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류속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

  • 문성기;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85-87
    • /
    • 2003
  • 문헌 32편에서 조사된 출현종수는 43종에서 200종까지였고, 그 중에서 주요종수는 2종에서 27종까지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주요종은 모두 50속 116종이었고, 규조류 34속 89종(76.6%), 와편모조류 11속 22종(18.9%), 황갈색조류 2속 2종(1.7%), 남조류, 라피도조류, 유글레나조류가 각각 1속 1종(0.9%)이었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종으로서는 우점종이 Actinoptychus serunius를 비롯하여 79종, 출현빈번종이 Coscinodiscus centralis를 비롯하여 50종, 적조원인종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비롯한 36종이었다. 또한 3가지의 주요 특성을 모두 지닌 종은 Prorocentrum micans를 비롯한 11종이었다. 여러 문헌에서 주요종으로 언급했던 종은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었고 단일 속(genus)으로서 18종의 많은 종이 조사된 속은 Chaetoceros속이었다.

  • PDF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A List of Important Species and Distribution of Marine Phytoplankton in Korea)

  • 문성기;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725-733
    • /
    • 2003
  • 문헌 32편에서 조사된 출현종수는 최저 43종에서 최고 200종까지 기록되고, 그 중에서 주요종수는 최저 2종에서 최고 27종까지로 종수의 기록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주요종의 목록은 모두 50속 116종이었고, 규조류 34속 89종(76.6%), 와편모조류 11속 22종(18.9%), 황갈색조류 2속 2종(1.7%), 남조류, 라피도조류, 유글레나조류가 각각 1속 1종(0.9%)이었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 종으로는 우점종이 Actinoptychus seranius를 비롯하여 79종, 출현빈번종이 Coscinodiscus centralis를 비롯하여 50종, 적조원인종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비롯한 36종이었다. 또한 3가지의 주요 특성을 모두 지닌 종은 Prorocentrum micans를 비롯한 11종이었다. 여러 문헌에서 주요종으로 언급했던 종은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었고 단일 속(genus)으로서 18종의 많은 종이 조사된 속은 Chaetoceros속이었다.

조류인플루엔자 우려속 양계산물 안전성과 소비대책 모색

  • 한국계육협회
    • 월간 닭고기
    • /
    • 통권125호
    • /
    • pp.74-80
    • /
    • 2005
  • 안전성 여부를 떠나 소비자들의 막연한 두려움과 거부감으로 인해 아직까지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지도 않은 국내 양계산물 소비가 대폭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축산신문 주최로 지난 10월 17일 '조류인플루엔자 우려속에 양계산물 안전성과 소비대책 모색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내용을 요약 게재, 소비자와 관련업계에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효과적인 대응책이 무엇인지 제시해 보았다.

  • PDF

진도조류신호시스템 구축현황 및 조류정보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 김성준;김무건;이형의;김학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2
    • /
    • 2018
  •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강한 조류가 흐르는 진도해역 명량수도 및 장죽수도 항로에 조류관측시스템과 대형 LED등기구 전광판을 설치하여 이용자에게 조류의 방향, 속도, 경향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조류신호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통항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고, 항로표지시설 인프라를 활용한 이용자 중심의 안전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조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변침에 미치는 영향

  • 유영준;이기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5
    • /
    • 2011
  • 선박이 다른 선박을 회피하거나 항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변침을 하는 경우에,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조종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반영하여 변침 계획을 세울 수 있다면, 보다 높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변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먼저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고려하여 조종운동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후에 변침에 필요한 명령타각의 결정을 위하여 Fuzzy 제어를 적용하였으며, 바람과 조류에 크기에 따라 선박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바람과 조류의 영향이 선박의 변침 궤적 및 선박의 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부도조류센서 전용등부표 설치에 따른 조류정보 비교분석

  • 이상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17
  •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강한 조류가 흐르는 인천 부도해역 조류의 유향, 속도, 경향을 측정하여 이용자에게 신뢰성있고 안정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조류관측 전용등부표를 설치하였으며, 데이터 품질유지를 위해 전용등부표 설치 전 후 측정값을 비교분석한다.

  • PDF

ADCIRC 모델을 이용한 우이도 주변해역의 조류자원 평가 (Evaluation of Tidal Stream Resources Near Uido Using an ADCIRC Model)

  • 정해창;웬만훙;김부기;김준호;양창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3
    • /
    • 2017
  • 본 연구는 전남 서남해안 우이도 주변해역의 조류흐름 특성에 따른 조류에너지 자원을 평가하였다. 먼저 대상해역의 조류 특성에 관한 정보 수집을 통한 타당성 조사와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수심평균 2차원 ADCIRC(Advanced Circulation) 수치모델로 조석과 조류속의 변화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석분조는 우리나라 해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4대 분조(M2, S2, K1, O1)를 기본으로 설정하였다. 실제 평균 수심이 반영된 수치모형의 4곳을 관측점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대조기 때 고고조 2.2m, 최강조류속 1.33 m/s를 나타냈다. ADCIRC Model의 결과값은 국립해양조사원(KHOA) 실제 관측 자료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대상해역의 수치모델 조류속값에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조류속기법(Tidal Flux Method)을 이용하여 조류에너지 밀도 분포에 대해 평가하였다. 우이도 해역의 5개 평가 영역 중 최대 $1.75kW/m^2$의 조류에너지 분포를 보였으며, 조위 및 조류속뿐만 아니라 해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조류에너지 밀도 분포도를 작성하여 최적의 조류발전단지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팔당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와 수질과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oir)

  • 한명수;정원화;박준대;김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217-224
    • /
    • 2005
  • 본 연구는 4년에 걸쳐 조사된 팔당호 식물플랑크톤 조사자료를 토대로 각 분류군별 세포수 및 점유율 그리고 우점 조류속의 장기변동 패턴을 평가하고, 아울러 이들과 수질과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규조류는 조사기간 중 비교적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조류는 매년 6 ${\sim}$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보였고 7월경 가장 높은 세포수를 나타냈다. 녹조류의 경우 높은 세포수를 나타내는 시기는 6 ${\sim}$ 8월로서 남조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기타 조류는 Cryptomonas속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5 ${\sim}$ 8월에 높은 세포수가 관찰되었다. 조사기간 중 우점속 (매년 조사기간 중 출현 세포수 총계가 평균 7,000 cells $mL^{-1}$ 이상인 것을 대상으로 함)은 Aulacoseira 및 Cyclotella속(규조류), Microcystis와 Anabaena속 (남조류), Scenedesmus속 (녹조류) 그리고 Cryptomonas속 (은편모조류) 이었다. 각 분류군별 세포수와 수질조사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유의성이 있는 것 (p<0.05)으로 나타난 항목 중 상관계수 0.3 이상을 나타낸 분류군은 규조류의 경우 수온과 총인, 남조류는 수온, pH, DO포화도, COD, 총인, 녹조류는 수온, pH, DO포화도, COD, SS, 총인이었다. 속(genera)별 상관계수 0.3 이상을 나타낸 것은 Aulacoseira속의 경우 총질소와 총인, Anabaena속은 수온, DO포화도, COD, 총인, Microcystis속은 수온, pH, DO포화도, 총인, Coelastrum속은 COD와 SS, Scenedesmus속은 수온, COD, 총질소, 총인, Cryptomonas속은 DO포화도와 총질소였다. 팔당호에서의 남조류 bloom에는 유입량에 의한 1차적인 영향을 제외하면, 수온조건이 인 농도 증가에 의한 영향보다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