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력발전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조력, 조류 및 해류발전의 기술개발 동향

  • Jang, Gyeong-Su;Lee, Yong-Beom;Lee, Geun-Ho;Jeong, Dong-Su
    • 기계와재료
    • /
    • v.22 no.4
    • /
    • pp.92-101
    • /
    • 2010
  • 화석 에너지 고갈과 지구온난화의 위기로 인하여, 미개척 분야인 해양에너지 산업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조력발전, 조류발전 그리고 해류발전은 현 정부의 녹색성장기술 신재생에너지에 속한 산업 군으로서, 정부정책 기조와 일치하는 해양 분야의 신성장 동력 아이템이다. 조력발전의 경우 우리나라는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의 지형적 이점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상용화를 위한 조류발전기 개발 및 실증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해류발전은 그 개념이 국내에서 확립되어 개발 초기단계에 있는 해양발전의 새로운 영역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개발사례가 없다. 해류발전용 해류발전기는 조류발전기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나 발전용량이 크며, 개발 및 제작비용이 저렴하므로 조력발전소나 방조제의 수문 근처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면 매우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조력, 조류 및 해류발전에 대한 개념 소개와 조력발전과 조류발전의 국내외 개발현황 분석 그리고 새로운 개념인 해류발전에 대한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대효과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 PDF

A State of the Art Study of Tidal Power Technology Development (조력 발전 기술 개발 동향)

  • 송원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8
    • /
    • 1993
  • 한국해양연구소는 1973년 설립이래 서해안 조력발전 사업을 계속 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조력발전사업의 해외동향, 특히 Rance 발전소 가동 실적, 영국의 Severn, Mersey강 하구 조력발전 타당성 검토사업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그간 이룩된 각종 기술의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국내에서의 조력발전소 건설 타당성 검토는 192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 검토대상 지점은 경기도 강화군 남서쪽 동검도 일대의 해역이었으며 강화도 외측 조력발전 개발안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중략)

  • PDF

조력발전사업의 최근동향

  • 송원오
    • 전기의세계
    • /
    • v.31 no.5
    • /
    • pp.334-338
    • /
    • 1982
  •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해의 조력발전 개발현항 2. 조력발전용 수차 발전기 3. Annapolis 조력발전소 건설 4. 제언

  • PDF

조력발전에 대하여

  • 안수한
    • 전기의세계
    • /
    • v.26 no.4
    • /
    • pp.3-7
    • /
    • 1977
  • 본고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조력발전방식과 년간발전량 2. 우리나라의 조력지점 3. 조력발전개발에 대한 문제점과 전망

  • PDF

RANCE 조력발전소의 운전성과

  • 송원오
    • 전기의세계
    • /
    • v.28 no.6
    • /
    • pp.22-25
    • /
    • 1979
  • Rance 조력발전소가 이동된지도 10여년이 경과되었다. 시설용량 240MW, 년간발전량 500GWh 정도라면 발전소로서 별로 크다고는 할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력발전 타당성조사사업이 실시되었던 프랑스의 Chausey Iles, 영국의 Severn 하구, 캐나다의 Fundy만 등지의 조력발전계획보다도 규모는 훨씬 작지만 아직은 Rance전발소를 능가할만한 Rance 조력발전소는 없다. 이런 면에서 Rance 발전소는 조력발전소로서는 독보적인 존재이며 그간의 운전성과는 앞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Plan of Tidal Power and Environmental Impact in Korea (국내 조력발전 개발계획과 환경영향)

  • Lee, Sung-J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63-263
    • /
    • 2009
  • 최근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과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도입 계획에 따라 재생가능에너지 개발계획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조력 발전의 경우, 시화, 가로림, 강화, 인천만 등 전 세계 최대 규모 타이틀을 서로 갱신하가며 서해바다를 중심으로 건설 계획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인식되던 조력발전이 그 규모와 방식에 따라 환경파괴적 발전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갯벌소멸, 해양생태계 파괴, 해수면 상승 등 생태적 환경문제 야기와 더불어 지역 주민간의 사회환경적 갈등도 초래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 조력발전의 개발 계획과 과정을 살펴보고 생태적.사회적 환경영향 피해 점검을 통해, 바람직한 조력발전의 모습을 제시해 본다.

