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2정유공장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수질첨가 개질공정 윤활기유의 제품및 특성

  • 이두원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권2호
    • /
    • pp.59-64
    • /
    • 1986
  • 쌍용정유는 윤활기유 생산을 위한 최신공정인 Gulf 특허의 수질첨가 개질공정을 채택, 일본, 카나다에 이에 세계에서 3번째로 건설된 공장으로서 국내 수요전량을 수입에만 의존해 오던 재래식 공정인 용제유출 방식의 윤활기유를 대신하여, 최고급 품질의 윤활기유를 국내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고 지난 5년여 동안 국내수요에 적극 공급해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볼때 쌍용정유에서 생산.공급하고 있는 윤활기유는 국내 각 정유사등 윤활유배합(제조)회사에 공급되어 용제에 따라 첨가제를 배합하는등, 소포장 단계를 거쳐 일반수요자에게 판매되는데, 완제품 윤활유의 사용은 대략 65% 정도가 자동차에 쓰여지고 있으며 공장등 산업시설에 23%, 선박, 기타 용도로 12%정도의 사용분포를 보이고 있다. 산화, 열안정성은 기유의 생명 불순물제거 완벽, 색상 뛰어나 수질첨가 개질공정은 재래식 공정인 용제추출 방식과 어떤 차이점을 갖고, 제품의 특성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2가지 방식에 의한 제품의 장단점을 비교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세계 에너지 통계(2002)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7호통권237호
    • /
    • pp.88-98
    • /
    • 2003
  • ●우리나라의 석유소비는 전년대비 1.8%P 증가한 2,288천b/d로, 세계 6위를 기록함.-1994년 세계 8위에서 1995년 6위로 오른 이후, 수요정체에도 불구 8년 연속 세계 6위를 유지.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러시아연방, 한국 순임. ●세계 석유소비순위를 보면 지난 7년간 미국과 일본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여 왔으나 지난해 중국이 드디어 일본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함.-일본은 석유소비가 3년연속 감소한 반면 중국은 1997년 러시아연방을 제치고 3위로 올라선뒤 매년 석유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한데에 기인함. ●우리나라의 정제능력은 1996년 세계 7위에서 1997년 각각 이태리와 독일을 제치고 5위로 올라선뒤 6년간 5위를 유지하고 있음.-정제능력은 미국, 중국, 러시아연방, 일본, 한국순임. ●국별 정제능력 순위를 보면 과거 미국과 러시아연방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여 왔으나, 중국이 석유소비 증가로 인해 정유공장 신ㆍ증설을 추진하여 러시아연방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함.

  • PDF

기계기술자가 방계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능에 대한 조사분기에 관한 연구

  • 이종순
    • 기계저널
    • /
    • 제16권2호
    • /
    • pp.53-59
    • /
    • 1976
  • 기계공악은 Service Engineering 이라는 일면을 지니고 있을 뿐만아니라 직접 기계류를 생산하지 않은 업체중에서도 기업상으로 또한 학문상으로는 본래 기계공업의 영역에 속하는 산업이면서 산 업적, 학문적 전문화에의하여 분화된 공업도 많으므로 기계기술자의 역할도 광범위할 수 밖에 없 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 그동안의 사정을 살펴 볼때 각종 생필품의 수요급증과 정부의 수출산업 우선정책등으로 완제품생산규모의 plant도입에의한 제품생산공업이 위주였으므로 제산업이 기반 조건인 기계공업성장의 과정이 경시되어 왔으며 따라서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기계기술자 가 일반적인 기계의 설계와 제작을 다루는 기회보다도 특정기계장치의 운전내지는 시설의 영선을 담당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그 외에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한 업무를 취급하여 왔다. 이러한 사 정을 감안하여 본연구는 기계기술자가 섬유, 제지, 비료, 정유등 화학계 공장을 위시하여 채광, 금속, 전자, 방직등 물리계공장 및 발전소 토건업등 기타 소위 비기계공업계열의 기업에서 실제에 어떠한 내용의 작업 또는 직무에 임하고 있는가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기계기술자의 인력수급계 획이나 대학교과과정상의 참고자료에 공할 것을 일차적으로 시도한 것이다.

  • PDF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Spatial Structure Change of Triangle-Cities in Gwangyang Bay Region: From Central Place Structure to Network City)

  • 이정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3-109
    • /
    • 2020
  • 이 연구는 광양만권에 위치한 여수시·순천시·광양시 등 3개 도시 간 도시체계 및 공간구조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중앙정부가 광양만권에서 수행한 대규모 개발사업, 1960년대 중반 제2정유공장 건설, 1980년대 중반 POSCO 광양제철소 준공, 1987년 시작된 광양항컨테이부두 착공과 2003년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지정,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등에 힘입어 3개 도시의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어 광양만권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임해형 산업벨트를 형성한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순천은 광양만권을 포함한 전남 동부지역에서 독점적인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였다. 중앙정부가 추진한 전술한 개발사업은 광양만권에 위치한 3개 도시 간 도시체계와 공간구조를 순천 중심의 단핵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변화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 이후 3개 도시 간 연결성과 통합성이 강화되면서 광양만권 공간구조는 네트워크형 공간구조로 재편되고 있고, 이런 추세는 향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 폐촉매로부터 백금 회수를 위한 담체의 황산용해 (Sulfuric Acid Dissolution of Carriers for Recovering Platinum from the Spent Petroleum Catalysts)

  • 이재천;정진기;김병수;김민석;조영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1호
    • /
    • pp.14-21
    • /
    • 2004
  • 백금을 함유하고 있는 폐촉매가 정유공장과 화학공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백금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희귀하고 뛰어난 물성으로 인하여 오래 전부터 회수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로 구성된 폐촉매의 담체를 황산으로 용해하여 불용성 백금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석유 폐촉매로부터 백금을 회수하고자 하였다. 황산에 일부 용해된 백금은 알루미늄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세멘테 이션법으로 회수되었다. 온도, 시간, 황산농도, 광액농도 등이 담체의 용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체가 $\Upsilon-Al_2$$O_3$로 구성된 폐 촉매를 6.0 M $H_2$$SO_4$ 용액으로 $100^{\circ}C$에서 2시간 동안 용해하였을 때 알루미나의 용해율은 약 95% 정도이었다. 담체가 $\Upsilon-Al_2$O$_3$$\alpha$-$Al_2$O$_3$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4시간 용해하였을 때 약 92%의 알루미나가 용해하였다. 담체를 황산으로 용해한 다음 백금을 회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석유 폐촉매로부터 99% 이상의 백금을 회수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황산알루미늄을 부산물로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