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도 센서

Search Result 69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mage Sensor Module for Detecting Space Illuminance in Indoor Environment (실내 환경의 공간조도 검출을 위한 이미지센서모듈)

  • Moon, Seong-Jae;Lim, Yeong-S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7
    • /
    • pp.771-778
    • /
    • 2019
  • The traditional illuminance intensity detection method using a single sensor has a problem that uniformity of illuminance detection is deteriorated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position due to the narrow FOV characteristic.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hod of detecting an average illuminance value through a plurality of illuminance sensors is used, but the complexity and detection error are increa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illuminance intensity detection method based on a single image sensor with wide FOV. The proposed method can solve the problems such as system complexity and error increase of existing illuminance sensor.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of average value is 12% using a illuminance sensor, 10.7% using five illuminance sensors, and 6.2% using an image sensor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using the color difference illuminometer.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asily and accurately detect the space illuminance with improved uniformity.

An Energy-Efficient In-Network Join Query Processing using Synopsis and Encoding in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에서 시놉시스와 인코딩을 이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인-네트워크 조인 질의 처리)

  • Yeo, Myung-Ho;Jang, Yong-Jin;Kim, Hyun-Ju;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26-134
    • /
    • 2011
  • Recently, man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using join queries to correlate sensor readings stored in different regions. In the conventional algorithm, the preliminary join coordinator collects the synopsis from sensor nodes and determines a set of sensor readings that are required for processing the join query. Then, the base station collects only a part of sensor readings instead of whole readings and performs the final join process. However, it has a problem that incurs communication overhead for processing the preliminary joi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energy-efficient in-network join scheme that solves such a problem. The proposed scheme determines a preliminary join coordinator located to minimize the communication cost for the preliminary join. The coordinator prunes data that do not contribute to the join result and performs the compression of sensor readings in the early stage of the join processing. Therefore, the base station just collects a part of compressed sensor readings with the decompression table and determines the join result from them. In the result, the proposed scheme reduces communication costs for the preliminary join processing and prolongs the network lifetime.

Urban Gutter Reservoir Operating System Model Using Sensors (센서를 활용한 도심지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

  • Lee, Woon Sung;Yuk, You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9-399
    • /
    • 2022
  • 최근 국지성 호우 등 홍수방어 시설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발생으로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피해는 전체 피해액의 50%를 넘는다. 그러나 우수관거의 노후화 및 통수능 부족으로 우수의 즉각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 중 저지대 지역 및 우수관거의 통수능력 부족이 침수피해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한다. 따라서 도심지의 경우 내수침수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배수관거와 연계한 저류시스템 구축으로 침수 빈발 지역의 치수 능력 향상을 통하여 경제적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저류시스템은 현장 노면수 저류를 위한 측구 저류조와 저류조 운영 시스템을 의미하며,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현장 센싱(Sensing)데이터와 연계할 수 있는 정보체계 및 운영 시스템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센서를 활용한 도심지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센서의 구성은 측구 저류조 내의 협소한 공간과 전원공급, 방진·방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무전원 근거리 이동통신기술(RFID)을 적용하여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수집서버와 통신하여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는 근거리 RFID 리더기가 측구 저류조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모듈에 수신한 저류조 개폐도어 열림과 닫힘 시그널(signal), RFID의 고유 ID 등을 전달 받아 운영 시스템 내의 RFID 이력 DB(Database)에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는 각각 RFID 일련번호, 기록 시간, 동적센서 시그널 값 등이 저장되어 각각의 측구 저류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저류량 산정을 위해서 GIS기반의 하수도 시설물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운영 시스템은 수집된 센서정보를 시계열 단위로 분석하고 위치정보 기준으로 측구 저류조 내의 총 저류량 산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결과를 표출한다. 따라서 하수도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측구 저류조 및 센서의 속성정보 정의가 필요하며, 공간정보 파일(Shape File)을 적용하여 GIS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운영 시스템은 저류조 만관상태와 총 저류량을 산출하여 침수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상 강우에 따른 도심지 피해를 역으로 예측하여 강우사상 빈도에 따른 측구 저류조 체적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Efficient Record Filtering In-network Join Strategy using Bit-Vector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비트 벡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레코드 필터링 인-네트워크 조인 전략)

  • Song, Im-Young;Kim, Kyung-Ch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4
    • /
    • pp.27-36
    • /
    • 2010
  • The paper proposes RFB(Record Filtering using Bit-vector) join algorithm, an in-network strategy that uses bit-vector to drastically reduce the size of data and hence the communication cost. In addition, by eliminating data not involved in join result prior to actual join, communication cost can be minimized since not all data need to be moved to the join nodes.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RFB algorithm significantly reduces the number of bytes to be moved to join nodes compared to the popular synopsis join(SNJ) algorithm.

