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4자물류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f inventory policy selection in fourth party logistics environment (제 4자 물류환경에서 물류센터의 재고정책 선택에 관한 연구)

  • 이수권;김기범;정봉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08-716
    • /
    • 2003
  • 공급사슬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객의 수요가 다양해지면서 공급사슬에서의 물류기능은 점점 중요시 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생산자는 전체 물류의 $50\%$ 이상을 제 3자 물류 업체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그러나 최근 대두되고 있는 제 4자 물류환경에서는 물류센터가 물류컨설팅기능까지 수행함으로써 더 효율적인 물류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공급사슬 내의 물류센터는 단순히 제품의 배송 및 보관, 조달 업무를 수행하는 단계로써의 역할이 아닌 독립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 4자 물류환경에서의 물류센터는 제품의 다양한 특성 및 수요의 패턴에 따라 효율적인 재고정책 선택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고정책을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4자 물류 환경에서의 물류센터 시스템 구조와 다양한 제품특성 및 물류환경을 고려한 재고정책 선택모델을 제시한다. 수치예제를 통해 제안한 모델의 타당성 및 제 4자 물류시스템의 기대효과를 제시한다.

  • PDF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Fourth Party Logistics Industry and Korean Fourth Party Logistics Companies' market entry strategy (중국 제4자 물류산업의 현황과 우리나라 제4자 물류기업의 중국 물류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 Oh, Moon-Kap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5 no.4
    • /
    • pp.313-339
    • /
    • 2013
  • Logistics industry was changed after China join into the WTO.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cost of logistics is very high in China. Besid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demand basis, servi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f the third-party logistics. The forth-party logistics was appeared in logistics market in this context. The forth-party logistics was just become to develop in China so there are many problems recent years. Chinese government propose some solu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party logistics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policy, strengthening of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infrastructure, training logistics expertise. This research pointed out the obstacles in the development of the forth-party logistics in China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ome representative companies such as ANDE Logistics Company and Philips Logistics Compan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the forth-party logistics in China by analyzing the problems with Chinese government and logistics companies, and finally bring up some solutions with these problems.

  • PDF

Logistics Strategy of Promotion for the B2B EC (기업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물류혁신전략)

  • Lee, Kwang-Beom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3 no.1
    • /
    • pp.197-223
    • /
    • 2001
  • 최근 B2B 전자상거래 확산에 따른 물류문제를 해결하고 오프라인 물류와의 차별화롤 시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물류측면의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먼저 물류산업 자체의 e-business화를 추진함으로 기존 물류체계에서의 고비용 문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고 운송정보의 실시간 제공을 통한 발주자, 화주자 간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 형성과 해외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물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음으로 물류업종의 지나친 세분화, 기존 물류업체의 영세성과 혁신마인드의 부족, 그에 따른 제조 유통업체의 경쟁적 자가물류 확충의 악순환으로 제3자 물류시장 성장기반이 제한되어 오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주요 운송업체가 영세한 화주나 창고관리 위탁업무까지 대행하여 주는 지금까지의 제3자 물류 체제에서 대기업이 물류시장에 새롭게 진출하면서 사이버 물류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존 주요 운송업계와 VAN 사업자가 장악하고 있는 물류정보 서비스를 주도하는 제4자 물류체제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SCM과 전자상거래 환경 하에서는 공급 망 내의 물류를 최적화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기능적 아웃소싱의 단계를 거쳐 물류기능의 통합과 운영의 자율권이 증대, 전체적인 공급연쇄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함께 기업의 경영자원, 능력, 기술을 관리하고 결합하는 공급연쇄 통합자로서 제4자 물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4자 물류체제가 본격 형성될 경우 물류정보와 인프라가 복잡하게 업혀있는 기존 물류산업이 재편되고, 특화된 물류솔루션을 바탕으로 한 산업별 물류체제 구축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견되며, 일반기업 입장에서 물류부문의 아웃소싱이 촉진되어 물류산업기반이 확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Web based Logistic Information System(KT-Logis) (웹 기반 통합물류정보시스템(KT-Logis) 개발에 관한 연구)

  • 오상호;김태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b
    • /
    • pp.125-141
    • /
    • 2001
  • In this paper, the current problems of logistics industry in Korea and their possible solutions were discussed. With Korea Telecoms KT-Logis, the supplier and demander of logistics service would not have to invest large sum of money into their computer system. All they need is just a computer with internet connected. What KT-Logis influence on the logistics industry are the following; 1. Many logistics service supplier and demander can do the business on the web with one computer system. 2. This web based computer system does not only work on the office but also apply on the field worker such as delivery personnel or even the forwarder with mobile phone. 3. KT-Logis is an integrated system which cover the broad arrange of logistics management from truck management to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4. Finally, KT-Logis is web based systems which suits for current e-business and mobile environment. In future, more studies should be done to develop more progressive integrated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with 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and supply chain management(SCM).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of Domain Ontology in Third-party Logistics (제3자 물류 환경에서 도메인 온톨로지 구축)

  • Gao, Li;Koh, Jin-Gwang;Bae, Si-Yeong;Lee, Hyun-Chang;Choi, Hyun-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4
    • /
    • pp.235-241
    • /
    • 2011
  • A large number of industry and trade circulation enterprises integrate logistics resource. They give links of product transport to some professional logistics enterprises in order to reduce costs. We call these professional logistics enterprises as the Third-party Logistics. As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and internet, the suppliers, buyers and the Third-party Enterprises connect each other with internet. And different company use different management software, so heterogeneous data become a big problem of the information system for Third-party Enterprises. We built the logistics ontology with prot$\'{e}$g$\'{e}$, and translate it in OWL. We also built the rules for Logistics Ontology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OWL. Then we design the intelligent system for 3PL Enterprises Distribution Center based on Logistics Ontology and Logistics Rules. At final, we give an example to show the workflow visually.

