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경비평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서양조경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과 그 의의 (An Exploration of Postmodernism in Contemporary Western Landscape Architecture)

  • 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7-124
    • /
    • 1993
  • 본 연구는 현대서양조경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밝히고 자 하는 시도이다. 현대조경의 비평적 논의를 위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적 문제, 포스트모더니즘조경의 개념정의, 서구조경계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의 현황과 그 문제점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최근의 서 양조경의 변화는 포스트모던 사회상황과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과, 포스트 모더니즘 조경은 과거의 양식을 재현하는 역사주의적 경향과 아방가르드 성격을 지닌 해체주의적 경향의 두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밝혔다. 그 평 가로서는, 포스트모더니즘조경은 경직된 기능주의에 근거한 모더니즘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지만, 현재까지 포스트모더니 즘조경의 양상은 표피적인데 그치고 있어, 만족할만한 대안적 미학을 제시 하고있지 못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 PDF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나타난 근대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stic Development of Rogert Smithson as Means of Investigating His Conceptualization of a Modern Landscape Aesthetics)

  • 김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2-73
    • /
    • 1996
  • 본 연구는 환경예술운동의 선구자격이며 가장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되는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환경예술운동이 현대 조경설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기초 연구라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스미슨의 작품이 조경에서 다루는 경관의 여러 가지 관점을 다루었으며, la국을 중심으로 조경설계에서 공간의 시각적 표현을 시도한 몇몇 조경설계가의 작품배경 또한 환경예술로 불리어지는 일련의 작품군과 작가의 주장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이 조경분야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미슨의 경관미학의 개념화를 그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스미슨의 작품과 조경설계와의 연관성, 그리고 현대 조경설계에 미친 스미슨의 공헌등을 조명해 보았다. 스미슨의 초기작품들은 개발로 인한 환경 및 경관의 남용 혹은 황폐화에 대한 비평적인 관점을 예술적 형태로 묘사한 반면, 후기 작품들에서는 환경 및 경관에 대한 예술적인 조작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 것이었다. 스미슨의 작품이 현대 조경에 미친 가장 큰 공헌은 무엇보다도 경관 및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으로서 예술을 활용했다는 것일 것이다. 환경예술가들의 주장과 그들의 작품이 현대 조경설계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 PDF

조경가 정영선의 조경설계론 연구 (A Study of Landscape Architect YoungSun Jung's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 안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17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경가 정영선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까지의 작가의 사고, 정영선과 서안 작품, 관련 담론(조경가, 조경작품, 조경담론) 등을 대상으로, 조경설계안, 조경작품, 조경가의 사고 및 그것의 조경이론화 과정, 조경작품과 조경가의 설계사고 사이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인터뷰(정영선 및 관련 인사), 문헌조사, 설계작품 분석 등의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자료를 종합한 결과 정영선 조경을 구분하여 볼 때, 조경을 처음 접하고 이를 수련하며 실무에 뛰어든 시기부터 독립 사무실을 운영하며 설계의 경향과 설계사고의 깊이를 달리하며 보이는 네 가지의 변곡 지점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초기 조경에 대한 학습기를 제외하면 정영선 조경의 범주는 현대 조경, 정원, 전통 조경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범주의 조경 활동을 통해 현대 조경의 수입과 내재화(현대조경론), 독자적 정원론의 성립과 그 실천(정원론), 전통 컴플렉스의 극복과 창의적 계승(전통조경론) 등의 세 가지 성취를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영선 조경은 지역주의적 사고와 작가주의적 사고의 실천이라 요약할 수 있다.

조경비평의 이론과 방법론 모색 (An Exploration of Theory and Methodology in Landscape Architectural Criticism)

  • 배정환;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4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ome concepts, objects, and methodologie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in the theoretical inquiry of Landscape Architectural Criticism(LAC), and to explore the structure of LAC. Theough compar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ure with the latent criticism in it, and introducing som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ism and aesthetics, the concept of LAC is defined operationally. And through grasping changes of the definitions and concepts about landscpae architecture, and classifying the fields of it which are related to critical structure, the objects of LAC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Virgil C. Aldrich and many other aestheticians, general aspects of criticism are divided into $\circled1$analysis, $\circled2$ evaluation, $\circled3$interpretation, and $\circled4$description. Through these aspects and Wayne Attoe's opinion(which seemed to be generalized in architectural), the pertinent methodologies of LAC are explored.

