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3종

검색결과 2,525건 처리시간 0.038초

국내 자생 생약으로부터 분리한 항종양 물질에 관한 연구

  • 염곤;구교임;이영기;김미용;홍범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34-234
    • /
    • 1994
  • 최근 새롭게 조명된 생약에 관한 여러 연구를 통해, 기존의 항암제 보다는 더 효과적이고 인체에는 부작용이 적은 항암제를 개발해내기 위해 국내 자생 생약중 총 103 종류( 95 손 98종 )을 채집하였다. 이들 생약을 암세포주( L1210, P333 D$_1$)와 장상세포주(Vero)을 대상으로 MTT colorimetric assay를 실시하여 항종양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 세포주에 대한 $IC_{50}$/ 값으로 세포독성능을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정상세포주에는 적은 세포 독성능을 나타내면서, 암세포주에는 높은 세포 독성능을 나타내는 생약제 6종( BuOH 추출물 2종, MeOH) 추출물 4종 )을 선정하였다. 이중 항암활성능이 가장 높은 미역줄나무(Tripteryrium regelii)를 선택하여 유기용매별로 추출, 그 각각에 대한 세포 독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난 2분획을 선택하여 기존에 시판중인 Adriamycin과의 병용 투여시의 세포 독성능의 상승효과를 확인 하였다. 즉 Adriamycin과의 단독 투여보다 복합 투여시에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능이 높아졌고, 정상세포주에 대한 독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in vitro 에서는 세포 독성능이 다소 적더라도 in vivo에서 면역학적 활성이 기대되는 생약제 3종을 선정하여 항암성분의 분리 및 정제를 하여 항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항공기 소음기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port Noise on the Household Property Values)

  • 이성태;이광석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0권4호
    • /
    • pp.483-494
    • /
    • 2001
  • 본 연구는 항공기 소음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헤도닉가격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제공항이 인천으로 이전하기 전 서울지방항공청장이 소음피해지역(제1종, 제2종 및 제3종)으로 고시한 김포공항 주변의 아파트 가격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소음측정단위로는 세계민간항공기구가 권장하는 연속적 동등소음감지단위(Weight Equivalent Continuous Perceived Noise Level: WECPNL)를 사용하였다. 2000년도 여름에 매매된 총 220가구를 대상으로 아파트의 실질거래가격과 소음측정단위, 가구속성 및 지역관련 변수를 사용하여 헤도닉 방정식을 추정한 결과 소음변수를 비롯 아파트 평수 및 방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에 대한 계수의 추정치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지역에 있어 항공기 소음의 한계내포가격은 평균 마이너스 340여 만 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추정치는 다시 말해 소음감지단위인 WECPNL이 한 단위 증가하게 되면 아파트의 평균매매 가격의 3.19%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 지역이 소음피해지역으로 고시되어 있는 상황을 매우 잘 나타내고 있었다.

  • PDF

다채널 맛 평가시스템에 의한 시판음료의 판별분석 (Discriminant Analysis of Marketed Beverages Using Multi-channel Taste Evaluation System)

  • 박경림;배영민;박인선;조용진;김남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00-306
    • /
    • 2004
  • 양이온 및 음이온 반응성의 고분자막 8종을 casting 법에 의하여 제조한 후 이온전극에 장착하여 다채널 맛 평가시스템의 비선택성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였다. 맛 센서 어레이에 의한 전기화학계측은 전위법에 의하여 행하였으며, 이 때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맛 센서로 측정한 전위간을 막 전위 증폭기를 거쳐 증폭한 후 다채널 A/D converter를 통하여 PC에 접속하였다. 식혜, 수정과, 감귤쥬스 등 6종 24점의 시판음료를 다채널 맛 평가시스템으로 분석한 후 각 센서의 계측신호에 대한 정규화를 행하고 주성분 분석을 행하였을 때 5종 음료군의 조합에서는 제1 주성분 및 제2 주성분의 합이 전체 데이터 변이의 $70.73{\sim}85.3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종 음료군의 경우에는 제1 주성분 및 제2 주성분의 합과 제1 주성분, 제2 주성분 및 제3 주성분의 합이 전체데이터 변이의 81.46%와 89.56%를 각각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공간상에 6종 음료군에 대한 계측결과를 맵핑하였을 때 이들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5종 음료군의 조합에서는 2가지 경우에 있어 2차원 평면상에서 구분되었다.

