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도 센서

Search Result 69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ata Processing Mechanism For Supporting Distributed Environment In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이 기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분산 환경 지원을 위한 데이터 처리 메커니즘)

  • Nam, Choon-Sung;Ku, Yong-Ki;Shin,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70-473
    • /
    • 2009
  • 환경정보를 감시하기 위한 각 센서 네트워크들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자가 구성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전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방법은 센싱 데이터에 대한 단일화된 형식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센싱 데이터 단위나 형식이 다양하게 표현되었으므로 센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응용 프로그램에 종속적인 데이터는 다른 센서 네트워크와의 공유도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센서 노드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원데이터(raw-data)를 원활하게 교환 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중심의 미들웨어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우리는 센서 노드로부터 측정한 데이터 및 요구사항을 단일화 하기 위한 표현으로 XML로 작성하고, 웹을 통해 센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중심의 센서 네트워크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Handy Non-contact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Device by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광섬유센서에 의한 간이 비접촉 표면조도 측정기의 개발)

  • Hong, Jun-Hee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4 no.2
    • /
    • pp.346-36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andy non-contact measurement device of the surface roughness by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The advantages of fiber optic sensors are high-speed responsibility, non-effect of the magnetic, convenience of the product and high precision. The measurement theory for surface roughness of optical fiber sensor is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based 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objec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previously known for surface roughness.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was determined using the distance to the surface from the sensor probe and the limit reflection angle based on the surface roughnes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nsor probe was produced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surface roughness only using the limit reflection angle based on the surface roughness with the fixed distance from the surface. A prototype measurement system was composed of a transmitting part, a receiving part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The materials of standard measurement which wa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SM45C, STS303 and Al6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roximation surface roughness formulas which was deduced from the correlation of between the standard surface roughness and the sensing output were verified that they were effect against the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value of the option sample. And handy optical fiber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device which was produced by an order was verified that it was effect for measuring of the precision surface roughness.

An Efficient Multiple Event Detection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다중 이벤트 탐지)

  • Yang, Dong-Yun;Chung, Chin-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6 no.4
    • /
    • pp.292-305
    • /
    • 2009
  •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a lot of application areas such as industrial process control, machine and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 and habitat monitoring. One of the main objects of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ese areas is the event detection. To detect events at a user's request, we need a join processing between sensor data and the predicates of the events. If there are too many predicates of events compared with a node's capacity, it is impossible to store them in a node and to do an in-network join with the generated sensor data This paper proposes a predicate-merge based in-network join approach to efficiently detect multiple events, considering the limited capacity of a sensor node and many predicates of events. It reduces the number of the original predicates of events by substituting some pairs of original predicates with some merged predicates. We create an estimation model of a message transmission cost and apply it to the selection algorithm of targets for merged predicates. The experiments validate the cost estimation model and show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compared with the existing approaches.

Development of Water Supply Technology Using Smart Rainwater Storage (스마트 빗물저류조 활용 용수공급 기술 개발)

  • Maeng, Seung Jin;Kim, Da Ye;Park, In Sung;Park, Hyung Keun;Seo, Sung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6-336
    • /
    • 2022
  • 빗물자원의 대부분은 바다로 유입되어 소모되거나, 하수로 유입되어 불필요한 고도처리 공정이 진행되고, 하수처리장 용량에 과부하를 발생시키는 등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갈수기시 농가에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용수 운반장치 등 기반구축이 쉽지 않으며, 인력 부족으로 정상적인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빗물자원을 용수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빗물저류조에 스마트 관수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지중에 설치된 토양수분 센서와 저류조 내부의 수위 센서에서 관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자동으로 지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시설이다. 지중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밸브를 열어 자동으로 펌프를 가동시켜 저류조 내부의 물을 지중으로 공급시키며 지중의 수분이 충분하거나 저류조 내부의 물이 부족해질 경우 밸브를 닫아 공급을 중단하도록 한다. 또한 저류조의 수위와 토양의 수분량, 펌프의 작동여부 등은 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수동조작 또한 가능하다. 본 기술은 집수, 저류, 공급, 통신, 제어, 센서 총 6종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환경 및 예산의 따라 집수, 저류, 공급 모듈 등 맞춤형 제품 구성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저류조의 물공급을 관리,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펌프를 작동시켜 수분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기록을 서버에 저장하여 데이터의 통계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가 앱을 통하여 직접적인 제어 및 가동환경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현장에 오지 않아도 토지의 현황과 저류조의 수위, 수분 공급상황 등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PDF

A Sensor Web System Supporting for Senior's Comfortable Life: knu-SCS (노인의 편안한 생활을 지원하는 센서 통합 관리 시스템: knu-SCS)

