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사 및 식별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6초

적용조건 매트릭스를 이용한 신뢰성 척도 식별 기법 (An approach of the Reliability Metrics Identification Using an Application Condition Matrix)

  • 박진희;최옥주;백종문;신주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36-239
    • /
    • 2010
  • 소프트웨어 신뢰성 보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는 다양한 관점에서 대상 소프트웨어 시스템뿐만 아니라 관련된 조직 및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 수행 단계 중 단계별 척도 식별단계는 대상 시스템의 도메인 특성을 반영해야 하는 까다로운 작업이다. 현재 신뢰성 관련 척도들이 여러 문서에 다양한 의미로 혼재해 있어 이를 조사하는데 많은 노력이 들며 대상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척도 식별을 위해 불필요하게 많은 회의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문서 및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신뢰성 척도 POOL 을 구성하고 각 척도 원시 데이터의 수집 조건에 기반한 적용조건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신뢰성 관련 척도 조사 및 수집, 척도 식별 과정에서 소요되는 자원, 시간의 낭비를 줄이고자 한다. 이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소요된 시간과 기존의 회의를 통해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측량 분야의 리스크 식별을 위한 리스크 체크리스트 개발 -도로 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sk Check List and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Survey in Road Construction)

  • 곽준환;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01-904
    • /
    • 2008
  • 측량은 건설 공사 전반에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측량이 건설 공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측량의 리스크 식별 및 관리에 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의 시공 시 수행되는 측량에 관한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건설 공사 중 도로 공사에 수행되는 측량을 대상으로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리스크 관리는 리스크 식별, 분석, 대응의 3단계로 수행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식별 및 분석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도로 공사의 측량 리스크 체크리스트 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리스크 인자의 식별에는 도로 공사 시방서, 측량법, 도로 공사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리스크를 바탕으로 도로 공사의 측량 관련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작성될 체크리스트는 측량 관련 전문가 집단의 면담 조사를 통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여 측량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 PDF

전거제어를 위한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ISNI for Authority Control)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3-151
    • /
    • 2014
  • 본고는 정보산업 분야 전체를 포괄하는 연계식별자로서 ISNI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ISNI의 개념 및 전거제어에서 이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SNI는 창작, 생산, 관리, 내용 배포의 흐름에서 정보매체 내용산업 전체와 관련된 개인(Party)의 대중개체(Public Identities) 식별을 위한 연계식별자로 전세계 망라적 이름 전거제어를 위해 필요하다. 우선 ISNI의 개념, 목적, 용어, 식별자구조, ISNI 할당원칙, 관리방식, 메타데이터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거제어에서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국내 협력 전거제어를 위해 ISNI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 맞는 ISNI 체제인 KISNI를 구축하여 도서관 및 정보산업 분야에서 생산되는 모든 전거데이터를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연계식별자인 ISNI를 이용하여 여러 식별자를 연계함으로 링크드데이터 구축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서지레코드 및 전거레코드에 ISNI 식별자를 기술할 수 있도록 KORMARC을 확장해야 할 것이다.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의(單板樹種)의 목재식별(木材識別) - II. 현미경적(顯微鏡的) 성질(性質)에 의한 목재(木材)의 특성(特性) 및 그 식별(識別) -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 I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Microscopic Features -)

  • 이필우;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2-5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육안적(肉眼的) 특성(特性)에 의한 목재식별(木材識別)의 속보(續報)로써 앞으로 생산가능(生産可能)한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현미경적(顯微鏡的)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선정(選定)된 50수종(樹種)의 현미경적(顯微鏡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기재(記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활엽수재별(闊葉樹材別)로 목재식별(木材識別) 검색표(檢索表)를 간략(簡略)하게 보고(報告)하면 다음과 같다.

  • PDF

저고도 소형드론 식별기술 동향 조사 및 식별시스템 제안 (A Survey on Identification Technology of Low-altitude Small Drones and Suggestion of an Identification System)

  • 신재호;신승찬;고상호;강규민;황성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8-2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드론 수요와 함께 증가하는 드론의 역기능을 해결하기 위한 저고도 소형드론 관리 기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나라에서의 저고도 소형드론 식별기술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소형드론의 위치, 속도 등 비행정보 이외에도 비행 계획, 조종자의 신원 등 다양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진행되어온 연구 사례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각각의 사례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나열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의 드론 식별기술들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시스템 구성안을 제안하였으며, 비행시험 환경을 구성하여 제시한 시스템을 비행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선박식별 및 추적장치의 국제동향과 전자항해전략에 관한 연구 (International Trends on Vessel Identification and Tracking and E- Navigation Strategy)

  • 정중식;남택근;김철승;박성현;임정빈;안영섭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창립 30주년 심포지엄(논문집)
    • /
    • pp.105-111
    • /
    • 2006
  • IMO COMSAR 10차 회의의 결과로 선박장거리추적식별장치(LRIT)에 대한 SOLAS 성능기준안 초안이 MSC. 81차 회의에 승인을 받기 위하여 제출되었다. LRIT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와 함께 모든 SOLAS 대상선박에 대한 선박모니터링시스템(VMS)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AIS 및 LRIT의의 국제적인 동향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하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자항해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추진방향 및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독립전원 해상교통 안전 지시 신호 및 식별 표시판 관련 연구

  • 김민철;김지영;고종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6
    • /
    • 2017
  • 해양 교통안전을 위하여 해상에서선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UN 등 국제규정에 의해 지시와 규제 및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있으며, 야간에도 항해선박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LED, 역반사재, 표시판의 조사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식별을 강화하고 있으나, 항해자의 눈부심, 발광 빛의 번지는 형상, 전력의 공급 등 취약적인 요소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해상에 설치되는 안전신호 표시판을 항해자가 보다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고, 해상에서 독립적인 전력을 획득하여 빌광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하였다.

  • PDF

디지털운행기록 장치 데이터 보안 원칙과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식별 방안

  • 김태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2
    • /
    • 2023
  • 디지털운행기록장치(DTG)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장치로, 여객 및 화물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장착되어 여러 실시간 운행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부분 버스, 택시, 화물차 등에 사용되며, 상용 자동차의 운전자를 인증하고 과도한 운행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디지털운행기록장치 관련 지침 및 표준 사양의 보안 기술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문헌조사를 통해 발견된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데이터 보호 관련 기본적 보안원칙을 소개한다. 더불어,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식별 방법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 사례의 결과를 함께 소개한다.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National Authority Data Sharing System)

  • 백지원;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1-143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지식정보자원의 효과적인 구축과 활용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 전거데이터 구축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전거의 국제표준식별체계와의 연계 가능성 및 개선사항을 밝히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가입 기관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전거 관련 현황과 어려움,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 식별자에 대한 인식 및 활용, ISNI와의 연계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활성화 요인에 대한 중요도 및 달성도, 전반적인 만족도 및 개선 방향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을 통한 국가 전거데이터 구축과 활용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가 전거데이터와 국제 표준 식별 시스템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요도-성과 분석을 통해 개선 사항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향후 국가 전거 구축의 발전 방안으로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전거 관련 규칙과 지침 개발, 전거데이터의 양적 확보 및 품질 제고, 전거 업무의 중요성 인식 제고와 효율적인 업무 체계 마련, 전거 서비스의 다양화와 활용 모델 개발,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과 국제표준 식별자의 연계,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필요성 공유 등이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