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미료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9초

식품첨가물중(食品添加物中) 유해미량금속(有害微量金屬) 함량(含量)에 관(關)하여 (Investigation on Harmful Trace Elements in Some Food Additives)

  • 김정옥;송재철;양한철;하영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3호
    • /
    • pp.25-32
    • /
    • 1979
  • 한국(韓國) 식품가공(食品加工)에 상용(常用)하고 있는 식품첨가물중(食品添加物中)의 유해금속원소(有害金屬元素)의 함량(含量)을 조사검토(調査檢討)하기 위(爲)하여 착향과(着香料) 7종(種), 착색과(着色料)3종(種), 산미과(酸味料)4종(種), 팽장제(膨腸劑)4종(種), 유화제(乳化劑)(2종(種)), 호료(糊料)2종(種), 항산화제(抗酸化劑)2종(種), 강화제(强化劑)2종(種), 조미료(調味料(3종(種)), 식품품질개량제(食品品質改良劑)(10종(種)의 유해금속(有害金屬)을 APDC-MIBK추출법(抽出法)으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대부분(大部分)의 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은 유해금속(有害金屬을) 비교적(比較的) 적게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나 sodium, carbonate, 식용황색색(食用叢色色), 5호(號), 식용청색색소(食用靑色色素) 1호(號), 식용적색색소(食用赤色色素) 2호(號) 및 면류첨가알카리제는 다소(多少) 다량(多量)으로 함유(含有)하고 있다. 이들 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의) 유해금속(有害金雇)의 함량(含量)은 다음과 같다. 1) sodium carbonate Cd: 16.77 $16.77{\mu}g/g.$ Pb: $61.55{\mu}g/g$이었다. 2) 식용황색색소(食用黃色色素) 5호(號)는 Cd: $1.67{\mu}g/g$, Pb: $23.46{\mu}g/g$이었다. 3) 식용청색색소(食用靑色色素) 1호(號)는 Cd: $1.16{\mu}g/g$, Pb: $12.13{\mu}g/g$이었다. 4) 식용적색색소(食用赤色色素) 2호(號)는 Cd: $1.91{\mu}g/g$, Pb: $23.08{\mu}g/g$이었다. 5) 면류 첨가(添加)알카리제는 Cd: $6.11{\mu}g/g$, Pb: $53.85{\mu}g/g$ 이었다.

  • PDF

여름철 배추김치 담금시 지역별 관능적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Sensory Preference for Making Summer Kimchi by Nationwide Region)

  • 차용준;김훈;조우진;정연정;이영미;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3-399
    • /
    • 2003
  • 본 연구는 전국의 590세대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배추절임조건, 사용하는 부재료의 종류, 김치제조자의 고향 및 성장지역 등을 조사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다양한 김치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린 시판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실시하였다. 여름철 배추김치 담금시 배추절임방법은 물간법과 마른간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혼용법이 가장 많았으며, 절임 시간은 평균적으로 3~5시간으로 나타났다. 김치 제조시 첨가되는 부재료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총 7종의 젓갈류가 전국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사용빈도가 높은 젓갈류로는 새우젓, 멸치 액젓, 멸치젓 그리고 까나리 액젓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사용은 지역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대부분이 단일보다는 2개 이상씩 혼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배추김치 담금시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무, 부추, 양파, 당근, 설탕 및 풀 등 10종과 MSG는 기본으로 사용되었고 경상도는 여기에 다시국물과 물엿 등이 추가로 첨가되는 한편 전라도 지방은 생고추를 간 것과 밥풀의 첨가가 특징적이었다. 또한 MSG는 제조자의 연령과는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사용하고있어 김치전용 조미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김치담금시 가족구성원 중 기준으로 하는 입맛으로는 제조자 본인이 가장 많아 핵가족인 가족형태와 시대흐름을 반영하였으며, 제조자의 고향과 성장지역의 조사를 통해 부재료의 사용과 제조방법에서 거주지역 보다는 고향이나 성장지역의 특징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체 종사자의 조미료 및 감미료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 (The Perceptions of Foodservice Workers on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the Restaurants)

  • 이진실;이나영;박대섭;홍정연;황혜선;백진경;권용석;최승균;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9-5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workers in regard to the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the restauran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902 foodservice workers of various restaurants. Participants were questioned on their perceptions of both natural and artificial seasonings & sweeteners. Furthermore,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s regarding the need of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along with the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65.7% of respondents used both the artificial seasoning and artificial sweeteners, while 9.9% of respondents used only natural seasonings and sweeteners. The restaurant employees answered that they have tried to reduce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3.69/5 point). Some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tried to increase the used of natural seasonings and sweeteners(3.54/5 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the seasonings and sweeteners by the restaurant type(p<0.05).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safety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3.71/5point)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natural seasonings(3.75/5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need for education of the seasonings and sweeteners by the restaurant type. Th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regarding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 and artificial sweeteners, as well as cooking methods that use natural seasonings, is needed to reduce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restaurants.

