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사항목

Search Result 3,98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atistical Analysis o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Miscanthus sinensis Cultivars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재배품종의 양적형질에 대한 통계적 분석)

  • An, Mi-Yun;Ryu, Sung-Ryul;Kwon, Yong-Rak;Jang,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85-85
    • /
    • 2018
  • 식물의 특성조사요령에서 조사항목을 정하는 것은 특정한 식물의 고유특성을 표현하고 새로운 품종에 대한 DUS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참억새(Miscanthus sienesis) 품종들의 양적형질에 대한 조사결과를 각각의 특성조사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각 특성조사 항목의 측정값이 여러 품종에서 균일하게 나타날 경우 식물의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사항목으로 채택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조사항목이 품종의 특성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채택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참억새(M. sienesis) 재배종을 대상으로 양적형질의 측정값에 대해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이용하여 균일한 정도를 확인하고 조사항목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해보았다. 조사대상은 참억새 15개 재배종으로 양적특성 16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식물체 높이, 줄기 길이, 마디의 수, 까락 길이는 변이계수가 5%이하로 작아 양적형질을 표현하는데 있어 문제가 없으나, 마디길이와 엽초길이는 변이계수 22%에서 68% 사이로 높아 형질의 특성이라고 설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조사항목에 대한 변이계수가 다른 특성들에 비해 높은 경우 변이의 범위가 넓어 품종의 형질이라고 판정하기 모호하기 때문에 조사항목으로의 채택은 고려해야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특성조사요령의 양적형질에 대한 특성조사항목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tems for Customized BF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Focusing on the Delphi survey- (학교시설 맞춤형 BF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 Maeng, Joon-Ho;Kim, Sung-Joong;Song, Byung-Joon;Kim, Jae-Young;Yun, Pyeong-Se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2 no.2
    • /
    • pp.1-16
    • /
    • 2023
  • This paper reports on three Delphi surveys based on draft evaluation items with the aim of deriving evaluation items prior to developing a BF certification index for school facilities in order to make the index safe and convenient. To this end, problems were formulat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ollow-up evaluation of existing BF certification indicators. Draft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for school facilities were proposed. The adequacy of each evaluation item was verified using a Delphi survey. Experts and working-level groups, such as university professors, architects, public officials, certification agencies, and organizations for disabled persons, provided feedback for all evaluation items for school facility BF, which was incorporated in the final evaluation item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8 evaluation items, a total of 75 evaluation items were proposed as maintenance items, 12 as improvement review items, and 15 as new evaluation items.

Development of dietary behavior items available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국민건강영양조사에 활용 가능한 식생활 조사항목 개발 및 유용성 검증)

  • Lim, A-Hyun;Choi, Suk-Young;Shim, Jae-Eun;Hwang, Ji-Yun;Moon, Hyun-Kyung;Kim, Kira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8 no.5
    • /
    • pp.407-418
    • /
    • 2015
  • Purpose: Given that the indicators related to chronic diseases are important to evaluating goals of the national health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ietary behavior items availabl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The dietary behavior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need assessment of the field, expert focus-group interviews, and expert advisory meeting. Questions for each dietary behavior item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on environmental, personal, and behavior factors of the ecological frame and then revised through expert focus-group interview and expert advisory meeting. The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ere assessed by cognitive interview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The developed items were sodium and salt intake, added and simple sugar intake, enough time to consume a meal for all ages, caffeine drinks and fresh/healthy food intak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limited dietary intake, fresh/healthy food intake for seniors. In most questions except some questions on sodium and salt intake, subjects understood over 70% and consistency of responses based on the kappa values was acceptable. Conclusion: Developed dietary behavior item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evidence-based nutrition policy, interventions and research targeting dietary patterns through investigating and monitoring dietary behavior pattern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Brief Fruit and Vegetab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등 고학년 아동의 과일 및 채소 섭취 수준 평가를 위한 간단한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의 개발과 평가)

  • Lee, Seung-Min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8 no.5
    • /
    • pp.675-683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아동의 과일과 채소 섭취 수준 측정을 위한 간단한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를 개발 및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가한 만 $9{\sim}11$세 아동의 24-시간 회상 자료에 기초하여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항목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를 하였다. 각 과일과 채소 식품의 일일 평균 섭취량을 전체 아동 및 섭취량의 4분위 집단 별로 산출한 후,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인구 집단의 섭취량을 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내라 고 섭취군과 저 섭취군 간의 차이도 나타낼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총 9개의 과일 항목과 11개의 채소 항목이 식품 섭취 빈도지에 포함되도록 선정되었으며, 섭취 빈도에 대한 응답 항목은 지난 7일 간의 섭취에 대하여 1개의 선택 범주가 제시되었다. 개발된 조사지의 신뢰도와 상대적 타당도에 대한 평가는 서울에 위치한 한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53명의 $4{\sim}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 달간의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으며, 두 번째 방문 시에 28개의 과일 및 채소 항목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더불어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대적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상관 분석과 항목 별 빈도 응답 및 섭취 수준에 따른 집단내 순위 분류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20개 항목의 과일 채소 식품 섭취빈도 조사지의 신뢰도와 상대적 타당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한 개별 항목 및 과일, 채소, 과일+채소 섭취 빈도에 대한 상관계수는 $0.22{\sim}0.64$(p<0.001)이었으며, 항목별 빈도 응답의 일관도는 평균 69.3%(<=1 빈도 응답차이)와 81.3%(<=2 빈도 응답 차이)로 나타났다. 상대적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한 과일, 채소, 과일+채소 섭취 빈도에 대한 상관계수는 $0.91{\sim}0.93$(p<0.0001)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초등고학년 아동의 과일채소 섭취 수준을 간단히 심사하거나 평가하는 도구로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Index (정보보안 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현수;정해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19-127
    • /
    • 1999
  • 본 연구는 정보보안 수준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지표를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존 관련연구 및 지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설정한 후, 관련전문가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후보지표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지표 항목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보안 전문가 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소로서의 타당성, 상대적 중요성, 항목 결여시 보안사고 발생확률, 사고의 심각성 등 4가지 기준에 의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각 후보 지표 항목에 대한 요소로서의 타당성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후보 항목이 바람직한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요인 분석과 상관 분석 등을 추가로 수행하고, 보안 수준을 계량화하는 연구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PDF