A Study on the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Enforcement of Inland Container Depot at Busan area (부산지역 ICD의 TPL(Third Party Logistics) 서비스의 기능 강화에 관한 연구)

  • Choi, Young-Bong;Lee, Chun-Su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3
    • /
    • pp.165-1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enforcement of inland container depot at Pusan area.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inland container depot related to location selecting factor researches analyzed and korean TPL market reviewed. Second, the TPL service function reinforcement method and investments are mentioned. In detail the 9 factors are as follows: competitive high position and improvements of harbor back complex, ICD goods enterprise investment strategies, the harbor back which is inexpensive only the rent, taxes benefit and incentive, site security and base facility expansion, the goods service provision which is flexible, connection plan construction of goods enterprise, the incentive strategic establishment which is discriminated, the marketing activity which is long-term. and lastly the ICD and TPL Policy are needed that government and logistic enterprise's cooperation gains competitive advantage.

  • PDF

e-SCM에서 AHP를 이용한 제3자 물류업체 선정 기준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Jae-Jeon;Cho, Gun;Yoo, Il;Park, Yi-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69-392
    • /
    • 2003
  • 최근 물류환경의 변화로 제품의 신속한 수송과 고객 지향적 물류서비스 제공의 극대화를 꾀하려는 기업들은 제3자 물류의 활용에 커다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기업이 제3자 물류업체 활용을 통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서비스의 향상, 물류관련 비용의 절감 및 물류활동에 대한 운영효율의 향상을 수행할 수 있는 물류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3자 물류업체 선정과 관련한 주요 선행연구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제3자 물류업체 선정에 대한 평가기준들을 도출하였다. 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비용, 물류서비스, 업체평가, 정보시스템의 4가지 항목으로 나누었고, 이를 계층화하여 AHP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위기준의 상대적 중요도는 물류서비스가 0.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용(0.232), 정보시스템(0.224), 업체평가(0.120) 순으로 나타났다. 비용의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기준의 중요도는 경제성이 0.710, 안정성이 0.290으로 나타났다. 물류서비스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기준의 중요도는 신뢰성이 0.780, 유연성이 0.220로 나타났다. 업체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기준의 중요도는 기업역량이 0.507, 관계지향성이 0.493로 나타났다. 정보시스템 항목에 포함되어있는 하위기준의 중요도는 정보인프라가 0.471, 정보활용도는 0.529로 나타났다. 분석에 있어 추가적으로 학계와 실무계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어 그 중요도를 산출하였는데, 학계 전문가 집단과 실무계 전문가 집단 모두 상위기준에 있어 물류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목할만한 점은 학계 전문가 집단의 경우 정보시스템이 비용보다 더 높게 나타난 반면에, 실무계 전문가 집단은 비용이 정보시스템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 PDF

물류기업의 IT 공동화 도입 및 활용방안

  • Kim, J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343-353
    • /
    • 2012
  • 오늘날 경영환경은 운송수단의 발달과 정보통신 혁명 등으로 기업들의 급격한 글로벌화가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한 환경속에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시간에 정확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많은 물류기업들이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물류기업은 물류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화주의 물량을 공동으로 보관 및 운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물류공동화를 수행하거나 관련 물류기업간의 전문화를 통한 다양한 협업 모델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IT부문의 관점에서 보면 일부 국제물류 등의 수출입 EDI 시스템을 공동으로 활용하거나 운송시스템을 대기업의 서비스사업자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공유하는 것을 제외하며 IT시스템 관점에서의 협업 또는 IT공동화 체계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오히려 물류기업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물류기업간의 상호 정보유출 등을 우려하여 매우 폐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대적으로 중소물류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기업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거의 IT부문에 대한 투자나 활용이 거의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고 있다. IT시스템을 공동으로 구축 및 활용함으로써 상호간의 비용 절감하고 IT시스템의 전략적 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물류기업에서 IT공동화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금융권의 IT공동화 사례 및 국내외 물류관련 사례를 살펴보고, 물류IT공동화의 유사개념인 제4자 물류와 소프트웨어를 필요한 만큼을 필요한 시점에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인 ASP, SaaS,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비교함으로써 물류IT공동화의 도입 방안과 활용 방안을 제시 하였다.

  • PDF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방향

  • Lee, Seong-Gwon
    • LOGISTICS
    • /
    • s.16
    • /
    • pp.37-39
    • /
    • 2006
  • 지난 3월 25일 제5회 한국로지스틱스 대상 수상식에서 건설교통부 물류혁신본부는 국가 물류혁신에 기여한 공을 인정 받아 대상을 수상했다. 건설교통부 물류혁신본부(본부장 이성권)는 지난해 9월 발족 이후 건교부가 주로 담당해온 물류인프라의 확충 등 하드웨어적인 시책뿐 아니라, 물류산업 육성, 물류인력 양성 등 소프트웨어적인 시책을 집중적으로 추진, 국제 · 국내 물류, 민 · 관 · 학 분야를 포괄하는 물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종합적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물류혁신본부는 물류기업 경쟁력 향상과 제3자 물류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종합물류기업인증제를 도입,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으며 현재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는 물류정책을 통합조정하기 위하여 물류정책기본법, 물류시설법 제정을 추진 중에 있다. 물류혁신본부의 수장인 이성권 물류혁신본부장은 지난 4월 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조찬간담회에 연사로 참석하여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에 그 내용을 요약 게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