선(膳)의 문헌적 고찰 (A bibliogrphical study of Sun)

  • 김은실;전희정;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77-286
    • /
    • 1990
  • 조선시대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선의 종류와 사용된 재료 및 조리법의 변화, 조리용구, 계량단위, 조리용어, 등을 분석 고찰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선의 종류는 18가지였다. 그 중 채소류 12가지, 어류 3가지, 육류 1가지, 두류가공품 1가지였다. 2. 선에 사용된 주재료는 다음과 같다. 육류 : 양 채소류 : 배추(배추속대), 동아, 호박, 가지, 오이. 어류 : 민어 두류가공품 : 두부 3. 선에 사용된 부재료는 다음과 같다. 수 조육류 : 쇠고기, 쇠머리, 제육, 영계. 어패류 : 해삼. 전복. 채소류 : 배추(배추속대), 무우, 당근, 오이, 시금치, 미나리. 버섯류 : 표고, 석이, 목이, 느타리. 기타 : 녹두녹말, 밀가루. 4. 선에 사용된 양념류는 다음과 같다. 생강, 마늘, 파, 고추, 초장, 참기름, 꿀, 소금, 소다, 겨자즙, 간장, 기름, 후추, 조미료. 5. 선에 사용된 고명류는 다음과 같다. 잣, 계란, 실고추, 붉은 고추. 6. 선을 만들 때 사용된 재료의 계량단위는 20가지였다. 그 중 용량단위 9가지, 수량단위 6가지, 기타 5가지였다. 7. 선을 만들 때 사용된 기구는 12가지였다. 그 중 많이 사용한 기구는 채반, 채, 솥 등이었다. 8. 선을 만드는데 이용된 조리용어는 18가지였다. 그 중 가열용어 6가지, 써는 용어 12가지였다. 결론적으로 선은 식물성식품을 주재료로 하여, 찜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선은 배추, 동아, 호박, 가지, 오이 등의 채소와 소의 양, 민어, 두부 등을 주재료로 하여 수 조육류, 어패류, 버섯류 등 여러 부재료를 양념하여, 주재료의 속에 넣고, 육수에 끓이거나 중탕하여 그릇에 담고, 잣, 계란, 실고추, 붉은 고추로 고명을 얹은 음식이다.

  • PDF

한국인의 상용식품 중 무기질 함량과 분석방법 비교 연구 2. 칼륨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Korea Common Foods and Analytical Methods. 2. Potassium)

  • 송범호;황성희;이주돈;김희재;정해랑;문현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4
    • /
    • 1992
  • 한국인의 상용식품, 특히 가공식품의 K 함량에 대한 원자흡광분광광도계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1) 곡류 중 라면류의 K 함량은 105~180 mg/100g 이고 스프의 K 함량은 500~10000mg/100g 이었다. (2) 과자류의 K 함량은 웨하스가 다소 낮은 40~60 mg/100g이었고 다른 과자는 80~135mg/100g 이었다. (3) 서류, 두류의 K 함량은 원재료보다 가공식품의 K 함량이 작아 가공 중 K 함량이 줄어듦을 볼 수 있고 두류 식품 중 비지의 K 함량이 유난히 높게 나타났다. (4) 채소류의 K 함량은 전반적으로 높아 오이 160~240 mg/100g이었고 , 호박 200~280mg/100g, 느타리 버석 370~375 mg/100g수준으로 나타났다. (5)육류의 K 함량도 비교적 높아 130~475 mg/100g이었고 육가공ㅍ무도 다소 낮았으나 80~260mg/100g이었다. (6) 어류의 K 함량은 100~400mg/100g, 어육연제품이 다소 낮은 100~150mg/100g이었으나 해조류의 K 함량은 말린 것의 경우 대부분이 1000mg/100g을 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7) 우유의 K 함량은 대체로 130~165mg/100g이었고 프리마가 다소 높아 570~980mg/100g이었다. (8) 음료류 중 탄산음료의 K 함량야은 매우 낮았으나 커피의 K 함량은 매우 높아 2400~2600mg/100g이었다. (9) 당류 중 껌, 설탕, 캔디의 K함량은 매우 낮았고 쵸코릿이 다소 높은 395~440mg/100g이었다. (10) 조미료류의 K 함량은 종류별로 차이가 커서 식용유의 K 함량은 매우 낮고 후추가루는 1200~1300mg/100g으로 높았다. (11) 모든 식ㅍ무군에서 분석방법간 K 함량의 차이는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찜의 문헌적 고찰( II ) - 어패류.채소류 및 기타를 이용한 찜을 중심으로 - (A Bibliographical Study of Tzeam Using the Fish, Vegetable and Etc)