시판 오이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iji, Korean Cucumber Pickle)

  • 박소현;박완수;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85-392
    • /
    • 2004
  • 시판 오이지 9종에 대하여 pH, 산도, 염도, 색도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파쇄성, 경도, 씹힘성을 포함한 조직감 특성, 총균수, 젖산균수, 효모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판오이지 6종의 염도는 3.42-4.47%이었고 재래 오이지는 3.92-7.23%로 시판오이지에 비하여 높았다. 오이지의 pH 범위는 3.43-3.85, 5.10이었으며, 산도는 0.39-0.75%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명도는 시판오이지(37.86-41.48)가 재래오이지 (44.86-50.79)에 비하여 명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판 오이지의 b값은 13.29-15.94이었고 재래오이지는 16.08-17.90으로 재래오이지의 황색도 값이 시판오이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 오이지의 a값은-1.47-3.71의 범위이었다. 시판오이지중에서 산도가 높은 오이지는 b값이 높았고 산도가 낮은 오이지는 b값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오이지 6종의 총균수($1{\times}10^{4}-2{\times}10^{7}cfu/mL$)는 재래오이지 3종($1{\times}10^{7}-1.3{\times}10^{9}cfu/mL$)에 비하여 적었다. 젖산균수는 시판오이지 6종$(1{\times}10^{4}-6{\times}10^{6}cfu/mL)$는 재래오이지 3종($4{\times}10^{6}-4.7{\times}10^{8}cfu/mL$)에 비하여 적었다. 효모수는 시판오이지 6종($1{\times}10^{4}-6{\times}10^{6}cfu/mL$ 재래오이지 3종($1.3{\times}10^{6}-3{\times}10^{8}cfu/mL$)에 비하여 적었다. 기계적 조직감 특성 중 파쇄성은 시판오이지 6종은 2,103-2,836g이었고, 재래오이지3종은 2,255-3,010g이었다. 경도는 시판오이지 6종은 475-688g이었고, 재래오이지 3종은 409-890g으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인 수용도를 평가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제품은 C1과 C2로 7.4-8.0점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치와 이화학적 특성치를 주성분 분석한 결과 제1주성분은 79.94%, 제2주성분은 19.94% 설명 가능하였다. 시판오이지의 특성치는 제1주성분이 79.94% 설명 가능하였으며, 제2주성분은 19.94% 설명 가능하였다 C1, C2, C3 및 C7은 전반적인 수용도, 전반적인 맛, 감칠맛, 외관, 경도, b value가 제2주성분에 대하여 음의 방향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또한, 기계적 특성치 중에서 경도와 씹힘성은 염도와 양의 상관을, 관능적 특성치중에서 전반적인 수용도는 감칠맛과 전반적인 맛에 대한 수용도와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농약스크리닝을 위한 미량 수화제의 간편한 제제방법 (A new formulation method of small amount wettable powders for pesticide screening)

  • 유주현;이병회;조광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15-318
    • /
    • 1990
  • 분쇄되지 않은 미량의 원제를 수화제로 제제하는데는 미분상 다공성 증량제의 물리성을 이용한 흡착법이 유호하다. 밀리그램 단위의 농약 원제를 휘발성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흡착되어 있는 미분상의 합성실리카에 흡수시키고 건조하여 11종의 10% 수화제를 제제하였다. 원료 상태의 합성실리카와 시료수화제의 입도분포를 측정하여 평균 입경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들 수화제중 pencycuron과 vinclozolin을 제외한 9종의 시료는 2시간후에도 80%이상의 현수율을 나타냈다. 제제중 유효성분량을 $30{\sim}50%$로 증가시켜도 4종의 시료중 3종에서 현수율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이들 수화제 시료는 현수성과 거의 무관하게 생리활성이 기존제품과 대등하게 나타나서 수화제로서 그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 PDF

감자 흑각병원균 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의 화학적 방제 (Chemical control of potato Blackleg disease caused by 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 in Korea)

