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기치료

검색결과 1,691건 처리시간 0.032초

태변 흡인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과 기관 내 삽관 후 조기 태변 흡인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Clinical observation of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and effect of suctioning through endotracheal intubation on prognosis of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윤용호;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59-964
    • /
    • 2007
  • 목 적 : 태변 흡인 증후군에 이환된 환아의 임상적 고찰과 분만 직후의 기관내 삽관을 통한 태변 흡입이 태변 흡인 증후군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2년 6개월 동안 제일 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4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출생 직후 활발하지 않아 신생아 소생술 지침에 따라 기관 삽관을 통하여 태변 흡인을 시행하였으나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군(12명)과 출생 직후 활발하여 기관 삽관을 하지 않았으나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군(32명)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임상적 특징, 산과적 위험인자, 동반 질환, 치료 방법, 입원 기간 등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 :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환아에서 조기 흡인군과 조기 비흡인군에서 평균 재태 연령, 평균 출생 체중, 성별, 분만 방식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아프가 점수는 조기 흡인군에서 1분, 5분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반 질환으로는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13.6%), 신생아 경련(9.1%), 기흉 및 기종격(6.8%)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인공 호흡기 치료는 35예(79.5%)에서 시행하였고, 고빈도 진동성 환기법으로 치료 받은 환아는 조기 비흡인군에서 1예 있었으며 폐계면 활성제 치료를 받았던 환아는 조기 흡인군에서 1예(8.3%), 조기 비흡인군에서 5예(15.6%)로 조기 비흡인군에서 많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기계적 환기 요법의 치료 기간과 입원 기간은 조기 비흡인군에서 길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 산소 치료 기간은 조기 비흡인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길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태변 흡인 증후군 환아의 조기 비흡인군에서 폐 계면 활성제의 사용이 많았고, 기계적 환기 요법 치료 기간, 입원 기간 등이 길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총 산소 치료 기간은 통계적으로 조기 흡인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태변 착색아 중에서 활발한 군에 대한 더 세부적인 지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신경학적 후유증의 장기 예후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III급 부정교합의 조기 치료 예후 예측를 위한 두부방사선 계측 변수의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cephalometric measurement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early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18
    • /
    • 2004
  • III급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했을 때, 치료 후 retention 기간 중에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재발되어 성장 완료시기에 악교정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어린 년생부터 장기간에 걸쳐 교정치료를 했음에도 재발되어 악교정수술을 하는 경우에, 환자와 보호자는 소모된 시간과 경비에 대해 많은 실망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교정치료 후 보정기간 중에 있는 30증례를 조사했다. 치료 완료된 교합상태를 교합안정 정도에 따라 good, fair, relapse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골격형태를 관찰한 결과, AB-MP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조기에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우에, 치료 후 안정에 관한 예후를 평가하는데 AB-MP를 활용할 수 있다. AB-MP이 65이상인 경우에 조기치료가 권장되고, 60이하인 경우에는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연기할 수 있다.

$^{99m}Tc-MDP$골스캔을 이용한 초기 골수염의 진단과 이의 평가

  • 이상래;김원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6호통권217호
    • /
    • pp.541-548
    • /
    • 1987
  • 골수염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않으면 중대한 후유증이 초래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골수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구강검진, 방사선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 혈액 및 세균배양검사와 골스캔등이 필요하다. 골수염의 감염과정은 골에 파괴적 및 재생적 변화의 양자를 모두 일으키지만 X선사진소견에서는 임상증상이 발현된 후 약 10내지 14일이 경과되어야만 골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그 이전에는 대체로 비특이적 연조직의 종창만을 보인단. 반면에 골스캔을 이용하면 급성염증기의 골질환을 감견하기가 용이하다. 골스캔제의 국소골섭취의 증가는 골의 어떤 부위에서 대사능이나 혈류가 증가된 경우에 일어나기 때문에, 실제로 임상증상이 발현된 후 24시간정도의 조기에 골스캔상은 양성반응을 보인다. 즉 골의 국소적 병변은 어느정도 신생골 형성과 골파괴가 같이 수반되어있고 이러한 신생골은 골스캔제와 친화력이 강하므로 골형성반응을 야기하는 어떠한 병변이라도 골스캔에 의하여 발견될 수 있다. 임상적으로 골수염에 대하여 골스캔을 시행하는 경우는 골수염의 조기진단, 골수염과 봉와직염과의 감별진단, 만성 공수염의 악화여부 및 치료에 대한 반응을 monitoring하기 위해서 시행된다.

