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단백질 수준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37초

산란초기의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계란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in Laying Hens during Early Stage of Egg Production)

  • 추연경;권형주;오성택;김용란;김은집;김동욱;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1-368
    • /
    • 2013
  • 본 시험은 산란 초기에 있어 조단백질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산란 초기 사료 내 적정 단백질 수준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22주령 Hy-Line 갈색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면적의 케이지에 모두 4개 처리구에 9반복, 반복당 20수씩 총 720수를 선발하여 2주간 일반 시판 사료로 예비 사육하였으며, 처리구별 산란율과 체중이 유사하도록 재배치한 후 총 12주간 사육하며, 조단백질 수준이 난생산성 및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사료 섭취량의 경우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 처리구의 경우 다소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었다. 산란율에 있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 사료를 급여할 경우에도 산란율 95%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난중의 경우, 조단백질 19%를 제외하고, 조단백질 16~18%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난질 항목에 있어 Haugh unit, 난각 두께 및 강도의 경우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황색에서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난황색이 옅어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양표준 2차 개정판(2012)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아미노산(Lys, TSAA, Thr) 수준을 유지하고, 사료 섭취량이 105 g 이상의 조건이라면 조단백질 16% 수준으로도 초기의 난 생산성 및 품질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내 대사 에너지 및 조단백질 수준이 산란종 수평아리의 성장성적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yer-type Growing Male Chicks)

  • 윤정근;김홍래;오성택;정란;최영인;추연경;안병기;이성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7-95
    • /
    • 2012
  • 본 연구는 사료 내 대사 에너지 및 조단백질의 수준별 급여가 산란종 수평아리의 생산성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전용 사료로서 요구되는 적정 영양 수준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실험 동물은 1일령 Hy-Line Brown 수평아리 900수를 공시하여 대사 에너지를 두 가지 수준(2,800 kcal/kg 및 2,950 kcal/kg), 조단백질을 세 가지 수준(17%, 18.5% 및 20%)으로 하는 $2{\times}3$ factorial design으로 구성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30수씩을 체중이 유사하도록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21일령, 53일령에 생체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을 조사하였고, 에너지 및 단백질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53일령에 생체중 측정치의 평균에 해당하는 개체를 처리구별로 8수씩 선발하여 도계 후 가식성 부위 및 조직의 상대적 중량을 조사하였다. 혈중 콜레스테롤 및 간 기능 관련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료 섭취량은 대사 에너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p<0.05), 대사 에너지${\times}$조단백질 상호작용 또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 0.05).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대사 에너지 수준보다는 조단백질의 사료 내 수준이 17.0%에서 20.0%로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0.05), 대사 에너지${\times}$조단백질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 내 영양소 수준에 따른 에너지와 단백질의 섭취량은 대사 에너지${\times}$조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한 유의한 차이나 경향이 관찰되었다. 1 g 증체에 요구되는 에너지 섭취량은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낮아졌고(p<0.001), 수당 단백질 섭취량은 저에너지구(2,800 kcal/kg)가 고에너지구(2,950 kcal/kg)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수준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1). 1 g 증체에 요구되는 단백질 섭취량 역시, 조단백질 수준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간, 비장, 가슴육 및 다리 부위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 GOT 활성, BUN, 크레아틴 역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GPT 활성에서 대사 에너지 2,950 kcal/kg 처리구가 대사 에너지 2,800 kcal/kg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6), 혈청 알부민에서 대사 에너지${\times}$조단백질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산란종 수평아리의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대사 에너지 수준보다는 조단백질 수준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대사 에너지 2,800 kcal/kg 및 2,950 kcal/kg의 급여 수준의 차이는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각 기간별로도 사료 내 대사 에너지 및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유지되었고, 대사 에너지 및 조단백질 수준별 급여가 도체특성, 혈액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대사 에너지 2,800 kcal/kg 수준과 조단백질 18.5% 수준 이상의 사료 급여가 산란종 수평아리의 육성에 있어서 가장 적정한 영양 수준인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중 단백질 수준 및 CLA(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and Supplement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 문홍길;이성대;정현정;김영화;박준철;지상윤;김종대;권오섭;김인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695-7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육돈 사료내 조단백질 및 CLA 수준과 그들간의 상호작용이 성장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일령이 비슷하고 체중이 79±1kg되는 3원교잡종 48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시료 중 조단백질 함량 2수준(11.3%, 16.0%)과 CLA 함량 2수준(0%, 2.5%)의 2×2 요인실험으로,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종료체중(P<0.05)과 일당증체량(P<0.01)은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사료요구율(feed/gain, P< 0.01)은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도체중량은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P<0.001), CLA 2.5% 첨가구가 CLA 무첨가구에 비해(P<0.01)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단백질 11.3% 첨가구에서는 CLA의 첨가가 도체중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0% 첨가구에서는 CLA 2.5% 첨가 시 도체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조단백질과 CLA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1). 등지방두께는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 CLA 2.5% 첨가구가 CLA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조단백질 11.3% 첨가구에서는 CLA의 첨가가 등지방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0% 첨가구에서는 CLA 2.5% 첨가 시 등지방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조단백질과 CLA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01). 상강도(marbling score) 및 근내지방(intramuscular fat) 함량은 조단백질 11.3%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가 조단백질 16.0%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비육후기에 저 단백질 사료 급여로 등지방은 얇으면서 기호성이 높은 고 상강도의 돈육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정상적인 수준의 조단백질 사료 급여 시 CLA의 첨가로 등지방두께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의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Ducks)

