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류세포수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yanobacterias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in Geum River (금강유역의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Gue Tae;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3-213
    • /
    • 2020
  • 최근 나타나는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해 가뭄과 홍수피해 같은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졌고, 하천에서는 오염된 수질과 수생태계 복원 및 수변공간 조성, 수자원 관리 등의 목적으로 수질환경 개선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수질환경 측면에서 하천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녹조 즉, 남조류의 발생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 개방을 통하여 수질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금강을 대상으로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구간에 대하여 주요 수질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남조류 세포수와 주요 하천 수질인자를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보 위치별 남조류 세포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상관도가 높은 수질인자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식을 도출하여 금강 내 주요 하천 수질인자의 농도에 따른 남조류 세포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보 건설 이후 시점으로 선정하였고, 월 평균 남조류 개체수가 조류경보제 발령기준 관심단계이상에 해당하는 금강수계의 3개 보에 대하여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인 강수량, (수온)W·T,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클로로필-a)Chl-a, (전기전도도)EC, (질산성질소)NO3-N, (암모니아성 질소)NH3-N, (인산염 인)PO4-P, (용존총질소)DTN, (용존총인)DTP, (총유기탄소)TOC 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 지점별 남조류 세포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인자는 서로 상이했지만 (수온)W·T과 pH의 경우 모든 지점에서 남조류 세포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세종보는 W·T(0.383, P<0.01), pH(0.391, P<0.05)의 양의 상관계수를 나타냈고, 공주보에서는 (수온)W·T(0.436, P<0.05), pH(0.412, P<0.05)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백제보에서는 (수온)W·T(0.415, P<0.01), pH(0.221, P<0.01)의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 중 (수온)W·T과 pH에 영향을 받는 영양염류와 퇴적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연구를 통해 제시된 남조류 세포수 다중회귀식은 주요 수질인자 농도에 따라 발생 가능한 남조류세포수를 예측하여 금강의 수질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Blue-Green algae near Mulgeum-intake station using sensors (센서를 활용한 물금취수장 인근 남조류 추정에 관한 연구)

  • Gwangsoo Kim;Suhan Nam;YeLim Park;Young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5-155
    • /
    • 2023
  • 국내 이상기후로 인해 여름철 하천과 호소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조류의 과대성장이 매년 문제가 되고 있다. 하천 조류는 일차생산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하천조류 중 유해남조류가 생장하면서 발생하는 악취 유발 물질과 독성물질의 배출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조류경보제와 수질예보제를 시행하여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발령 기준은 유해남조류세포수에 따라 발령이 되기 때문에 유해남조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조류의 분석방법은 현장에서 조류샘플을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통해 조류샘플을 검경하고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의 세포수 또는 우점종을 산정한다. 조류검경은 개인의 역량에 따라 오차가 생길수 있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위성, 광학영상, 초분광영상 등을 통해 녹조류와 남조류 대체 인자인 Chlorophyll, Phycocyanin을 통해 조류농도를 추정하고 있으나, 조류세포수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년 조류 발생으로 문제가 되는 물금취수장 인근 하천에서 발생한 조류를 채취하고 조류검경을 통해 얻은 남조류세포수와, LISST-HAB를 통해 얻은 Phycocyanin농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조류스펙트럼 데이터를 통해 남조류세포수 추정하고 남조류세포수와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류측정 원격탐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Various Plants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Studies in Barge Enclosure and Artificially Eutrophicated Pond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 현장 적용성 실험)