표본조사에서 항목 무응답 대체 방법

  • 김영원;조선경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3 no.3
    • /
    • pp.145-159
    • /
    • 1996
  • 항목 무응답은 표본조사에서 비표본오차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통계조사의 분석과정에서 직관적으로 제시된 다양한 항목 무응답 대체방법들을 정리하고, 이런 방법들 간의 장.단점과 무응답의 발생 형태에 다른 대체 효과를 실제 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SMS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LSMS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

  • Han Yong Lee;Jong Woo Jung;Hye Won Jeong;Chung De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8-408
    • /
    • 2023
  • 하천공간은 하도, 사주, 식생, 하천구조물 등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하천공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생산한다. 기존에는 현장에서 육안조사나 지상에서 사진촬영, 스케치방법으로 하천공간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나, 지상에서 조사한 자료은 하천특성에 대한 물리적·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자료의 활용성이 낮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IS 및 RS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된 첨단조사 기술 및 장비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으로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와 분류 항목에 따른 공간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대상지역은 섬진강권역의 지석천 유역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석천 친수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역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수집 및 정합한 후 QGIS에서 제공하는 Orfeo ToolBox(OTB)의 LSMS(Large Scale Mean-Shift) 기법으로 정합한 항공영상의 객체지향 영상분할을 실시하여 벡터 레이어를 생성하였고, 하천공간특성에 따른 항목을 선정하여 각 항목의 영역에 대한 선별을 통해 훈련데이터를 생성하였다. 훈련데이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각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를 확인하였으며, 하천공간특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분류된 각 항목별 공간분석을 통해 면적, 위치정보(위도, 경도, 표고)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의 벡터 레이어와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하천공간의 DB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공간 DB 구축을 통해 전국 하천관리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Item-Level Psychometrics of the 12 Items of the Coping Orientation to Problems Experienced Scale (스트레스 대처 척도 12개 항목에 대한 심리측정 속성)

  • Nam, Sanghun;Hilton, Claudia L.;Lee, Mi-Jung;Pritchard, Kevin T.;Bae, Suyeong;Hong, Ickpyo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1 no.3
    • /
    • pp.65-80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12-item Coping Orientation to Problems Experienced Scale (COPE) using Rasch analysis. COPE is one of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stress-coping skills.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80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tested the instrument's unidimensionality assump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tem fit was examined using infit-and-outfit mean-square (MnSq) and standardized fit statistics (ZSTD). The precision and item difficulty hierarchies of the instrument were examined. The item-difficulty hierarchy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easy and difficult items. We tes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for sex and age groups. Results : PCA revealed that the instrument met the unidimensionality assumption (eigenvalue = 1.78). Among the 12 items, item 2 was removed because of misfit (Infit MnSq = 1.33, Infit ZSTD = 5.05, Outfit MnSq = 1.56, Outfit ZSTD = 7.15). The remaining 11 items demonstrated a conceptual item-difficulty hierarchy. The person strata value was 3.10, which is equivalent to a reliability index value of 0.81. There was no DIF for the sex and age groups (DIF contrast <0.27). Conclusion :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evised COPE-11 has adequate item-level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an accurately measure stress coping skills.

Analysis of River Variables Using Water Quality and Flow the TMDL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 (총량제 중복지점에서 수질과 유량을 활용한 하천 상태 분석)

  • Sunghyun Kwak;Segil Noh;Geunsoo Son;Seong Jun Kim;Sinjae Lee;Yeongi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8-508
    • /
    • 2023
  • 하천의 수질 측정은 환경 보호, 공공 안전, 생태계 건강 및 기후 변화 대응과 같은 중요한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특히, 유량과 수질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하천 관리와 보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총량측정망 중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에서 유량자료를 제공하는 측정 지점을 대상으로 수질 측정 항목과 유량 측정값을 활용하여 하천 상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질과 유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하천 관리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수질 항목은 수온, pH,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BOD, COD, 총질소, 총인 등이며,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회귀분석, 주성분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유량이 높은 지점에서 일부 수질 항목의 오염도가 낮아진 경향이 발견되었으며, 특정 수질 항목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의 수질 개선과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연구

  •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407
    • /
    • 2017
  • 최근 정부 R&D 방향을 보면 정부출연연의 역할은 중장기, 대규모 신규사업발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출연연 자체적으로 연구기획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출연연 주요사업 연구개발계획서에 철저한 준비가 되어야 함에도 기획 전문지식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지 않았으며 연구기획에 대한 좋은 본보기를 요구하는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이고 심도있는 검토를 거치는 사전평가 과정인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을 본보기로 제안하며 주요사업 기획에 도움이 되는 평가항목들과 내용을 메타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STEP에서 공개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의 평가항목들 중에서 출연연 주요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타당성 평가항목들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평가항목들끼리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업 타당성에 대한 지적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사업 대규모, 중장기 연구기획 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