  • 권형주;추연경;오성택;김학규;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1-359
    • /
    • 2013
  • 본 실험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Lysine/TSAA)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45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으며,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36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조단백질 23 및 20%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31/1.09, 1.21/1.00 및 1.11/0.91와 1.11/0.91, 1.02/0.83 및 0.92/0.75였으며, 육성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및 17%,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00/0.79, 0.94/0.75 및 0.88/0.71와 0.88/0.71, 0.82/0.67 및 0.76/0.63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중과 일당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P<0.05), 아미노산(Lysine/TSAA)과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균일도는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성장성적, 도체율 및 상대적 중량 모두에서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전단력가 및 가열 감량에서도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토종오리는 육용종 오리와 달리 육성 후기의 경우 낮은 성장률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수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후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차이가 거세한우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in the Concentrates on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병기;오동엽;황은경;송영한;이상욱;정근기;하재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61-66
    • /
    • 2013
  • 본 연구는 농후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거세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한우 거세 송아지 30두를 공시하여, 비육 단계별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에 농후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을 대조구는 육성기; 14%, 비육전기; 13% 및 비육후기; 11%, 처리구는 육성기; 16%, 비육전기; 15% 및 비육후기; 14%로 하여 도체 특성,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육질등급에서는 대조구 대비 처리구에서 근내지방도가 유의적(p<0.05)으로 향상되었고, 육질등급을 점수화하여 환산한 결과로는 약 15.6% 정도가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처리구에서 수분과 조단백질의 경우 감소하고 조지방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 중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올레인산에서 처리구가 대조구 대비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육성 및 비육기때 농후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을 증가시키면 근내지방도, CIE 값의 명도, 올레인산 및 단일 불포화지방산에서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었다.

육계에서 에너지 및 조단백질 저감 사료 내 효소제의 적용 효과 (Effect of Enzymes Application in Feed with Reduced Concentrations of Energy and Crude Protein in Broiler Chickens)

  • 김웅래;권소희;김관응;김은집;안수현;공창수;김수기;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3-151
    • /
    • 2020
  • 대사에너지와 조단백질 수준을 낮춘 실험사료 내에 여러 종류의 효소제를 첨가, 급여하고 성장 성적을 조사함으로써 효소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화 직후 동일한 사양 조건과 사료 급여 조건에서 사육한 7일령 수평아리 750수를 공시하였고(5처리, 6반복, 반복당 25수), 대사에너지와 조단백질 수준을 Ross 308의 권장 수준에 유사하도록 배정합한 시판사료를 대조구로 하였고, 대사에너지를 100 kcal 낮추고, 조단백질 수준을 1.0% 저감시킨 사료에 4종의 효소제품을 각각 첨가한 실험사료 급여구(T1-T4)로 구분하였다. 21일령까지 전기사료(starter diet)를, 이후 28일령까지 후기사료(grower diet)를 급여하였다. 에너지 및 조단백질 저감 사료 내 효소제 첨가 급여 후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육 전 기간의 사료요구율(FCR)은 고에너지 대조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고(P<0.001), 효소제 첨가구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구의 1.5 kg 도달 추정 일령은 26.34일이었고, 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26.39일(T2)부터 26.84일(T4) 사이로 추정되었다. 혈액 영양지표 성분의 농도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맹장 균총 수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우점균 조성에서는 처리간에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공장 내용물의 점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회장 내용물 점도는 T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에너지와 조단백질 수준을 낮춘 실험사료 내 효소제의 첨가급여는 사료요구율을 제외한 성장 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생리적 지표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이 진도성견의 질소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on Nitrogen Balance in Adult Jindo Dog)