  • Kim, Sang-Hun;Jun, Sun-Ok;Lim, Byung-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5 no.2 s.98
    • /
    • pp.123-132
    • /
    • 2002
  •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 barge enclosure near Bukhangang area and arificially eutrophicated pond. Applied plants are three terrestrial plants (Big cone pine, Pine needles and Ginkgo) and one aquatic plant (Water chestnut). In the experiment pond, applied plants are big cone pine, pine needles and ginkgo at the concentration of 0.5 g/l and water chestnut of 0.3 g/l. And it used pine needles at the concentration of 0.3 g/l in barge enclosure. The dominant species was Microcystis aeruginosa. Chlorophyll a concentration decreased to the extent of average 65% as compared with the beginning of experiment by the input of big cone pine and pine needles in artificially eutrophicated pond. But it was decreased to the extent of average 34% by the input of water chestnut. Especially, pine needle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algae from the early days in barge enclosure, it was declined at a rate of average 74%. It was proved that pine needles was the most inhibitory to the growth of algae at the treatment with $0.3{\sim}0.5\;g/l$, Ginkgo and water chestnut are needed more study. We purified that the dissolved phenolic compounds from the various plants can affect algal growt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water stability and cyanobacteria occurrence using monitoring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연직수온 모니터링을 통한 수체안정화도 산정과 남조류 발생 비교분석)

  • Joo, Yong-Eun;Chong, Sun-A;Yi, Hye-Suk;Lee, Bo-Mi;Kim, Ho-Joon;Choi, Kwa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9-449
    • /
    • 2018
  • 최근 국내 하천과 호수에서 수온상승 및 기후변화로 인한 녹조발생이 빈번하게 나타남에 따라 녹조발생원인과 예측에 대한 중요성이 빠르게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 구간의 연직 수온분포를 분석하고, 측정된 수온분포와 유해 남조류 세포수를 바탕으로 수체안정화도와 남조류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낙동강수계의 8개보를 선정하여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주 1회, 수심 1m 간격으로 측정한 수온을 분석했으며, 유해 남조류 세포수는 환경부 조류경보제 및 수질예보제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온 모니터링 분석 결과 2015년과 2016년 모두 5월 이후 수온성층이 형성되었고, 8월에 비교적 강한 수온성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칠곡보와 강정고령보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수심이 깊고 체류시간이 긴 지형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형성된 수온성층은 안정된 상태로 지속되지 않고 주로 강우 시에 상 하층간의 수온구배가 줄어들어 혼합되는 전도현상이 관찰되었다. 수체안정화도 산정 결과 역시 2015년, 2016년 모두 수온성층 결과와 비슷하게 5월에 수체안정화도가 급증하다 9월 이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index별로 Schmidt stability, Bouyancy Frequency 항목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5월 이후 수체안정화도가 증가하는 시기에 남조류 세포수의 현존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남조류의 발생과 수체안정화도의 증가는 시기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체안정화도와 남조류 세포수와의 상관성은 2016년이 높았으며 그중 강정고령보에서 상관계수가 Schmidt stability는 0.78, Bouyancy frequency는 0.65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2015년의 경우 9월 이후 수체안정화도와 수온이 감소하였지만 남조류 세포수는 증가하여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온성의 남조류가 우점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조류 발생 및 예측 등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있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질 모니터링 및 기상인자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put output transfer function model development for a prediction of cyanobacteria cell number in Youngsan River (영산강 수계에서 남조류 세포수 모의를 위한 입출력 모형의 개발)

  • Lee, Eunhyung;Kim, Kyunghyun;Kim, Sa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9
    • /
    • pp.789-798
    • /
    • 2016
  • Frequent algal blooms at major river systems in Korea have been se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cyanobacteria with toxic materials is a threat to secure a safe drinking water. In order to model the behaviour of cyanobacteria cell number, an exclusive causality analysis using prewhitening technique was introduced to delineate effective parameters to predict the cell numbers of cyanobacteria in Seungchon Weir and Juksan Weir along Youngsan river system. Both input and output transfer function models were obtained to explain temporal variation of cyanobacteria cell number. A threshold behaviour of water temperature was implemented into the model development to consider winter characteristic of cyanobacteria. The implementation of water temperature threshold into the model structure improves the predictability in simulation. Even though the input output transfer model cannot completely explained all blooms of cyanobacteria, the simple structure of model provide a feasibility in application which can be important in practical aspect.

