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사연구

검색결과 75,510건 처리시간 0.072초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 : 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 이윤석;이지영;이경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51-83
    • /
    • 2008
  • 온라인 조사는 면접 조사와 전화 조사를 대체할 조사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면접원 없이 진행되는 자기기입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응답자가 불성실하게 응답할 수 있다는 불신을 받고 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해 조사 전문가들은 설문 응답시간을 통해 불성실 응답자들을 차단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너무 짧거나 긴 설문시간은 성실하지 못하게 조사에 응한 증거로 볼 수 있다는 논리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52명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조사 패널 회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시간을 분석하였다. 평균 비교, 응답 범주 횟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문 시간이 짧은 응답자들은 대략 만족적(satisficing)응답 경향을 보이거나, 나머지 응답자들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응답을 하는 등 불성실 응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설문 시간이 긴 응답자들에게서는 이러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설문 시간이 매우 짧은 응답자들은 금전적 관심이 높았으며, 조사 참여 시도 횟수는 많았고, 보상 적립금의 기부율은 낮았다. 또한 이들은 패널가입기간이 짧다는 특징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패널에 불성실하게 응답하는 회원이 엄존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조사를 실시할 때, 실제 표본 수보다 많은 표본을 조사하여 응답 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집단을 제외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불성실 응답과 관련된 패널 관리는 가입 초기에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공론조사의 숙의 유도 방법 : 한국 상황에서의 문제점 검토 (Is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Group Discussion Useful for the Deliberative Poll in Korea?)

  • 조성겸;조은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8권2호
    • /
    • pp.43-66
    • /
    • 2007
  • 본 연구는 공론조사(deliberative poll)에서 숙의(deliberation)를 유도하는 방법의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공론조사의 문제점으로는 대표성 저하 문제가 주로 지적되어 왔고 공론조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숙의 방법에 대한 문제 제기는 거의 없었다. 즉 피시킨이 제안한 공론조사는 전문가 강연 및 인위적인 집단토론 방법을 이용했는데, 최근 이루어진 공론조사들은 이것을 의심의 여지없이 수용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론조사의 숙의 방법 자체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했다. 특히 숙의 유도 방법으로서 전문가 강연 및 토론 등의 전통적인 방법이 한국 상황에서도 적합할지에 의문을 제기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채 2006년 2월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를 이용한 '생명과학 인식에 대한 전국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숙의 유도의 주요 방법인 집단토론은 보편성이 떨어지고, 표본의 대표성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공론조사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토론 과정에의 참가만을 판단하여 숙의가 이뤄졌다고 단정하기보다는 자연적인 숙의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 PDF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 증진방안 -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A Plan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ion Forecasting Survey - A Case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 류제복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15-34
    • /
    • 2000
  • 지난 4월 13일에 실시된 16대 총선에서 방송사와 조사기관들이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표한 선거예측조사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여 선거예측조사에 대한 신뢰성에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향후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 발표된 예측조사내용을 다각도로 심층분석하여 조사의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들 오류를 줄이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된 출구조사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 PDF

복합표본조사 데이터 분석을 위한 회귀모형 접근법의 비교: 소규모사업체조사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gression Model Approaches fined to Complex Survey Data)

  • 이기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73-86
    • /
    • 2001
  • 본 논문은 복합표본조사 분석에서 회귀모형 접근법으로 사용되는 모형 기반 접근법, 설계 기반 접근법과 일반화 추정 방정식 접근법을 설명하고, 이들을 실증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또한 설계 기반 접근법과 일반화 추정 방정식 접근법에 대해서 설계효과와 가중치 효과 분석을 통해서 표본 설계가 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코호트 연구를 위한 식사조사기록 생성 시스템 (Dietary Survey Archive Creating System for Cohort Study)

  • 이명주;박소라;신현두;선동한;이지훈;황수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98-101
    • /
    • 2011
  • 코호트연구는 특정 집단을 계속 추적해 가면서 과거의 행동이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역학적 연구이다. 짧게는 2개월에서 길게는 수십 년에 걸쳐서 진행 된다. 일반적으로 식사조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식사조사기록을 저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록들은 수십 년에 해당하는 결과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보존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존하는 식사조사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운영체제 및 시스템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변경되면 프로그램도 같이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장기간의 식사조사기록을 보관하여 연구를 하는 코호트연구에 있어서는 심각한 문제이다. 때문에, 장기보존을 위해서는 장기보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존재하며, 각 식사조사 프로그램은 장기보존시스템과 연동 할 수 있는 식사조사 기록 생성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참조 모델의 SIP와 METS(Metadata Encoding and Transmission Standard)를 이용하여 식사조사기록을 장기 보존 관리 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식사 조사기록 생성 시스템을 제안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XML 패키지를 이용하여 식사조사기록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계청 도시가계조사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 최현자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9-142
    • /
    • 2001
  • 조사연구는 소비자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이다. 소비자학의 영역 중 가게경제영역에서는 특히 통계청의 도시가계조사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통계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도시가계조사의 표본구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가계의 경제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도록 조사대상의 범위를 단독가구와 농.어가로 확대하고 소득자료의 보고를 근로자 이외의 가구에 대해서도 시행하도록 제언하는 것이다.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도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Internet Survey)

  • 조성겸;주영수;조은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51-74
    • /
    • 2005
  •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조사가 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인터넷 조사의 편리성과 실용성 등은 공감하면서도, 인터넷 샘플이 일반 모집단 샘플과는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해 조사의 정확성을 해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한 의결방안으로 서로 다른 조사방법을 결합하여 분석하거나 가중치를 두어 표본 편향을 제거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연구 성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패널을 미리 구성하여 실시하는 여론조사의 경우로 한정하여 이러한 인터넷 여론조사가 갖는 정확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도 수준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터넷 여론조사가 다른 조사방법에 비해 부정확하다면 그 요인은 무엇인지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7대 총선기간의 인터넷 조사, 유선조사, 모바일 조사 간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결과를 실제 총선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넷 조사의 정확도는 유선조사와는 비슷한 수준이나 모바일 조사보다는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패널의 정확도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첫째 패널이 자발적 참여자로 구성된다는 점이었다. 인터넷 패널은 전화조사보다 자발성이 높은 응답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자발성 편향은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로 인터넷 조사 패널은 재택시간에 관계없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전화조사보다 더 정확해 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셋째로 인터넷 패널은 교육수준에서 편향을 보이고 있다. 패널을 이용한 인터넷 조사는 무응답률이 낮고 응답의 신뢰성이 높다. 인터넷 패널 특성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벤처기업의 신뢰성 인식도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 임재학;박성환;송우용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87-10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벤처기업들의 신뢰성 인식 및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벤처기업들이 신뢰성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신뢰성향을 위한 장애요인 및 필요한 신뢰성 기술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신뢰성 분야의 교육에 대한 수요와 요구 분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내에 입주해 있는 기업들 중 1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 인식 및 기술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