  • 강태일;맹원재;김명화;이상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155-162
    • /
    • 2009
  • 본 연구는 진도성견의 단백질 급여수준이 질소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단백질 급여 표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진도견 성견초기(생후 36~38주령)와 성견후기(생후 45~49주령)의 암컷 12두를 대상으로 단백질 수준을 17, 19 및 21%로 설정한 실험사료를 급여하여 체중, 사료섭취량 및 분뇨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성견초기의 일당 증체량은 조단백질 함량 17, 19 및 21%구에서 각각 -38.33, -16.25 및 -12.71g으로 나타났으며 17% 조단백질 사료급여구가 19 및 21%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축적된 질소량은 각각 -0.29, -0.04 및 -0.03g/kg$BW^{.75}$/d로 계산되었으며 조단백질 17% 급여구가 19 및 21%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소섭취량(x)과 질소축적량(y)간에 y = 0.7484x-1.18 ($R^2$ = 0.9923)의 회귀식이 도출되었으며, 이 식으로부터 성견초기의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9.85g/kg$BW^{.75}$/d로 추정되었다. 진도견 성견후기의 일당 증체량은 실험구 별로 각각 -34.05, -28.71 및 -28.28g으로 17% 단백질 사료급여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축적된 질소량은 각각 -0.33, -0.06 및 -0.09g/kg$BW^{.75}$/d로 계산되었으며 17% 조단백질 급여구가 19 및 21%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소섭취량(x)과 질소축적량(y)간에 y = 0.8823x-1.0894 ($R^2$ = 0.9982)의 회귀식이 도출되었으며 이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성견후기의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7.72g/kg$BW^{.75}$/d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진도견을 대상으로 한 영양소 요구량을 설정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로 생각되며 연구의 결과는 진도견의 단백질 요구량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진도견의 단백질 요구량을 최종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성별 및 사육환경에 따른 영양소 요구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섬유질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Total Mixed Rations on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Early Pregnant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최순호;이성훈;김상우;김영근;상병돈;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3-100
    • /
    • 2007
  • 본 연구는 섬유질배합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임신흑염소의 적정 조단백질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임신초기흑염소 12두를 4처리구(관행사료구, 조단백질 10, 12 및 15%)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유질배합사료의 일반 조성분은 건물 함량이 $89.0{\sim}91.0%$를 나타내었고, ADF와 NDF 함량은 $18.87{\sim}19.85$$53.41{\sim}54.80%$로 나타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섬유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TMR10, TMR12 및 TMR14구가 각각 10.61, 12.15 및 14.97% 이었다. 하지만, NFC 함량은 섬유질배합사료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물섭취량, 영양소 섭취량 및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은 TMR15와 대조구가 TMR10과 TMR12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대사체중당 건물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비율에서도 대조구와 TMR15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소화율은 $69.01{\sim}70.33%$ 범위로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 소화율은 세 수준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섬유질배합사료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섬유질배합사료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축적량 및 축적율에서는 TMR15구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사료 내 증가하는 수준의 조단백질 함량은 건물섭취량 및 질소 축적을 증가시켰고, 특히 TMR 사양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의 조단백질수준은 적어도 15%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조생 다수성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이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함량으로 낮아졌다. 비보존성 반응(즉 침전, 흡착, 산화, 용해 등)과 보존성 반응(예: 수리학적 혼합)은 미량원소가 강으로 이동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자연저감 기작이었다.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정상군에 비해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총수는 43.9%(1형: $23.7%\downarrow$, 2형: $17.8%\downarrow$, 3형 : $56.2%\downarrow$) 감소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saicin 투여에 의해 성숙흰쥐의 근육층 신경얼기에서 칼슘채널 ${\alpha}_{1B}$ subunit의 면역활성도는 투여 후 1주일가지 빠르게 저하되며 그 이후부터는 점차 정상으로 회복되나 완전한 상태로의 회복에는 4주 이상의 시간경과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形態學的) 배양학적(培養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andida guilliermondii var. guilliermondii 로 동정(同定)되었다. 6. CHS-13 균주(菌株)를 당화액(糖化液)에 배양(培養)시켰을 때 Lowry-protein 함량은 $0.72\;mg/m{\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

단백질 수준이 진도자견의 성장과 질소평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ein Levels on Growth and Nitrogen Balance in Growing Jindo Dog)

  • 강태일;맹원재;김명화;이상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33-638
    • /
    • 2007
  • 본 연구는 진도자견에 대한 단백질의 급여 수준이 질소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단백질 급여 표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생후 평균 18~20주령의 진도견 암컷 12두를 대상으로 단백질 수준을 21, 23 및 25%로 설정한 실험사료를 급여하여 체중, 사료섭취량 및 분뇨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조단백질 함량 21, 23 및 25%구에서 각각 65.42, 79.58 및 99.17g으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25%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축적된 질소량은 각각 0.74, 0.96 및 1.31g/kgBW.75/ d로 계산되었으며, 25% 조단백질 급여구가 21 및 23%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소섭취량(x, g/d)과 질소축적량(y, g/d)간에 y = -2.519x2 +12.79x-14.79의 회귀식이 도출되었고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R2=0.782, p<0.05). 이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자견의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11.25g/kg BW0.75/d로 추정되었다.본 연구의 결과는 진도자견의 단백질 요구량을 설정하는데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나, 진도견의 단백질 요구량을 최종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성별 및 사육환경에 따른 영양소 요구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