Oil Extrac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from Micro-Algae Pre-treated with Microwave (Microwave를 이용한 미세조류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 Kim, Deogkeun;Choi, Byoungyun;Kim, Sungmin;Oh, Youk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50.2-250.2
    • /
    • 2010
  • 빛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여 생성되는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다양한 에너지 및 물질을 생산하는 연구는 석유고갈과 환경문제 해결의 한 방안으로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그 지속 가능성과 환경 친화성에 의해 바이오에너지 이용 및 보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의 경우는 미국, 브라질, EU, 한국 등에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생산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연료의 보급 증가는 식량 자원과의 충돌과 열대우림 파괴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대두, 유채보다 월등한 것으로 보고되는 미세조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수 미세조류종 개발, 미세조류 고속배양 및 수확, 미세조류로부터 에너지 및 유용물질, 소재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유를 생산하기 위해 Soxhlet을 이용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였다. 추출되는 오일은 사용 용매의 극성에 따라 물성과 추출 효율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극성의 용매일 경우, 엽록소와 단백질이 같이 추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약한 극성 용매는 세포벽의 방해로 용매가 세포내부로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추출 효율이 높은 극성용매의 경우 불순물을 제거해야 고순도의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가능하고 비극성 용매는 추출 오일의 물성은 좋으나 수율이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동시추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포벽 파괴 후 용매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미세조류를 Microwave에 노출시켜 오일 추출율을 증가시키는 전처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처리시, Microwave에 의한 열 발생은 미세조류를 탄화시키기 때문에 열매체로서 물을 혼합하여 탄화를 방지하고 세포벽 내외부의 가열효과로 세포벽을 파괴하고자 하였다. Microwave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며 세포벽 파괴에 효과적인 수분혼합비를 조사하였으며 Microwave에 노출 후 잔류수분을 건조하고 효율적으로 용매를 접촉시키기 위해 분쇄를 수행하였다. 모든 전처리 반응을 거친 미세조류에서 약 2배 증가된 추출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SEM을 통해 전처리 미세조류와 미전처리 미세조류를 분석해본 결과 전처리 미세조류의 다공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90%의 메탄올에 미세조류를 녹여 엽록소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전처리 미세조류의 엽록소가 미전처리 미세조류보다 약 7배가량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easonal Succession of Algae in Artificial Reservoirs in Daegu City (대구지역 인공저수지 조류의 계절별 천이)

  • 이찬형;정윤숙;신상희;이순애;김용혜;홍성희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0 no.3
    • /
    • pp.282-286
    • /
    • 2002
  • Seasonal succession of alga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studied in artificial reservoirs in Daegu city from 2000 to 2001. The algal succession was evaluated with respect to dom-inant class and their frequencies. Succession order of algae in two reservoirs was : Bacillariophyceae longrightarrow Chlo-rophyceae longrightarrow Cyanobacteria longrightarrow Bacillariophyceae longrightarrow Bacillariophyceae longrightarrow Cyanobacteria longrightarrow Cyanobacteria longrightarrow Cyanobacteria. This succession order wa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The local environment condition maybe affects the succession of algae in these reservoirs. As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lgal biom-ass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we got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Also we got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lorophyll-a and algal biomass. Between chlorophyll-a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we got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n approach having attention to cell biovolume rather than cell number is made to understand the algal community and the ecosystem of reservoir.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oir (팔당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와 수질과의 상관성)

  • Han, Myung-Soo;Jheong, Weon-Hwa;Park, Jun-Dae;Kim, Jong-M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2 s.112
    • /
    • pp.217-224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long-term fluctuation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ynamics of Paldang reservoir in Korea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lgal bloom patterns and hydrological, limnological data. Diatoms in Paldang reservoir occurred continuously through the year. Blue- green algae occurred during the summer season (from June to Sept.), and the highest count was observed in July. Occurrence pattern of green algae was similar to that of blue-green algae. The rest of algae contained a lot of Cryptomonas spp. whose concentration was high from May to Aug. Dominant algal genera (>>7,000 cells $mL^{-1}$) in Paldang reservoir were Aulacoseira, Cyclotella, Microcystis, and Cryptomonas spp. Microcystis and Anabaena occurred during the summer season. Many different green algal genera were found in Paldang reservoir but their abundances were very low.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r>0.3, p<0.05) between algal taxa and water quality; diatoms and water temperature, TP:blue-green algae and water temperature, pH, DO saturation, COD, TP; green algae and water temperature, pH, DO saturation, COD, SS, TP. Furthermore, algal genera and water qua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0.3, p<0.05) ; Aulacoseira and TN, TP; Anabaena and water temperature, DO saturation, COD, TP : Microcystisand water temperature, pH, DO saturation, TP; Coelastrum and COD, SS; Scenedesmus and water temperature, COD, TN, TP; Cryptomonas and DO saturation, TN. In Paldang reservoir, the water temperature had relatively big effect on blue-green algal bloom that was also dependant upon its hydrologic condition.

