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류사망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재도입 황새(Ciconia boyciana)의 감전사 저감을 위한 사례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electrocution-decreasing methods for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captivity)

  • 하동수;남형규;윤종민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2-116
    • /
    • 2018
  • 감전사는 야생 조류의 사망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예산군에서는 2015년부터 총 30마리의 황새(Ciconia boyciana)를 야생으로 복귀시켰지만 2마리가 전봇대에서 감전으로 사망하였다. 감전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서 사육 황새 8마리를 대상으로 전봇대를 횃대로 사용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 흔한 2가지 형태의 전봇대에 조류퇴치용 스파이크와 와이어를 조합하여 설치한 후 황새의 이용 현황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와 와이어를 조합한 전봇대에는 황새의 횃대 사용이 유의미하게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봇대 상부에 조류퇴치용 스파이크 설치가 황새의 전봇대 이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울돌목 해역에서 조류발전 시설 터빈 가동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피해 영향 (Impact assesment of zooplankton by turbine of tidal power plant in Uldolmok waterway, Korea)

  • 유정규;남은정;명철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7-511
    • /
    • 2005
  • 울돌목은 조류발전의 세계적인 최적지로 꼽히고 있으며 서해와 남해의 점이 지대로서 조류에 의해 해양 생물 군집의 대량 이동이 빈번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조류 발전 시설인 터빈의 가동은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해양 생물의 생태-생리 반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네트를 이용한 1차 조사에서 터빈 가동에 의한 동물플랑크톤의 순 사망률은 $44.3\%$로 나타났다. 1차 조사 이 후 다이아프램 펌프를 이용한 조사 결과 중 출현 개체수가 높았던 조사에서 전체 동물플랑크톤의 순 사망률은 각각 $7.3\%,\;5.8\%$를 나타내었고, 요각류는 각각 $4.4\%,\;5.2\%$를 나타냈다. 물리적인 충격을 인위적으로 가한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받은 요각류 Acartia hongi의 알 생산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것보다 $1.8\~2.3$배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조사에서 동물플랑크톤이 낮은 사망률을 보골 이유는 작은 크기의 생물이 우점하였기 때문이며 조사 결과에서 몸체가 비교적 단단하고 크기가 작은 요각류는 상대적으로 약한 부유유생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울돌목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크기가 작아 터빈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사망률은 낮을 수 있으나 순간적으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재생산을 포함한 생리활동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다. 네트 및 펌프를 이용한 조사 결과에서 네트에 의한 채집은 터빈의 영향뿐만 아니라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네트가 받는 압력에 의해 생물체가 손상되는 양상이 높아 사망률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이아프램 펌프는 생물 채집 시 오류를 최소화하는 장점은 있으나 채집의 장시간에 비해 매우 적은 생물량이 채집되는 단점을 보였다TEX>$96.5\%$에 미달하는 문제는 식물성 원료유로 제조한 고순도 바이오디젤과 혼합 사용하거나 감압 증류 공정을 통해 고농도의 폐식용유 바이오디젤을 제조하여 해결 가능하다. 대전시 신성동 소재의 음식점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차량 배출가스 실증 테스트 결과 경유 차량의 주 오염물질인 PM과 Soot 및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감소하였으나 NOx의 배출량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보존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EX>$88\%$)였다.(P=0.063). 결론: 본

  • PDF

해양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ean Renewable Energy on the Ecosystem)

  • 명철수;유정규;이광수;구본주;최중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8-140
    • /
    • 2006
  • 해양 신 재생에너지 개발에 의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환경변화 사례와 예측하였다 해양에너지의 개발은 필수적으로 해양환경 및 생태계에 변화를 초래하여 조력발전시설의 경우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의 종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철새 등의 조류의 종수 및 개체수의 변화를 가져오고 조력 및 조류발전 터빈시설은 수생생물의 기계적 충돌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해양 신 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더불어 생태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사 및 연구가 병행되어야 개발 후 상용화단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자연보전의 방안을 제시하고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도출 할 수 있다.

  • PDF

Canine Influenza Virus

  • 문형선;현창백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3권6호
    • /
    • pp.536-542
    • /
    • 2007
  •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는 일반적으로 고열과 기침을 동반한 독감을 일으키는 원인체로서,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과 조류 등에 감염되고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유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미 많이 알려진 조류 인플루엔자(avain influenza; AI)의 경우 조류에서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전염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아 때로는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더욱이 조류 인플루엔자(AI)는 보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국내.외 여러 산업에 영향을 주거나 사람이 사망에 까지 이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을 비롯한 여러 동물에서 감염 혹은 전염이 확인될 경우 많은 걱정을 할 수 밖에 없으며, 만약 동물에서의 바이러스 감염 사실이 과장되거나 잘못된 정보가 대중에게 알려질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더욱이, 근래 미국에서는 개의 독감(canine flu)이라고 불리는 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canine influenza virus; CIV) 감염이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예의주시하면서 지켜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의사를 비롯한 보호자를 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PDF