  • Yi, Sang-Min;Jin, Pyung-Su;Cho, Seung-Ho;Kim, Hyoung-Tae
    • KSCI Review
    • /
    • v.15 no.1
    • /
    • pp.103-109
    • /
    • 2007
  • 선진각국에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령친화 산업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 요양 또는 복지 시설 내 노인들의 거주 환경 변화 및 거주자의 활동 양상을 측정하는 유비쿼터스 노인케어 시스템 knu-SCS(KangNam Ubiquitous Senior Care System)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nu-SCS 시스템은 조도, 습도, 온도 센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센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저장, 가공,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하고 저장된 데이터들을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센서 웹을 구현하였다. 센서 웹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들은 일상적인 노인 행동 및 생활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자료가 되므로, 이를 기초로 노인들이 겪을 수 있는 건강상 문제, 갑작스런 생활의 변화감지,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노인케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trol and Level Measurement for a Rainwater Tank (우수 저류조 수위측정 및 제어에 대한 연구)

  • Kim, Kee-Hw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4
    • /
    • pp.55-59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rainwater tank by installing an underground storage tank as one of way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to solve the water shortage and imbalance. For this purpose, a microprocessor of ATMEL's Atmega 128 is used for the control module, and th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water level uses a float type level sensor which is a kind of tactile sensor. In particular, the level sensor outputs the output in a industry standard dimension, so that the compatibility is improved so as to replace the existing sensor.

Walking 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Vultiple sensors (다중 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 보조 시스템)

  • Park, Hye-Bin;Ko, Yong-Jin;Lee, Seung-Min;Jang, Ji-Hoon;Lee, Bo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4
    • /
    • pp.533-538
    • /
    • 2017
  • In this thesis, the ambulatory aid mechanism was implemented so that blind people could be safer at risk of walking outdoors. Using ultrasonic sensors, the obstacles can be dete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is within 50 cm of the obstacle. If the light sensor becomes less than 25 lux, the LED will automatically turn on and help the safety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security of sight of the peripheral walkers. Color recognition sensors increase the rate of recognition of yellow color by the detection distance is 1cm, it vibrated when yellow light was detected. Using GPS with 7.3 m of error range, the guardian was able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Design of intelligent LED system using chopper converter (쵸퍼컨버터를 이용한 지능형 LED시스템 설계)

  • Jeong, Jae-Hoon;Kim, Hee-J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5-166
    • /
    • 2012
  • 본 연구는 조도센서와 쵸퍼컨버터를 이용하여 LED 조명의 밝기를 제어를 목표로 한다. 조도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이를 포텐셜미터에 전달한다. 포텐셜미터는 쵸버컨버터의 PWM을 제어하여 조도량에 응답하는 지능형 LED 구동회로를 개발하였다. 또한 PFC를 이용한 고효율 컨버터를 설계하여 LED의 구동전원에 이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지능형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 PDF

A New Join Operator Definition for Sensor Network Databases (센서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새로운 조인 연산자 정의*)

  • Lee, Seung-Jae;Kim, Chang-Hwa;Kim, Sang-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75-78
    • /
    • 2007
  • 최근 센서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센서네트워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센서네트워크에서는 제한된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점,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기존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연구가 필요하다. 정확히 일치하는 키 값에 대하여만 조인이 발생하는 조인연산 또한 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일정영역에 무작위로 뿌려져 있는 센서네트워크를 가정해 보자. 데이터베이스 관점에서는 온도릴레이션과 습도릴레이션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위치에 따른 온도와 습도의 상관관계를 얻기 위하여 좌표를 키 값으로 하여 릴레이션을 조인하면 결과는 공집합이거나 아주 적은 수의 튜플만 얻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그 이유는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쌍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범위조인연산자를 제안한다. 이 범위조인연산자를 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하면 좀 더 효율적인 데이터관리가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응용계층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Lane Information Fusion Scheme using Multiple Lane Sensors (다중센서 기반 차선정보 시공간 융합기법)

  • Lee, Soomok;Park, Gikwang;Seo, Seung-w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12
    • /
    • pp.142-149
    • /
    • 2015
  • Most of the mono-camera based lane detection systems are fragile on poor illumination conditions. In order to compensate limitations of single sensor utilization, lane information fusion system using multiple lane sensors is an alternative to stabilize performance and guarantee high precision. However, conventional fusion schemes, which only concerns object detection, are inappropriate to apply to the lane information fusion. Even few studies considering lane information fusion have dealt with limited aids on back-up sensor or omitted cases of asynchronous multi-rate and cover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ne information fusion scheme utilizing multiple lane sensors with different coverage and cycle. The precise lane information fusion is achieved by the proposed fusion framework which considers individual ranging capability and processing time of diverse types of lane sensors. In addition, a novel lane estimation model is proposed to synchronize multi-rate sensors precisely by up-sampling spare lane information signals. Through quantitative vehicle-level experiments with 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and frontal camera system, we demonstrate the robustness of the proposed lane fusion sc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