  • PDF

수력발전기술의 신개발과 조력발전 프로젝트 제안

  • Yun, Wu-Xin
    • Water for future
    • /
    • v.36 no.1
    • /
    • pp.64-73
    • /
    • 2003
  • 시화 조력발전소용으로는 벌브식 수차발전기가 가장 경제적인 수차형식이다. 본 고에서는, 하얼빈 전기기기 제작(주)의 수력발전 기기 설계를 포함한 전반적인 사항을 제안한다. 예비적으로 시화 조력발전소에 적용 가능한 벌브형 수차발전기에 대한 주요 인자와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pplicability of a new tidal power system with reduced environmental impact (환경영향을 저감한 신형 조력발전기술 적용성 검토)

  • Park, Young Hyun;Youn, Da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112-117
    • /
    • 2017
  •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ource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e west coast of Korea is one of the most favorable regions for tidal power. Barrage type tidal power is representative of the experience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uch power sources for long periods. However, future projects for barrage type energy sources are either delayed or closed due to their environmental impact. For this reason, we applied a new tidal power technology with minimized environmental impact to a candidate area in the west coast and then analyzed its feasibility. The new tidal power technology is called Dynamic Tidal Power (DTP). Because its verification is impossible both in the laboratory and field, a numerical model is used for the evaluation of DTP. This new technology produces tidal power by means of the phase difference caused by diffraction on both sides of a dike built tens of km away from the coast. Because DTP is theoretically able to almost double the tidal range, it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even a small tidal area. Unlike the barrage type,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environmental impact by not enclosing the sea water. The west coast of Korea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has a high tidal range and, thus, it is thought to be a suitable candidate for tidal power.

조력발전, 대규모 건설공사 파급효과 커

  • Lee, Jong-Su
    • 월간 기계설비
    • /
    • s.227
    • /
    • pp.40-49
    • /
    • 2009
  • 해양에너지는 해양의 조수 파도 해류 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기술로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은 조력 파력 조류 온도차 발전 등이 있다. 해양에너지는 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부존량이 풍부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대규모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조력과 조류발전은 발전량의 정확한 장기예측이 가능해 전력계통망 운영에 유리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해양에너지의 보급은 미미한 실정이다. 화석에너지에 비해 경제성이 낮기 때문이다. 특히 조력발전은 막대한 초기건설비가 소요되고 입지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해양에너지 산업화가 시기적인 문제만 있을 뿐 향후 이에 따른 건설 및 서비스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력 조류발전의 경우 대규모 건설공사가 수반되며 이로 인한 산업적 파급효과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로림 조력발전소, 울돌목 조류발전소의 경우 각각 약 3,600억원, 약 1조원, 약 2,500억원 총 건설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중 토목건설 부분이 약 50%, 기계 전기 부분이 약 50%를 차지한다. 이는 향후 5년간 약 1조 6,000억원 정도의 토목건설과 기계 전기 설비시장이 새롭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호에는 해양에너지 중 가장 집중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조력 조류발전에 대해 알아본다.

  • PDF

Economic Analysis for a Tidal Power Plant Project using RETScreen - Focused on the Tidal Power Plant in Asan Bay (RETScreen을 활용한 조력발전 개발사업 경제성 분석 - 아산만 조력발전소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Min-Ock;Jeong, Keun-Cha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4
    • /
    • pp.152-163
    • /
    • 2013
  • In this research, we analys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tidal power plant project which can efficiently generate mass, permanent, predictable, and homogeneous electric power. For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we used the RETScreen that is developed at the CANMET Energy Technology Center in Natural Resources Canada and widely utilized for analysing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sensitivity of clean energy projects. Results from the feasibility and sensitivity analysis showd that the tidal power plant project in Korea has a enough economic feasibility, and its feasibility increases more as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price and electricity unit price increas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feasibility study, we can solve the energy problems to be come in near future by constructing the tidal power plants in Korea more aggress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