  • 김은실;전희정;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7-99
    • /
    • 1990
  • 조선시대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어패류, 채소류 및 기타를 중심으로 만든 찜의 종류와 찜에 사용된 재료 및 조리법의 변화, 조리에 사용된 계량단위, 용어 등을 분석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어패류를 주재료로 한 찜의 종류는 28가지, 채소류는 17가지, 기타는 2가지이다. 2. 찜에 사용된 부재료는 다음과 같다. (1) 수조육류 : 쇠고기, 사태, 양, 곱창, 너비아니, 우둔, 봉채, 대장, 배골, 두태, 제태, 천엽, 요골, 우신, 부화, 저각, 곤자선, 도간리, 돼지고기, 제육, 개, 닭가리, 진계, 연계, 봉채 (2) 어패류 : 차조기, 숭어, 민어, 전복, 해삼, 낙지, 노어, 문어, 두골, 강고도어, 홍합, 도미, 대합, 게, 마른새우, 멸치, 조개살 (3) 채소류 : 무우, 당근, 미나리, 숙주, 호박, 양파, 죽순, 애호박고지, 도라지, 청과, 갓, 오이, 쑥갓, 청근, 다홍고추 (4) 버섯류 : 표고, 석이, 목이, 느타리, 송이 (5) 종실류 : 밤, 은행, 대추, 호두 (6) 기타 : 두부, 밀가루, 녹말, 양지머리국물, 녹두, 냉면, 소엽, 황이, 육수, 감국잎, 감자가루, 당귀말, 찹쌀가루, 백반, 파래가리, 당면, 완자, 전유화, 국수 3. 찜에 사용된 양념류는 다음과 같다. 초장, 간장, 기름, 조미료, 소금, 겨자즙, 후추, 유장, 고추가루, 생강, 깨소금, 마늘, 설탕, 참기름, 파, 청장, 새우젓, 고추장, 풋고추, 천초, 된장, 조피가루, 술, 왜토장, 건강말 4. 찜에 사용된 고명류는 다음과 같다. 계란, 실백, 고추, 통고추, 실고추 5. 찜에 사용된 계량단위는 42가지였다. 그 중 용량단위는 16가지, 수량단위는 16가지, 길이단위는 2가지, 기타는 8가지였다. 6. 찜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용어는 22가지였다. 그 중에 가열용어는 7가지, 써는 용어는 15가지였다.

  • PDF

국 종류에 따른 장류의 분양 결정과 조미료의 첨가효과 (A Study on Determining the Optimal Amounts of Fermented Soybean Foods in Various Korean Soups and the Effect of Condiments in Two Basic Stocks)

  • 정경숙;우경자;홍성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1986
  • This sudy was conduct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optimal amounts of soy tauce, soy bean paste and hot pepper paste, in 3 different Korean soups and comparing the effect of condiments such as salt, soy sauce, black pepper, and Mono Sodium Glutamate, on the taste of two basic Korean Stocks, The results estimated by Palatability Test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aCl contents of two kinds of commercial soysauce were 15.9%, 25.6%, respectively. 2. The NaCl contents of 2% sardine stock, and 19% beef stock were 0.16~1.17%, 0.17~0.18% respectively. 3. @ According to Saltiness in sardine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y sauce-added group and the salt-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soy sauce-group had higher score than salt-added group respectively. (p>.0.1) ⓑ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ysauce-added group and the salt-added group in Saltiness test. The soy sauce-added group had higher score in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p>.0.1). On other hand, in Overall Taste, the salt- add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oy sauce-added (p>.0.1). 4 @ According to Saltiness test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black pepper-added and non-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added group had higher score than the non-added group, respectively. (p>.10, p>.0.5) ⓑ Also, according to Saltiness test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trence between the MSG-added group and non-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MSG-add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non-added group. (p>.01) 5. The best recipes of soybean sprouts soup for S persons, in this experiment, were soybean sprouts 180 g, sardine 28 g, soysauce 1/2 T.S., salt 7 g, green onion 15 g, choppedgarlic It. s., against 7 C of water, and total cooking time was 20 minutes. 6. The best recipes of clear-beef soup were beef 200 g, radish 200 g, tangle weed 10 g, sesame oil 1/2 t.s., green onion 15 g, chopped garlic 1 t.s., black Pepper 1/8 1.s., and soy sauce 1 T.S., salt 7 g or soy sauce 2 T S., salt 3.5 g. The total cooking time was minutes. 7, The best recipes of soybean pasted Chinese cabbage soup were Chinese cabbage 300 g, sardine 28 g, green onion 15 g, chopped garlic 1 t.s., and bean paste 50 g, hot pepper paste 13 g, salt 3g or bean paste 65 g, hot pepper paste 16 g, salt 1.5 g. And the total cooking time was 25 minutes. 8. Soy sauce, black pepper, M.S.G., bean paste and hot pepper paste were effective on removing Off-flavor of experimental soups.