  • 유용만;;배후남;김성문;임춘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17
    • /
    • 2003
  • 감자 생산에 치명적인 흑각병을 유발하는 흑각병원균 (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 을 방제할 수 있는 화학적 방제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7 종의 항생제와 oxolinic acid, 그리고 4 종의 구리제를 대상으로 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저항성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Streptomycin, streptomycin sulfate, oxolinic acid는 0.02 mM 처리 24 시간 후, 그리고 구리제인 copper hydroxide, copper oxide, copper sulfate 는 3 mM 처리 24 시간 후 완전히 억제되었다. 약제들에 대한 병원균의 저항성을 조사하고자 최소 억제농도의 1.3 배를 처리하고 72 시간 후에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항생제 및 oxolinic acid 처리구에서는 저항성균이 관찰되었으나, 구리제 처리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저농도 처리로 병원균을 방제할 수 있는 2 종의 항생제 및 oxolinic acid 와 저항성균 유발 가능성이 낮은 구리제 3 종을 혼합처리였을 경우, streptomycin + copper oxide(0.016 + 1.2 mM, 9.3 + 171.6 ppm), streptomycin + copper hydroxide(0.016 + 1.5 mM, 9.3 + 146.3 ppm), streptomycin sulfate+copper oxide(0.005 + 1.2 mM, 7.0 + 171.6 ppm), streptomycin sulfate+copper hydroxide(0.005 + 1.5 mM, 7.0+146.3 ppm) 처리 24 시간 후 병원균의 생장은 완전 억제되었고, 72 시간 후 저항성균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oxolinic acid+구리제 혼합처리의 경우와 2 종의 항생제 및 oxolinic acid + copper sulfate 혼합처리의 경우 공히 균생장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효과적인 감자흑각병의 방제를 위하여 약제의 단일 사용보다는 혼합 사용하는 경우 더 높은 방제효과와 낮은 저항성균 유발효과가 있다는 것 을 보여주고 있다.

ZDDP의 마모방지특성에 미치는 타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Other Additives on Wear-Preventing Property of ZDDP)

  • Moon, Woo-Sik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7권2호
    • /
    • pp.28-35
    • /
    • 1991
  • 3원통/링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여 윤활유 공급하에서 미끄럼 마모시험을 수행하였다. 엔진유에 첨가되는 대표적 첨가제인 ZDDP, 청정제, 분산제의 첨가제 3종과 모델 산호물로서 유성제인 스테아린산을 선택하여, 그 배합유의 마모방지특성을 조사하였다. 청정제 및 분산제 각각의 첨가에 의해 마모방지특성은 향상되었으나, 청정제 및 분산제를 동시에 첨가할 경우 마모방지성능의 향상효과는 없어졌다. 또한, 모델산화물인 스테아린산의 첨가로 인하여 ZDDP의 마모방지작용은 나빠지나, 청정분산제가 그 악영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ha)에 대한 몇가지 농약의 선택독성 (Toxicity of Some Pesticides to Twospotted Spider Mite (Acari: Tetranychidae) and its Predator Amblyseius womersleyi (Acari; Phytoseiidae))

  • C. G. Park;J. K. Yoo;J. O.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2-237
    • /
    • 1996
  • 사과원에서 사용되는 살비제 5종, 살충제 4종, 살균제 6종올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상대독성을 엽침지법으로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Dicofol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며, 이들의 난에 대해서도 각각 46%와 40%의 致死效果가 있었다. Abamectin 용액에 침지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사망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점박이응애의 암컷성충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Tetradifon, Clofentezine, Hexythiazox등 3종의 살란성 살비제는 점박이 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90%이상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Teflubenzuron, Triflumuron, Diflubenzuron, lmidacloprid 등 4종의 살충제와 Propineb, Fenarimol, Polyoxin-B.captan 등 3종의 살균제는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에 대해 살비효과가 없었으며, Chlorothalonil, Nuarimol . Mancozeb, Folpet 등 3종의 살균제도 23% 이하의 낮은 살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긴털이리응애 난이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는 4종의 살충제와 4종의 살비제 및 6종의 살균제는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hikuma 강 상-중류 수역 수서곤충의 분포 양상 (Central Japan) (Distribution Pattern of Aquatic Insects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Chikuma River in Central Japan)

  • Kimura, Goro;Fukunaga, Yachiyo;Kimio, Hirabayashi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394-399
    • /
    • 2004
  • 일본에서 가장 긴 Chikuma강의 세 지점에서 2002년 여름 동안 수서곤충의 종조성과 밀도를 light trap에 의해 조사하였다. 하루 동안 총 3,278 성체가 채집되었으며, 그 중 가장 주요한 분류군은 파리목(57.5%)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날도래목(35.4%), 하루살이목(7.1%)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수서곤충의 밀도와 생체량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던 반면, 종수와 다양도지수(H')는 감소하였다. 제1, 제3조사 지점에서 종 수는 각각 36종(H'= 4.30), 31종(H'= 2.81)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1 지점에서 제3 지점으로 갈수록 기능적 섭식군(functional feeding group)의 상대밀도는 제1 지점에서 'collectors'가 증가하고 제3 지점에서 'shredders'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