 방류후 24시간과 72시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봄에 관측한 수온 염분, 바람, 조석응력을 이용하여 계산한 잔차류의 특성은 상층에서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역에서 시계방향의 흐름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구특성의 하나인 밀도류에 의한 흐름은 하구 쪽 방향으로 아주 작은 분포를 하고 있었다.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수치실험 한 결과 24시간후의 퇴적분포는 대부분 금강하구와 장항해역에서 퇴적분포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72시간 후에는 금강하구와 장항해역, 만경강과 동진강하구까지 퇴적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마산만에서 입자수치실험에 의한 해파리 분포연구 (A Study of Distribution of Jellyfish by Particle Numerical Experiment in Masan Bay)

  • 최민호;유태관;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5-343
    • /
    • 2016
  • 마산만에서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해파리의 시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먼저 3차원 해수유동모델(POM)을 이용하여 조석, 바람, 수온 염분의 효과를 고려한 잔차류를 계산하였다. 마산만의 마산항, 중공업단지, 가포신항에서 발생한 해파리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잔차류에 의한 입자추적자 모델을 이용하였다. 해파리의 분포는 마창대교 북쪽해역에서 최대인 2,533 개체수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잔차류의 다방향으로 혼재하는 흐름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판단된다. 해파리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잔차류가 우세한 해역에서 외력조건에 따른 해파리의 집적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조석잔차류, 취송류, 밀도류의 유형별 수치실험을 하였다. 특히 마산만의 마창대교와 마산만 입구인 모도해역에서는 취송류(바람에 의한 효과)가 해파리의 집적에 탁월한 것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Saline Water Movem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장선덕;유청노;이문옥;이재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7
    • /
    • 1981
  • 우리나라 남동부의 광범한 유역을 따라 흐르는 낙동강은 국내에서 가장 긴 하천의 하나로서 영남지역을 굽이쳐 흐르다가 부산 앞바다를 통하여 대한해협에 유입한다. 이 강의 하구는 유역주민의 생활 및 산업용수원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산업입지 및 자연환경 보전문제로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낙동강은 하구로부터 약 40km상류까지 상향류를 보이며, 약 60km상류까지 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으로서 (유 장 1979), 하구역에는 해수, 하천의 담수 및 양자의 혼합수가 조석의 간만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유출되기도 하고 유입되기도 한다.

  • PDF

입자추적기법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지의 확장에 관한 수치예측 (A Numerical Estimation on Extension of Marine Afforestation Area using Particle Tracking Method)

  • 조재권;김대권;이문옥;오태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922-934
    • /
    • 2010
  • 바다숲 조성용 시설물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하여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 예정지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흐름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해수흐름을 바탕으로 하여 해조포자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자추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s Dynamics Code)를 사용하였으며, 연직방향으로 총 5개 층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바다숲 조성대상해역의 해수흐름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잔차류를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개의 순환 고리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수흐름의 패턴을 고려하여 3곳의 바다숲 시설물의 설치장소를 선정하고 저층에 입자를 투입하여 15일간 추적을 실시한 결과, 1번과 3번 정점은 해안선에 연하여 띠형태로 시설하며, 2번 정점은 연안에서 약 300 ~ 500m정도 떨어진 곳에 타원의 형태로 시설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산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Variability of Current Velocities in Masan Inlet)

  • 김종화;장선덕;김삼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4-280
    • /
    • 1986
  • 대, 소조기에 마산만에서 연속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여 만구 단면의 유속 변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net velocity와 RMS속도의 등양선 및 순 유출입량을 계산하여 검토하였다. 최강유속은 수도 중앙과 서부의 4m 이하의 표층에서 나타나고, 최대 유입속도 24cm/sec 최대 유출속도는 15 cm/sec이다. 최강유속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4m 이심에서는 유속이 약하여 $0{\sim}2cm/sec$에 불과하다. 만구 단면의 가장자리의 상층에 역류가 존재한다. net velocity는 비가 오지 않은 대조기의 경우 유출유속은 만구단면 서부에서 나타나며, 유입유속은 단면 동부에서 나타난다. 비온 직후의 소조기에는 이와 정반대로 흐른다. RMS속도의 최대 세기는 대조기에 $11.3{\sim}15.0cm/sec$, 소조기에 $7{\sim}10.3cm/sec$로서 단면 서부의 표층에 있으며, 매 조석주기마다 거의 동일위치에서 계속 존재한다. 순 통과유량은 건기에 $-39.7m^3/sec$, 우기 $-170m^3/sec$로서 유출이 탁월하다. 항유성분은 건기에는 조석잔차류가 우세하지만, 소조기의 강우시에는 밀도류가 우세한 것으로 추리된다.

  • PDF

표층퇴적물 및 표사수지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계절별 표사 이동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ediment Transport in Haeundae Beach)

  • 이종섭;탁대호;윤은찬;김석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7-556
    • /
    • 2007
  • 해운대 연안에서 파랑, 해빈류 및 조석류에 의한 표사이동을 TRANSPOR-2004를 이용해서 계절별 표사수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년간의 표사수지를 계산하고 표사의 유출입경로를 유추하였다. 해수욕장의 동쪽 해안을 따라 해수욕장으로 유입된 표사는 중앙부에서 일부는 20% 정도는 외해로 유출하고 80% 정도는 해안을 따라 동백섬 쪽으로 이동하는 패턴을 나타냈다. 또한 동백섬의 남쪽에선 해안을 따라 해수욕장으로 유입되는 표사이동 패턴도 나타났다. 이 결과는 Gao 모델을 이용하여 봄과 가을의 퇴적물 이동 패턴을 계산한 결과와도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문도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 특성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around the Geomoondo Marine Afforestation)

  • 정종암;신춘수;김종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32
    • /
    • 2012
  • 거문도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및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해역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 흐름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사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총 5개 층을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의 검증은 조위 및 조류 각 2개 정점의 조화분석을 통한 조화상수 비교를 통하여 수치실험결과와 관측결과가 잘 일치하고 조시별 유동장을 잘 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치실험결과,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흐름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비해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밖노루섬으로 인해 흐름이 약해지고, 잔차류는 주로 북서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나 크기는 미약하게 나타나 포자나 유배 등이 만내에 체류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바다숲 조성시설물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동측 연안성의 조류 및 풍성류 모형 (Modeling of Tidal and Wind-Driven Currents in Eastern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 Ro, Young-Jae;You, Ik-Hwa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31-242
    • /
    • 1992
  • 분 연구에서는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조류 및 취송류의 순환형태를 고찰하였다. 사용된 모형은 유체의 운동 및 연속방정식에 기초한 연직평균 2차편 모형으로서 양해법을 사용하며, 개방경계에서의 해수면 변화와 바람의 전단력에 의한 forcing을 포함한다. 모형의 영역은 북위 35$^{\circ}$~36$^{\circ}$40', 동경 125$^{\circ}$~126$^{\circ}$40'이며 경사간격은 x, y 방향 공히 5km이다. 피해측에서 22일간 관측된 조석(2개 지점) 및 조류(1개 지점) 자료와 비교한 결과 본 모형은 4개 주요 분조에 의한 조석 및 조류를 정확도 90% 이내로 재현하였다. 여섯 가지 경우의 가상적인 바람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흐름의 분포양상과 지역적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풍향에 관계 없이 강한 연안류가 발생하며, 또한 해저지형의 영향으로 부안 외해측에 주반경 40km의 지역적인 과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