  • PDF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Le Corbusier's Influence o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 김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2-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의 측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르 르코뷔지에의 건축과 조경이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영향과 유산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르 코르뷔지에와 모더니즘 조경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시기별로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에서 나타나는 건축과 조경의 관계를 살펴보고,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당시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동 시대에 활동했던 주요한 유럽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베라, 뤼르사, 칸네일 클라에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유럽의 모더니즘 조경과 르 코르뷔지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주요한 영미권의 모더니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르 코르뷔지에가 당시 유럽과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은 일방적으로 현대 조경의 담론 내로 받아들여졌기보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평가가 공존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칸레일 클라에스, 터너드, 에크보와 같은 조경가들은 자신의 이론과 실천을 확립하면서 르 르코뷔지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지만, 스틸과 로즈의 경우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 있었다. 또한, 처치, 카일리와 같이 르 코르뷔지에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모더니즘 조경의 양식을 구축한 조경가들도 있었다.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을 통해 본 조경 설계 교육의 쟁점과 시사점 (The Implication and Issues of Landscape Design Education throug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최정민;윤수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8-121
    • /
    • 2016
  •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에 나타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통해 설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의 주제와 수상작들의 대상지와 심사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주제는 공모 지침일 뿐만 아니라 조경의 새로운 영역이나 역할 모색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가장 많이 다루어진 대상지 유형은 '산업유산과 재생공간', '녹색기반시설'이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의 대상지가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대상지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수도권 소재 대학에 비해 비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참여와 성과가 매우 저조했다. 넷째, 심사평에 내포된 평가 기준을 븐석하여 '개념(아이디어)의 참신성', '설계과정의 논리성', '대상지의 선정과 분석(해석)의 충실성', '설계매체의 표현과 마스터플랜의 완성도', '주제와의 정합성', '개념(아이디어)과 결과물의 연계성', '실현가능성'이라는 일곱 가지를 평가 기준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평가 기준은 디자인 언어의 정교함을 높이고 설계 교육 방법 모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신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훈련이 필수적이지만, 개념 편향적 교육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지와 관련된 문제를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훈련이 요구된다. 셋째, 설계 논리를 보다 중시하고, 개념이 결과물로 이어지게 하려는 진정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설계 내용과 관련성 없는 '현혹적 이미지' 사용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주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에 대한 연습이 설계 교육의 주요 과정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섯째, '실현 가능성'과 '창의적 사고'는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호혜적 관계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우리의 문제를 스스로 이야기할 수 있는 설계 언어에 대한 고민과 정체성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심사평을 직접 인용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면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보다 직접적이고 생생하게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는 메타크리티시즘(meta criticism)으로서 또 다른 비평을 기다리는 기록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후세의 조경가들이 현재의 조경 이론이나 설계 사고를 고찰할 수 있는 통로이자 사료가 된다는 의미가 있다.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Award-Winners for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2-115
    • /
    • 2022
  • 이 연구는 조경설계의 특수성에 기반한 설계개념의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에 나타난 설계개념을 분석하여 조경설계 개념에 대한 이론적 틀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조경설계의 설계개념 유형을 가치와 비전, 분석과 해석, 형태와 구조, 프로그램과 요소, 과정과 운영의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고, 이 틀을 활용하여 국내외 공원설계공모 18개에 출품된 96개의 작품에 나타난 설계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도시공원의 복합성으로 인해 설계개념은 주개념과 보조개념의 여러 층위로 제시된다. 둘째, 도시공원 설계에 있어 형태적 개념이 가장 많이 활용되며, 그 다음으로 프로그램적 개념, 가치와 해석적 개념이 도입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형태적 개념이 주개념과 보조개념으로 많이 활용되는 이유는 디자인의 핵심 결과물인 공간의 형태가 설계안의 정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프로그램적 개념 유형이 다음으로 많이 활용되는 이유는 불특정 다수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공원이 타 디자인 분야에 비해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기획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대상지 속성이 전적으로 설계개념 유형에 영향을 준다고 보기 어려운데 설계개념은 대상지의 객관적 속성을 설계가가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복합적이며 창의적인 과정의 결과이며, 특히 설계공모의 경우 공모지침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조경설계 과정에서 심도 있게 논의되지 않았던 설계개념을 유형화하여 설계창작 과정과 설계작품 비평에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 추진 동향과 쟁점 (Trends and Issues of Garden City Municipal Projects in Korea)