  • PDF

우식 위험의 평가와 우식 병소의 조기 진단

  • 김종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3권5호통권432호
    • /
    • pp.312-317
    • /
    • 2005
  • 치아 우식증은 영유아기를 거쳐 학령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감염된 질환으로써 구강 위생 평가를 통한 적절한 대응과 조기 진단을 통한 조기 치료와 적절한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한 구강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겠다. 우식 위험 평가에 대한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지침 내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PDF

석회화 건염의 보존적 치료와 조기 관절경적 치료 결과 (Conservative and Early Arthroscopic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 김명구;배주한;전윤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54
    • /
    • 2009
  • 목적: 석회화 건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 및 조기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후 통증과 임상경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30예 중 6개월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15예 및 수술 치료 15예를 대상으로 하여 석회질의 통증과 운동 범위의 호전을 2주, 12주, 24주째 각각 비교 관찰하여, Constant-Murley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통증 정도는 Constant-Murley score상 보존적 치료군의 경우 수술 전 평균 3.2에서 치료 이후 2주, 12주, 24주째 각각 13.6점, 14.5점, 14.7점이었으며, 수술적 치료군은 수술 전 평균 3.3에서 수술후 2주, 12주, 24주째 각각 10.2점, 13.0점, 14.3점이었다. 운동 범위는 보존적 치료군의 경우 수술 전 평균 14.3에서 치료 이후 2주, 12주, 24주째 각각 21.7점, 31.3점, 35.7점이었으며, 수술적 치료군은 수술 전 평균 14.4에서 수술후 2주, 12주, 24주째 각각 33.1점, 35.8점, 36.4점이었다. 치료 2주째 및 12주째 두 간의 비교에서는 수술적 치료 군이 유의하게 우수하였으나, 최종 추시시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 석회화 건염의 조기 관절경적 치료는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조기에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PDF

신종 HIV 발견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레드리본
    • /
    • 통권39호
    • /
    • pp.42-43
    • /
    • 2001
  • 최근 많은 에이즈 치료전문가들은 에이즈바이러스를 단번에 퇴치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가능한 한 조기에 공격적인 방법으로 에이즈를 퇴치하겠다는 입장에서 환자들에게 강력한 복합 약물치료를 처방하지 않기로 하는 등 치료에 대한 태도를 신중한 자세로 바꾸고 있다.

  • PDF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 이상으로 진단된 I형 타이로신혈증 (A Case with Tyrosinemia Type I Detected by Neonatal Screening Test)

  • 손영배;이해상;이장훈;황진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3
    • /
    • 2012
  • I형 타이로신혈증은 타이로신의 분해 과정 중 최종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인 fumarylacetoacetate hydrolase(FAH)의 결핍에 의한 대사 이상질환이다. 급성 I형 타이로신혈증은 치명적인 간부전이나 혈액응고장애와 같은 급성 임상증상이 나타난 이후에는 예후가 불량하였으나 최근에는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해졌고 2-(2-nitro-4-trifluoro-methylbenzyol)-1,3 cyclohexanedione nitisinone (NTBC) 약물 치료로 타이로신혈증의 치료 성적이 향상됨에 따라 신생아 대사이사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심각한 출혈이나 간부전과 같은 급성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전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로 조기 진단 및 조기 중재적 치료로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는 I형 타이로신혈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비만 조기치료가 필요하다

  • 성낙용
    • 건강소식
    • /
    • 제10권5호통권90호
    • /
    • pp.28-31
    • /
    • 1986
  • 일반적으로 소아기 영양 상태는 그 사람의 성인 이후의 건강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서 소홀히 다루어서는 안 된다. 최근 각종 인스턴트식품이 개발되면서 소아기의 식생활에 있어 불균형이 되고 있다. 이런 점은 가정과 학교가 협조하여 공동으로 소아의 식생활을 바로 잡아주어야 한다.

  • PDF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rognosis of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 안영재;오성진;송재원;강욱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198-203
    • /
    • 2008
  • 목적: 다발성 조기위암은 전체 조기위암 중 4.5~11.7%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를 알아보고 치료방침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2,281예의 조기위앙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다발성 조기위암은 총 91예(4.0%)였으며 2개의 병변이 81예, 3개가 9예, 4개가 1예였다. 총 102예의 보조병변 중 64예(62.7%)는 크기가 10 mm 이하였으며 83예(81.4%)는 주병변과 같은 부위에 위치하였다. 가장 흔한 조직학적 분류는 분화형으로 52예(57.1%)였다. 점막암은 49예(53.8%)였으며 점막하층암은 42예(46.2%)였고 림프절 전이는 6예(6.6%)에서 발견되었다. 단발성 조기위암과 비교하였 때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발성 조기위암은 단발성 조기위암과 임상병리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생존율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다발성 오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기위암의 치료지침에 준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조기위암의 수술 전후 잔위에 보조병변을 남기지 않기 위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