생명정보학 기반 H5N1에 특이적인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epitope 선별 (Selection of epitope for development of H5N1 specific diagnostic kit based on bioinformatics)

  • 이인성;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58
    • /
    • 2014
  •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아형인 H5N1은 고병원성으로 조류 독감을 일으킨다. H5N1 바이러스는 원래 조류끼리만 감염되는 독감이고,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2003년에 베트남과 중국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68명의 사망자가 기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진단키트(Rapid diagnostic kits)들은 H5N1 에 특이적인 것이 아니라 influenza A virus 모두를 진단한다. 따라서 influenza 감염여부는 확인 할 수 있지만, 이것이 H5N1 인지는 확인 할 수가 없다. H5N1은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빠르게 진단하여 감염조류를 살 처분 하여야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H5N1 에만 특이적인 epitope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예측하여 진단제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각 서열 정보는 Openflu (http://openflu. vital-it.ch/browse.php)에서 얻었다. H5N1은 H1N1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두 subtype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TCOFFEE에서 multiple sequence alignment를 수행한 결과 N-terminal 부분이 상이하였다. 상이한 H5N1의 N-terminal 부분이 H5N1 virus에 감염된 모든 host에서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host가 사람인 경우와 조류인 경우를 TCOFFEE에서 alignment 하였다. 그 결과 H5N1의 N-terminal 부분은 사람과 조류에서 보존적이었다. 따라서 H5N1의 N-terminal이 다른 subtype과 유사하지 않고 H5에만 특이적이기 때문에 진단키트 제작을 위한 epitope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기오염이 동물의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On Some Influences of Air Pollution on Respiratory System of Captive Wild Animals)

  • 문홍식;오창영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9-225
    • /
    • 1978
  • 1973년 6월부터 1975년 6월까지 2년간 창경원 동물원에서 사유중에 사망한 동물과 조류의 폐와 수집된 비둘기의 폐 231건을 대상으로 하여 육안적 및 조직학적으로 폐내 분근침착상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231건의 동물폐중 170건($73.6{\%}$)이 탄폐로 검출되었으며 이중 고도침착이 $3.9{\%}$로서 대개가 경도 및 중등도 탄폐로 검출되었다. 2. 포유류에선 $89.3{\%}$ 조류에선 $71.5{\%}$가 탄폐로 나타났으며 파충류에서는 3건 모두 양성이었다. 이중 고도탄폐는 포유류와 조류에서 각각 $3.6{\%}$$4.5{\%}$였다. 3. 사유기간이 길수록 탄폐는 심한 경향이 있었다. 즉 사유기간이 1년 이하의 동물은 $53.8{\%}$ 2년 이상에서는 $87.2{\%}$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4. 축사내사유가 축사외사유은 각각 $68.6{\%}$$74.5{\%}$의 탄폐가 있어 유의한 차가 없었다. 5. 육안적소견으로 탄내 분허침착을 확인한 경우는 5건밖에 없었으며 전부 조직학적검사로서 확인되었다.

  • PDF

몽골 남부지역의 야생조류 사고: 감전사를 중심으로 (Bird accidents in Southern Mongolia: a case study of bird electrocution)

  • ;빙기창;;;최원석;;백인환;;;백운기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4-100
    • /
    • 2018
  • 몽골의 초원이나 사막과 같은 개방지역에 설치된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조류 감전사고는 매우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류피해조사를 위해 2017년 몽골 남부지역의 준사막 지역에 설치된 15-kV의 송전선로에 4월, 7월, 9월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50개의 전신주 구간에서 총 12종 45개체의 감전사한 조류를 확인하였다(10㎞마다 1.12% 사망률). 주요 감전 피해 조류는 멸종위기종인 Falco cherrug (n=11)와 Milvus migrans (n=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과 같이 개방된 환경에서의 조류를 위한 잠자리 또는 휴식처의 부족은 보다 많은 조류의 감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몽골의 다른 개방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고현장에서 종동정이 어려운 개체의 경우, 시료의 유전자 증폭 등을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몽골의 개방지역에서 조류의 감전사고는 조류에게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맹금류에게 빈번하며, 간헐적으로 이동철새에게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된 지역일 경우 조류의 감전사고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조류의 위험요소를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은 멸종위기종과 같은 종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 유리충돌 방지를 위한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Study on Design Considerations to Prevent Bird Collisions with Glass)

