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상

Search Result 2,90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ltering LCA of dependency parse trees for improving relation extraction from adjective clauses (형용사구에서의 관계추출 개선을 위한 의존구문트리의 최소공동조상 (LCA) 변경)

  • Lee, Dae-Seok;Myaeng, Sung-Hy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52-55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서 개체(entity) 간 관계(relation) 추출 문제에서 의존구문트리를 이용하여 자질을 추출할 때 형용사구 내에 관계가 나타나는 경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률적으로 의존구문트리의 최소공동조상(LCA: Least Common Ancestor)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보다 형용사구가 나타날 때는 형용사구의 술어를 대신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은 자질이 된다는 것을 제안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SVM(linear), SVM(exponential kernel)을 이용한 실험들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트리커널을 이용한 것과 같이 의존구문트리의 최소공동조상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관계추출 모델들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수행한 실험 과정을 통해 관계추출 데이터 셋에서 형용사구 내 관계를 포함하는 문장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을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Reactive power compensation using OPF for various load conditions (각 부하 수준에서 최적조류계산을 활용한 조상설비 설치 위치 및 용량 산정 방안)

  • Cho, Hwan-Hee;Bae, Moon-Sung;Jeong, Jin-Woo;Lee, Byo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5-196
    • /
    • 2015
  • 최근 계절별, 시간대별 전력 수요 패턴의 변화로 계통의 전압 수준을 일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계통 전압이 높으면 작게는 설비 상의 문제부터 크게는 계통 안정도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전압 유지 및 계통 안정도 향상을 위해서 적정한 위치에 조상설비 투입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모선의 전압을 낮추기 위해 최적의 조상설비 설치 위치 및 용량 산정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2014년 시간대별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적조류계산을 수행하여 리액터 용량을 계산하고 경부하시 리액터 투입하는 것이다. 제안된 최적조류계산을 활용한 리액터 설치 지점 및 용량 선정 방안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계통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 PDF

Study on Update Processing for Secure XML documents including Invisible Ancestor (보이지 않는 조상을 포함하는 안전한 XML 문서의 갱신 질의 처리에 대한 연구)

  • Byun Chang-woo;Park 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2-54
    • /
    • 2005
  • XML이 웹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되면서 공유 부분에 대한 데이터 처리의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최소 단위의 접근제어 모델에 대한 연구가 판독 모드 측면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 질의 처리 연구에서는 XML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갱신 질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갱신 질의 연산을 최소 단위 접근제어 모델의 연산 모드로 추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조상 문제를 정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려 사항으로 보이지 않는 조상 노드들을 포함하는 XML 문서에 대한 갱신 연산 시 고려해야 할 특성을 갱신의 비밀성, 갱신의 무결성, 그리고 갱신의 일관성으로 정의하고 갱신 연산 수행 시 발생될 수 있는 특성 위배 상황을 정리한다.

  • PDF

한국의 주택난방 변천과정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s.21
    • /
    • pp.67-78
    • /
    • 1990
  •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의 유물이 한반도 각지에서 발굴됨에 따라 이 시대부터라는 것이 자명한 사실로 인정된다. 그러나 이들 구석기인들이 우리의 직접적인 조상이 된다고 할 수 없는데, 구석기 시대를 뒤이은 중석기 시대의 유적발굴과, 연구의 부족으로 중석기문화에 대한 단절이 있으며 신석기 문화가 새로 생겨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한국인의 조상으로부터 시작되는 한국주거사, 나아가 주택난방의 시작은 당연히 신석기 시대부터 고찰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조선시대까지의 한국전통주택건축의 난방설계를 이해케하며 이를 통하여 한국전통 생활사의 일부를 밝힌 고려대학교 주남철 교수의 논고 $ulcorner$한국의 주택난방 변천과정$lrcorner$을 전재한 것이다.

  • PDF

Dedicatory Inscriptions on the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s of Gamsansa Temple (감산사(甘山寺) 아미타불상(阿彌陁佛像)과 미륵보살상(彌勒菩薩像) 조상기(造像記)의 연구)

  • Nam, Dongsin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8
    • /
    • pp.22-53
    • /
    • 2020
  •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josanggi) on the Amitabha Buddha and the Maitreya Bodhisattva statues of Gamsansa Temple, two masterpieces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n the first section, I summarize research results from the past century (divided into four periods), before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at questions the pre-existing notion that the Maitreya Bodhisattva has a higher rank than the Amitabha Buddha. In the second section, through my own analysis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arrangement,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two images, I assert that the Amitabha Buddha sculpture actually held a higher rank and greater significance than the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 In the third section, for the first time, I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two previously undeciphered characters from the inscription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sentence structures from the respective inscriptions and revising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uthor (chanja) and calligrapher (seoja), I elucidate the possible meaning of some ambiguous phrases. Finally, in the fourth section, I reexamine the content of both inscription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parts relating to the patron (josangju), the dedication (josang), and the prayers of the patrons or donors (balwon).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phrase "for my deceased parents" is not merely a general axiom, but a specific reference. To summarize, the dedicatory inscription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when Kim Jiseong's parents died, they were cremated and he scattered most of their remains by the East Sea. But years later, he regretted having no physical memorial of them to which to pay his respects. Thus, in his later years, he donated his estate on Gamsan as alms and led the construction of Gamsansa Temple. He then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the two stone sculptures of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for the temple, asking that they be sculpted realistically to reflect the actual appearance of his parents. Finally, he enshrined the remains of his parents in the sculptures through the hole in the back of the head (jeonghyeol). The Maitreya Bodhisattva is a standing image with a nirmanakaya, or "transformation Buddha," on the crown. As various art historians have pointed out, this iconography is virtually unprecedented among Maitreya images in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leading some to speculate that the standing image is actually the Avalokitesvara. However, anyone who reads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n have no doubt that this image is in fact the Maitreya. To ensure that the sculpture properly embodied his mother (who wished to be reborn in Tushita Heaven with Maitreya Bodhisattva), Kim Jiseong combined the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the reincarnation of compassion). Hence, Kim Jiseong's deep love for his mother motivated him to modify the conventional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A similar sentiment can be found in the sculpture of Amitabha Buddha. To this day, any visitor to the temple who first looks at the sculptures from the front before reading the text on the back will be deeply touched by the filial love of Kim Jiseong, who truly cherished the memory of his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