A Study on Measurement of Algae Concentration in Reservoir Using UAV-Based Hyperspectral Image (UAV 기반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저수지 조류농도 산정 연구)

  • Kim, Jong Min;Kyun, Yeong Hwa;Kim, Dong Su;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0-110
    • /
    • 2021
  • 사회적, 환경적으로 크고 작은 문제를 일으키는 녹조현상은 수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 없어서는 안 될 조류의 과대 성장으로 인해 주로 나타난다. 담수조류는 크게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 3종으로 나누어지며, 특히 남조류는 계절별 천이에 따른 발생 시 과대 성장하는 특성으로 인해 녹조현상에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이러한 녹조현상의 원인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발령기준 항목을 chl-a와 남조류 세포수에서 2016년 이후 남조류 세포수 만으로 발령기준 항목을 개정하였다. 따라서, 녹조현상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위해서는 남조류에 대한 분포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며 이를 위해 신속한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재 조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직접 채수를 통한 검경 또는 Lisst, YSI와 같은 직접 계측 센서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진행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 선 단위의 측정은 전반적인 조류 분포 및 현황에 대하여 파악과 신속한 모니터링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 대안으로 위성영상, 다중분광 및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면단 위의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하고 하천 내 전반적인 조류 농도 분석을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AV를 활용한 초분광센서를 이용하여 하천과 일정한 반사율을 가지는 반사천을 촬영하고 취득한 초분광영상 보정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적 밴드 비를 산정하고 YSI를 통한 Chl-a 결과를 이용하여 분광 특성별 맵핑을 통한 공간적 분포의 조류 농도를 산정하고자 한다.

  • PDF

The Calculation Method of Cell Count for the Bloom-forming (Green tide) Cyanobacterium using Correlation between Colony Area and Cell Number in Korea (군체 크기와 세포수 상관관계를 이용한 녹조 유발 남조류의 세포수 산정 방법)

  • You, Kyung-A;Song, Mi-Ae;Byeon, Myeong-Seop;Lee, Hae-Jin;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7 no.4
    • /
    • pp.350-357
    • /
    • 2014
  • Harmful Algal Bloom Alert System (HABAS) for drinking water supply is require to fast and accurate count as system monitoring of cyanobacterium occurrence and inducing a response action. We measured correlation between colony size and cell number including genus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Oscillatoria which are targeted at HABAS, deducted from standard formula, and suggested calculation method from colony size to the number of cell. We collected cyanobacteria samples at Han River (Paldang reservoir), Nakdong River (Dalseong weir, Changnyeonghaman weir) and Geum River (Gobok reservoir) from August to October, 2013. Also, we studied correlation between colony size and cell number, and calculated regression equa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of harmful cyanobacteria by genus, Anabaena spp. and Aphanizomenon spp. having trichome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more than 0.93 and Microcystis spp. having colony show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6. As a result of correlation of harmful cyanobacteria by species, Anabaena crassa, Aphanizomenon flos-aquae, A. issatschenkoi, Oscillatoria curviceps, O. mougeotii having trichome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from 0.89 to 0.96, and Microcystis aeruginosa, M. wessenbergii, M. viridis having colony showed correlation coefficients from 0.76 to 0.88. Compared with other genus Microcystis relatively showed low correlation because even species and colony size are the same, cell density and cell size are different from Microcystis strains. In this study, using calculated regression might be fast and simple method of cell counting. From now on, we need to secure additional samples, and make a decision to study about other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