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22/JES.2003.12.7.725

A List of Important Species and Distribution of Marine Phytoplankton in Korea  

문성기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최철만 (경성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v.12, no.7, 2003 , pp. 725-7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assess import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the ocean and bay in Korea from 32 references. The number of important species assessed from 50 genera 116 species. Of them, Bacillariophycea(diatoms) 34 genera 89 speceis(76.6%), Dinophyceae(dinoflagellates) 11 genera 22 species(18.9%), Chrysophyceae 2 genera 2 species(1.7%), Cyanophycea(blue-green algae), Raphidophyceae, Euglenophyceae(euglenoids) 1 genera 1 species(0.9%) respectively. By ecological characters, the number of dominant species were 79 species including Actinoptychus seranius, 50 species including Coscinodiscus centralis were recorded as frequently apperaing species and 36 species includ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were recorded as red-tide causative organism. Also, 11 species including Prorocentrum micans were surveyed as the indicator including all ecological characters.
Keywords
Marine phytoplankton; Ecological indicator; Red tide; Dominant spe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주석, 1980,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Plankton의 출현량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서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수진연구보고, 23, 7-157.
2 이진환, 한명수, 허형택, 1981, 진해만의 적조원인생물에 관한 연구, Bulletin of KORDI, 2, 97- 105.
3 현정호, 1986, 인천 연안 오염 및 환경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연구, 인하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66pp.
4 Yoo, K.I. and J.H. Lee, 197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4(1), 26-31.
5 국립수산과학원, 2002, 한국의 적조연구 편람, 172pp.
6 박주석, 김학균, 이삼근, 1988, 진해만의 적조현상과 원인생물의 천이, 수진연구보고, 41, 1-26.
7 최영태, 1981, 영일만의 식물성 Plankton에 관한 연구 (1) 춘계 식물성 Plankton의 조성 및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4(2), 95-105.
8 윤양호, 노홍길, 김영기, 1991, 제주도 연안해역에 출현하고 있는 적조생물, 제주대 해양연보, 15, 1-14.
9 이준백, 좌종헌, 김일수, 1991, 제주도 해안선주변 부착규조류의 종조성 및 분포, 제주대 해양연보, 15, 61-72.
10 최철만, 문성기, 1998, 수영만의 선거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관하여, 경성대학교 논문집, 19(2), 549-564.
11 이준백, 좌종헌, 강동우, 고유봉, 오봉철,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II.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와 1차생산력, Algae, 15(1), 37-47.
12 박태수, 1956b, 한국해협에 있어서 Plankton의 계절적변화에 관하여, 부산수산대학연구보고, 1(1), 1-12.
13 유광일, 이준백, 1985,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3. 쌍편모조류 군집의 동태에 대하여, Bulletin of Environmental Sciences, 6, 117-127.
14 여환구, 허성회, 1999,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Korean J. Environ. Biol., 17(1), 71-77.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윤양호, 노홍길, 김영기, 1992, 제주북방, 함덕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제주대 해양연보, 16, 27-42.
16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Algae, 15(2), 89-98.
17 정해진, 2002, 우리나라 적조연구현황 및 향후 연구방향, 한국해양학회 2002년 추계학술 심포지움 발표논문집, 35-87pp.
18 Kim, C.H. and B.S. Kil, 1987, Flora, fauna and distribution of plankton in west southern coast area of Korea, J. of Natural Science, 6, 21-26.
19 김학균, 이삼근, 안경호, 윤성화, 이필용, 이창규, 조은섭, 김정배, 최희구, 김평중, 1997, 한국연안의 적조 -최근 적조의 발생원인과 대책-, 국립수산진흥원, 280pp.
20 이진환, 이은호, 1999, 득량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3), 271-278.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조성환, 윤원득, 임동현, 최중기, 노재훈, 전형진, 송태윤, 1999, 황해 식물플랑크톤군집의 엽록소 a, 기초생산력 및 크기별 분류군의 시․공 분포,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57, 163-174.
22 윤양호, 1999,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4), 481- 492.
23 윤양호, 고남표, 1994, 금오열도 연안해역 하계 미세조류(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2, 161-171.
24 유광일, 이진환, 1982,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부유성 규조류에 관하여, Bulletin of KORDI, 4, 53-62.
25 박태수, 1956a, 하기 남해안에 있어서 Microplantk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부산수산대학연구보고, 1(1), 13-32.
26 Yoo, K.I. and J.H. Lee, 1980,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3. Ecologic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s, 1974-1980,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5(2), 100-107.
27 유광일, 허회권, 1982, 완도인근 도서해역의 해양플랑크톤,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 2, 235-249.
28 이준백, 1989, 제주도 북방 탐동연안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과 동태, 제주대 해양연보, 13, 35-45.
29 여환구, 박미옥, 1997, 진해만 동부 해역내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환경의 계절 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6(3), 231-238.   과학기술학회마을
30 Han, M.S., Y.O. Kim and J.K. Jeon, 1994,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two different hydrological conditions of semi-enclosed Chinhae bay, Korea, Bulletin of Plankton Society of Japan, 41(1), 43-55.
31 문성기, 이종남, 류규열, 이원석, 1990, 적조원인종 및 독성종에 관한 문헌적 조사 - Dinophyta(와편모조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논문집, 11 (3), 409-422.
32 Park, J.S., C.K. Kang and K.H. An, 1991,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Polar Front Region of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Bull. Korean Fish. Soc., 24(4), 237-247.
33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3), 208-214.
34 정지안, 조은영, 차재훈, 김미경, 김기태, 2001, 울릉도․독도 근해의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변화, Algae, 16(3), 325- 335.
35 조은영, 차재훈, 김미경, 김기태, 2000, 영일만 연안의 생태계 연구: I.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군집의 다양성, Algae, 15(1), 4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