  • 이명준;오지영;최연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96-112
    • /
    • 2024
  • 최근 전국의 지자체들이 '정원도시'라는 슬로건을 채택하여 녹지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근래의 이러한 흐름은 도시 내 녹지 공간의 양적 확충과 더불어 주민들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정원박람회 등의 행사 운영을 통한 도시 브랜딩 전략이 융합되어 있다. 이 연구는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의 추진 동향을 살펴보면서 추진 과정에 내재된 이론적·실무적 쟁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 문헌을 검토하여 정원도시의 변천사 개관 및 정원도시 용어를 재정의하고, 주요 이론적 관점인 '시민 공동체 형성', '생태 친화적 도시 체계 조성', '도시 정체성 구축'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정원도시의 법제와 정책을 간단히 검토하고 정원도시 프로젝트의 추진 주체로서 지자체의 행정 조직 재편 양상을 분석해 '전담 부서 신설', '기존 부서 명칭 변경', '기존 부서 통폐합'으로 유형화했다. 이어서 앞서 도출한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쟁점을 도출했다. 구체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한 프로젝트의 차별성 확보', '정원 개념의 확장', '그린 인프라와 도시를 통합하는 가든 어바니즘', '주민 참여와 지역 공동체 활성화', '지속 가능한 관리와 지자체·부서 간 협력 체계 구축'이라는 쟁점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원도시 시대에 조경가의 전문성을 정원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녹지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어바니스트로서 제언했다.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를 통해 본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의 설계 전략 (Design Strategies for Urban Parks as Urban Infrastructure -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Design Competition for the Incheon Cheongna District, Korea -)

  • 강연주;김정화;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2-5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토지공사가 주최한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2008)의 분석을 통해 도시 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 설계의 성과와 그 수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최근 도시공원 조경설계공모에 대한 이론적 비평이자 도시공원의 미래 위상을 구상하는 작업의 하나라는 의의를 지닌다. 기존에 연구된 설계공모 분석 방법을 고찰하여 인천청라지구 설계공모에 적합한 다층적 분석 방법을 마련하였고,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에 대한 개념 연구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공원 설계를 위한 9가지 주요어와 분석 항목의 틀을 작성하였다. 또한, 청라지구 설계공모의 지침을 분석하여 앞의 분석틀을 네트워킹, 부지, 생태, 스케일, 인프라스트럭쳐의 5가지의 주요어로 다시 정리한 후, 이를 청라지구 설계공모 출품작의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청라지구 설계공모 출품작들에 대하여 설계 전략과 개념을 살펴보는 방법과 분석틀을 통하여 살펴보는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종합 분석한 결과,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을 설계하는 태도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개발지구라는 대상지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상호 연관된 네트워킹과 스케일의 문제, 도시 이미지의 구축을 위한 장소성과 상징성의 창출, 그리고 생태적 도시 환경의 조성과 인프라스트럭처로서의 도시공원의 역할의 강조 등이 각 출품작들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출품작마다 다양한 해석을 통해 제안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품에서 이러한 전략들은 단순한 형태의 구현이나 개념적인 해석에 머무른 경향이 있었으며,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전략으로 발전되지 못한 아쉬움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