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4기

Search Result 4,1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國際地理學聯合과 國際地理學會議

  • Lee, C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
    • /
    • pp.55-58
    • /
    • 1969
  •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제1기 국제지리학회의 2. 제2기 국제지리학회의 3. I.G.U.와 한국 4. 제21회 국제지리학회의

  • PDF

한국 남해 대륙붕 후 제4기 퇴적층의 순차 층서 모델

  • 유동근;이호영;남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7-7
    • /
    • 2004
  • 한국 남동해역 대륙붕에서 취득된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와 퇴적물 시료의 분석에 의하면 후 제4기 퇴적층은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해수면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저해수면계열, 해침계열, 고해수면계열로 구성된다. 시퀀스 경계면 위의 저해수면계열(층서단위 I)은 마지막 빙하기 동안 퇴적된 니질사 혹은 사질니 퇴적물로 구성되며 대륙붕단과 해곡의 외해역에 분포한다. 해침면과 최대 해침면 사이에 위치하는 해침계열(층서단위 II)은 지난 15,000-6,000년 사이에 퇴적되었으며 주로 사질퇴적물로 구성된다. 해침계열은 연구해역 전반에 걸쳐 넓게 분포하지만 저해수면계열과 고해수면계열에 비해 박층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해침계열은 분포특성에 따라 3개의 소퇴적단위로 세분된다. 즉, 대륙붕단의 초기해침계열(Unit IIa), 중간대륙붕의 중기해침계열(Unit IIb), 내대륙붕의 후기해침계열(Unit IIc)등으로 이들은 후배열층서의 특성을 가진다. 최대해침면 상부에 놓이는 고해수면계열(층서단위 III)은 해수면이 현 수준에 도달한 지난 약 6,000년 이후에 퇴적된 현생 니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내대륙붕의 연안을 따라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 PDF

Studies on Nuclear Transplantation in Mouse Embryos III. Production of Cloned Mice from 2nd Generation Nuclear Transplant Embryos (생쥐 수정란의 핵이식에 관한 연구 III. 제2세대 핵이식에 의한 복제생쥐의 생산)

  • 박충생;최상용;이효종;박희성;박성재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8 no.1
    • /
    • pp.9-12
    • /
    • 1993
  • 포유동물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핵의 분화와 전능성을 규명하고 제2세대 핵이시 기법을 개발하고자 생쥐를 모델로 하여 공핵란은 2-세포기에 있는 수정란의 핵을 사용하였으며, 수핵란은 zygote 및 2-세포기에 있는 수정란을 탈핵하여 제2세대 핵이식을 실시하여 electrofusion system으로 핵융합을 실시하고 cloned embryo를 작출하여 이를 24-48시간동안 체외에서 배양을 시킨 다음 위임신이 유기된 수란생쥐의 난관에 체내 이식을 실시하여 개체로의 발생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핵이식후의 융합율은 zygote 및 2-세포기의 수정란을 수핵란으로 사용하였을 때 각각 84.7 및 84.0%으로서 차이가 없었으며, 제1세대의 86.8 마ㅊ 85.4%로서 세대간에 차이가 없었다. 4-세포기 이상으로 발달한 제2세대 핵이식 수정란의 체외배양율은 수핵란을 zygote 및 2-세포기 수정란을 사용하였을때 각각 36.2 및 43.7%로서 제1세대 핵이식의 44.3 및 50.4% 보다는 다소 낮았다. 제2세대 핵이식 수정라늘 위임신이 유기된 수란생쥐의 난관에 이식을 실시하여 얻은 산자생산율은 수핵란을 zygote 및 2-세포기 수정란을 사용하였을때 각각 23.0 및 25.0%로서 모두 25마리의 산자를 생산하였다.

  • PDF

(Technical Note) Introduction of PMIP4 Experimental Design for Simulating Quaternary Climates ((기술노트) PMIP4의 제4기 기후 재현 실험 소개)

  • Sang-Yoon Jun;Seong-Joong Kim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33 no.1_2
    • /
    • pp.49-58
    • /
    • 2021
  • In the Paleoclimate Modeling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4 (PMIP4), various experiments for quaternary climatic change are being carried out along with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CMIP6). With the CMIP6 preindustrial climate experiment (piControl), the equilibrium climate simulations of 6 ka Holocene experiment (midHolocene), 21 ka Last Glacial Maximum experiment (lgm), and 127 ka Last Interglacial experiment (lig127k) experiment, and transient climate simulations of 850-1849 Common Era Last Millennium experiment (past1000), 21-9 ka last deglaciation, and 140-127 ka penultimate deglaciation experiment have been carried out under PMIP4 protocols by several modeling groups. In this technical note, important physical parameters and boundary conditions of these Tier 1 experiments and a list of additional Tier 2 and 3 experiments are summa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