Smart 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SmartHome (첨단주택용 지능형 통합 리소스 관리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 예측모델)

  • Park, Young-Kook;Lee, Min-Goo;Kang, Jeong-Hoon;Yoo, Jun-Jae;Ko, Won-Sik;Choi, Tae-Ju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428-431
    • /
    • 2009
  • 기존의 첨단주택은 IT 차원에서 접근되어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술은 시도하지 않았고 에너지 환경관리 기술이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용자 생활 패턴을 파악하여 에너지 소모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테스트 하였다. 복도, 출입구 그리고 현재 근무 중인 테이블에 조도 센서와 인체 감지 센서를 설치하였는데 조도 센서와 인체감지 센서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생활패턴을 파악하고 조도 값에 따라 실내등을 소등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센서 노드는 스타 토폴로지(one-hop) 형태로 연결되며 데이터는 USN 브릿지에 있는 베이스노드로 수집되고 이더넷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면 DB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실시간으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내 환경 통합 감시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Emergency Exit Guidance Lamp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nsor in Case of Fire (화재 발생 시 센서별 특성을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개발)

  • Kim, Jong-Kwan;Jeong, Do-Hyeon;Yu, Yong-Woo;Yang, Min-Hyeok;Lee, Bo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019-1028
    • /
    • 2021
  • Emergency exit guidance lights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quick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the event of a fire using a gas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Arduino Uno, and a Bluetooth module. This research was designed such that, when a fire breaks out, a red arrow appears as the illuminance value is low and a green arrow as the illuminance value is high to improve visibility when detecting high temperature and smoke.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prevent more serious conflagration by applying an alarm sound and text transmission algorithm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ext messages indicating a 174Hz alarm sound and a fire location to prevent more serious conflagration.

A Study on Path Tracking Efficiency Using Ultrasonic, Infrared and Light Sensor (초음파, 적외선 그리고 조도 센서를 이용한 경로 추종 효율성에 관한 연구)

  • Son, Gye-Won;Park, Se-Hwan;Eom, Seong-Ho;Noh, Hae-Jun;Park, Myung-Kyun;Cho, K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30-533
    • /
    • 2017
  • 이 연구는 센서와 자율주행 자동차의 경로 추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 현황'과 '주요 사용 센서 현황'을 통해 사용센서를 선정하였고, 선정한 센서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음파, 적외선, 조도 센서를 이용해 환경 변수가 제한된 상황에서 경로 추종 주행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동일 환경이라도 센서의 값이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A Study of Microscopic Energy Simulation based on BIM - Illuminance & Energy Analysis of Illuminance Sensor Lighting (BIM 기반의 미시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조도센서등의 조도 및 에너지 분석을 중심으로)

  • Baek, Ji-Wo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
    • /
    • pp.384-390
    • /
    • 2019
  •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e design focused on eco-friendly and low energy continues to grow. In addition, the energy conservation design is required from a micro-perspective. Energy simulations based on BIM have attracted recent attention because of the high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 parameters concerned with microscopic energy are not included in BIM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 sensor-light parameter using a simulation of illuminance sensor light. In this study, illuminance sensors were installed into the BIM data and the operating schedule data of sensor light were generated by an illuminance simulation. The schedule data was then inputted into the simulation application, and the reduction ratio of power consumption was verified by the simulation. According to research,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rmal load decreased by more than 20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ensor-light parameter into BIM data for microscopic energy conservation design. This study was not confined to checking whether sensor-light parameter is necessary or not, but to ascertaining the necessary of applying a microscopic factor to generate BIM data.

Optimization of Multiple Join Queries using MJoin over Data Streams (데이터 스트림에서 MJoin을 이용한 다중 조인 질의의 최적화 기법)

  • Lee, Hun-Joo;Park, 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139-144
    • /
    • 2006
  • 센서 네트워크에서 각 센서는 제한된 개수의 속성을 기반으로 한 스키마를 가진다. 사용자는 여러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기 때문에 여러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조인하는 질의가 필수적이다. 또한, 센서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보내는 경우 스트림의 형태로 입력되므로 빠른 조인 질의의 질의 수행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여러 입력 스트림을 조인하는 MJoin 을 기반으로 한 다중 조인 질의의 효율적인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다중 조인 질의에 대해 기존의 MJoin을 적용한 기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 조인 질의 최적화 질의 계획 수립 기법을 비교, 분석한다.

  • PDF

Simulation test model for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인텔리전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테스트 모델 기술)

  • Park, Yong-Kuk;Kang, Jeong-Hun;Lim, Ho-Jung;Ko, Won-Sik;Choi, Tae-Jun;Lee, Min-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620-622
    • /
    • 2009
  • 기존의 지능형 홈은 주거환경에서의 사용자의 편의성이 중심이 된 IT기술 기반의 홈 네트워크 중심 기술이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의 기술 적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적용된 기술 또한 기술적 수준이 매우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택 환경에서 에너지 절감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요소 인프라 기술을 유도해 내기 위해 실제 사용자의 생활 행위 패턴을 에너지 절감을 위한 구성 요소로 파악하여 실제 이러한 생활 패턴을 정형화 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할 수 있는 테스트 모델을 셋업하였다. 이를 위해 복도, 출입구 그리고 현재 근무 중인 테이블에 조도 센서와 인체 감지 센서를 설치하였는데 조도 센서와 인체감지 센서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생활패턴을 파악하고 조도 값에 따라 실내등을 소등할 수 있도록 한다. 개개의 센서 노드에서 수집된 센싱 데이터는 브릿지에 있는 베이스 노드로 수집되고 이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어 DB 구축되어 진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테스트 모델을 통해 에너지 소비 상태를 파악하고 정형화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구현이 가능해 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