  • PDF

미더덕의 향기 성분 (Flavor Components of Mideoduck (Styela clava))

  • 최병대;오봉세;강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8-1655
    • /
    • 2010
  • 미더덕 육과 체액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의 제조를 위하여 본래의 향과 가열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SDE법과 SPME법으로 미더덕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 함유된 주요 성분으로서는 hexanal $371.3\;{\mu}g/g$, 1-tridecanol $80.1\;{\mu}g/g$, (Z)-4,5-dimethyhex02-en-4-ol $72.1\;{\mu}g/g$ 등이 있었고, 그 외 다량의 alcohol, aldehydes 및 acids가 얻어졌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alcohol은 농도도 높았지만 미더덕 육향기성분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M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는 9종의 alcohols, 1종의 acid, 1종의 aldehyde, 1종의 hydrocarbon, 1종의 ester, 1종의 amine 및 2종의 ketones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중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1-nonanol, 1-decanol 및 1-tridecanol이 주성분이었다.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 중 1-nonanol $31.6\;{\mu}g/g$, (E)-2-butanoic acid dibutylester $20.3\;{\mu}g/g$ 및 heptadecanoic acid $26.7\;{\mu}g/g$으로 전체 향기성분 추출물의 62.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이 SDE법보다 추출효율은 낮았지만 원래 향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한식당과 서양식 레스토랑의 음식품질의 비교분석에 따른 전통한식당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 Activation Plan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uality of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s and Western Food Restaurants)

  • 김헌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00-213
    • /
    • 2016
  • 본 연구는 전통한식당과 서양식 레스토랑의 음식품질의 차이점을 비교한 다음 서양식음식에 비하여 선호도가 점점 떨어지는 우리 전통음식이 가지는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여 국내 외식시장에서 우리 전통음식을 활성화를 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농 어촌에서 생산되는 식재료 판매량을 증가시켜 농 어촌경재를 활성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서양식 레스토랑 음식품질 및 전통한식당 음식품질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각각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양식 레스토랑과 전통한식당의 IPA 분석결과, 지역특산물 식자재 사용 정도, 건강식 음식, 세트음식의 가짓수 등은 공통적으로 1사분면에 포함되어지기 때문에 향후 한정식당을 운영하는 메뉴 기획자는 지역에서 명성이 나 있는 조리장이 지역특산물을 이용한 전통음식과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는 맛이 우수한 건강식 음식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며,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40대의 300~400만원 수입의 동료 또는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기존에 제공되는 음식보다 푸짐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Monosodium Glutamate(MSG)가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A Study of th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on the Development of Drosophila melanogaster)

  • Chung, Yong-Jai;Hong, Hae-J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7
    • /
    • 1973
  • Monosodium glutamate는 많이 쓰이고 있는 화학조미료이다. 인간을 비롯하여 생쥐, 원숭이(Rhesus monkey), 초파리등의 동물에 대한 MSG의 영향을 실험 검토하여 MSG가 해롭다 또는 그렇지 않다는 상반된 여러 보고가 있다.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발생에 대한 MSG의 영향을 조사하여 이렇듯 엇갈린 보고를 검토 확인할 목적으로 여러가지 농도의 MSG와 cane sugar media(대조구)에 두 계통의 초파리(Oregon-R와 Sinchon-I)를 사육해서 우화해 나온 $F_1$초파리의 수를 조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SG의 처리는 초파리의 어느 계통에서나 다 같이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에 억제적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10% 이상의 농도에서는 성층의 생육조차 불가능하였다. 2) Cane sugar는 초파리 발생에 억제적이라기 보다 오히려 촉진적 효과를 보이는 것같다. 3) MSG나 cane sugar처리구에서 다 같이 Sinchon-I이 Oregon-R보다 $F_1$ 산출수가 많았는데 이것은 Sinchon-I이 Oregon-R보다 생식 및 생존력이 강함을 암시하여 그 원인으로서 사육하는 동안 근친교배되는 기간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4) Muller-5 test는 부정적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MSC가 mutagenic effect가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5) MSG의 초파리 발생에 대한 억제적 효과에 관한 생리학적 기구는 아직 미지의 문제인데 이것은 조만간 해결하여야 할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