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4기

Search Result 4,06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경주시 마동 탑골에 발달하는 제4기 단층(탑골단층)의 구조적 특성

  • Ryoo, Chung-Ryul;Son, Moon;Lee, Yung-Hee;Choi, Sung-Ja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183-191
    • /
    • 2002
  • 울산단층대 동변인 경북 경주시 마동 탑골 부근에 발달하는 제4기단층을 기재한다. 이 단층(이후 탑골단층)은 제3기초의 화강암과 제4기의 하성 사력층의 경계부 부근에서 여러 조의 단층들이 단층대를 이루며, 북북서 내지 남-북의 주향에 동측으로 $20^{circ}{\;}~45^{\circ}$ 의 경사를 보인다. 이 단층대는 서측으로부터 제4기 사력층 내의 역단층 3조와 제4기층을 화강암과 이를 부정합으로 덮는 제4기층이 올라탄 역단층 1조로 구별되며, 복합적인 역단층성 단층대의 양상을 보인다. 단층조선은 남동 방향($125^{\circ}$)으로 $20^{\circ}$ 침강한다. 이는 남동-북서 압축에 기인한 역단층성운동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단층대는 불국사 일원에서 이미 알려진, 보다 서편에 발달하는 북서-남동 방향의 제4기단층선과는 다른 또 하나의 제4기단층선으로 확인된다.

  • PDF

제4기 읍천 1단층의 특성

  • 최성자;최위찬;정창식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5-138
    • /
    • 2003
  • 대부분의 제4기단층은 제3기 단층이 재활동한 것들로써, 신기 조구조적 단층 여부를 규명하려면, 제4기에 형성된 단구(段丘, Terrace)의 변위가 수반 증명되어야한다. 대표적인 단층은 읍천단층과 수렴단층을 들 수 있다. 특히 읍천단층은 기반암단층으로 언급될 경우에는 읍천 단층이라 하고, 제4기에 재활동한 부분을 거론할 경우에는 제4기 읍천단층이라고 구분하여 혼란을 피하도록 하였다. (중략)

  • PDF

A Research on Pleistocene Stratigraphy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 이동영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2 no.1
    • /
    • pp.77-88
    • /
    • 1998
  • 한반도의 제4기 지층을 암층서 및 단구층서를 기준으로 전기, 증기 및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Ear-ly Middle late Pleistocene Deposits)으로구분할 수 있다. 제 3기와 제4기 의 경계는 고지자기층서 해석에 의하여 한반도에서는 Gauss와 Matuyama chron 경계인 약 2.6Ma를 기준으로 설정할수 있다. 전기 플라이스토신 지층(Early Pleistocene Deposits)은 지형고도상 조구조 운동이 배제된 지역에서는 80m 이하에서의 계곡 사이에서 나타난다. 증 기 플라이스토신 지층(Middle Pleistocene Deposits)은 약0.8Ma부터 약 125ka까지이다. 중기 플라이스토신은 제4기 초깁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던 주요 계곡들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넓 고 깊어지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하천과 해안에는 일련의 단구지형을 잘발달시키지 시작했 고 단구이 형성은 현재보다 해수면이 더 높았던 마지막간빙기까지 계속되었다.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late Pleistocene Deposits)은 약 125Ka부터 10Ka까지이며 마지막 간빙기(Last Inter-glacial)와 마지막빙하기(Last Glacial)가 포함된다, 마지막간빙기 동안에는 제 2 하안 및 제 2 해안단구역층이 잘 발달하여 있다 마지막 빙하기 동안에는 해수면의 하강이 극심했 으며 특히 산사면에서 지형경사면을 따라 하부이동된 사면붕적층이 한반도의 전역에 널리 발달했던 시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