  • 이형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20
    • /
    • 2013
  • Bird collisions with glass are a substantial source of human-caused avian mortality. It has been estimated that between 100 million and 1 billion birds die in collisions with windows every year, and bird-window collisions can have a particularly serious impact on populations because glass is dangerous for strong, healthy, breeding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address the bird-window collision issue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bird-safe development by reviewing precedent studies on bird collision and analyzing bird-friendly design guidelines. Typically reflections of the sky, clouds or trees on glass, green plants in lobbies, and lights attract and confuse both migrating and resident birds. Therefore birds fatally fly into the glass because they do not recognize that reflections are false and that glass is a barrier. Many cities such as Toronto, Chicago and New York have made efforts on reducing the bird collision by encouraging the creation of environmentally conscious and bird-safe buildings. The USGBC also introduced a bird-safety credit as part of its environmental certification process, called LEED.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ented that architects and builders can help reduce or prevent bird from collisions in both new construction and existing structures with creative use of design elements. The measures to reduce bird collisions include using glass with an embedded pattern, opaque or translucent films, decals, dot patterns, awnings, louvers, and grilles. Turning off lights after midnight during the spring and fall migrations can be part of the solution as well. In order to reduce bird mortal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generate awareness of the issue among designers, builders, as well as the public. Also local governments need to develop bird-friendly design guidelines and planning mechanisms to encourage bird-safe development and building operation.

되돌아본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발자취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39권10호통권456호
    • /
    • pp.82-85
    • /
    • 2007
  • 2003년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가 발생된 이후 우리 양계산업은 겨울철만 되면 긴장을 늦출 수 없게 되었다. 해외에서의 인체 감염과 이에 따른 사망소식 등 위험성에 대해 미디어들은 축산농가들이 겪게 될 고통은 뒤로한 채 앞 다투어'조류독감'이라는 자극적인 표현을 내세우며 양계산업을 최악의 상태까지 몰아넣었다. 이러한 과잉보도는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더욱 고조시켰으며 이는 바로 양계산물의 소비급감으로 이어져 양계산업을 큰 위기로 몰고 갔던 것이다. 정부를 비롯한 양계협회 및 관련단체들은 주요 보도 매체를 방문해 가며 기존에 사용했던'조류독감'을'AI'또는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라는 명칭으로 정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양계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보험을 들면서까지 소비회복을 위한 노력에 동분서주하였다. 이렇듯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시마다 양계산업은 원자폭탄을 맞은 듯 큰 희생을 감내해야만 했다. 따라서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 하기위한 일환으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농가들이 차단방역을 위해 준비할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 PDF

전복 유생 사육을 위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 효율

  • 박세진;허성범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86-87
    • /
    • 2003
  • 본 실험은 전복 종묘생산 시 먹이생물로 적합한 부착 규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부경대학교 한국해양 미세 조류 은행에서 보유한 부착 규조종 중, 해역, 크기, 부착력, 영양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11종의 부착 규조를 선택하였다. 각 부착 규조를 f/2 배지로 파판에 배양 한 후 평균 각장 7mm의 까막전복 치패를 대상으로 26일 간 먹이 효율을 조사하였다. 또 이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먹이 효율이 좋은 4종의 부착 규조를 선택하여 참전복 유생의 부착율과 먹이 효율을 조사하였다. 참전복 유생은 수정 후 56 시간이 지난 veliger유생을 이용하여 각 규조에 따른 유생의 부착율, 사망률, 변태율,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까막전복 치패를 대상으로 규조종별 먹이 효율을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Caloneis schroder가 37.1%, Nitzchia sp. 35.0%, Navicula sp.가 31.4%로 대체로 높은 생존율을 보인 반면에, Navicula elegans이 6.4%, Cylidrotheca closterium.은 11.7%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실험 종료후, 까막전복 각장의 성장을 측정한 결과, Cocconeis californica가 9.33 mm, Achnanthes sp.은 9.27 mm으로 대체로 높은 성장을 보였다. 이에 반해 Navicula elegans은 8.60 mm으로 낮은 성장을 보였다. 전복 전중과 육중은 Amphora sp.에서 각각 87.7mg, 35.2mg 으로 가장 높았으며, Cocconeis californica와 Achnanthes sp.에서도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Navicula elegans는 각장의 성장에서와 같이 가장 낮은 증육을 보였다. 규조 4종을 대상으로 한 참전복 유생의 부착율 에서는 수정 후 152시간 후 Cocconies califonica에서 47.3%로 가장 높은 반면, Caloneis schroder 에서 23.8%로 가장 낮았다. 실험 9일째 사망률은 Cocconeis californica에서 63.6%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Nitzchia sp.에서 9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생의 변태율은 Cocconeis californica에서 98.5%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유생의 일간 성장율 역시 Cocconeis californica에서 25.4 $\mu\textrm{m}$/day로 높았고, Nitzchia sp.에서 13.9 $\mu\textrm{m}$/day로 낮았다. 실험 24일째 참전복 유생의 최종 생존율은 변태율과 일간 성장률이 높았던, Cocconeis californica에서 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