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한급수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급수제한에 의한 성성숙 지연방법

  • Kirkland W M;Fullre H L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 no.6 s.32
    • /
    • pp.88-89
    • /
    • 1972
  • 무제한 급수하면 저에너지 사료를 섭취하는 닭은 모자란 에너지의 보충을 위해 사료를 더 많이 섭취하여 에너지의 제한 효과가거의 없었고 제한급수하면 사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없기 때문에 대조구의 약 70$\%$밖에 섭취못했다. 따라서 이것이 성성숙을 4$\~$4 1/2주 지연시킨 요인이었으며 체지방 축적도 감소시켰다. 성성숙 지연결과 성숙이 지연된 닭은 총 산란수가 훨씬 많고 비정상란의 수가 훨씬 적으며 대란율도 훨씬 높다. 육성중 폐사율은 더운 여름철에도 급수의 제한과 상관없었으며 산란중 폐사율은 오히려 성성숙시의 체중 혹은 체지방 축적과 정비례 했다. 이상으로 저에너지 사료를 급여하면서 급수제한(격일제 급수)하는 방법이 대추의 에너지 섭취를 제한시키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 PDF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Network for Drought Damage Diffusion Model (가뭄 피해 확산 모형 개발을 위한 용수 공급 네트워크 구축)

  • Kim, Sang Mun;Choi, Jung Ryel;Ahn,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4-374
    • /
    • 202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최근 국내·외에서 중·장기적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생활·공업·농업 용수에 제한급수 시행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혼란과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5년에 보령댐의 저수율이 약 19 %에 그치면서 충청남도 8개 시군에 제한급수를 실시한 바 있으며, 2017년 속초시에는 28일 동안 제한급수를 실시하여 큰 불편을 초래한 사례가 발생하였다. 중·장기적 가뭄은 공간적, 시간적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나므로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기적 가뭄 발생시 시군구 등 지자체 차원에서 가뭄 대응이 가능하게 하도록 수도 급수 체계를 바탕으로 용수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용수 공급 네트워크는 취수원(하천, 댐, 저수지)에서 취수장으로 1차 공급되어 2차 공급지인 정수장을 거쳐 최종 급수구역으로 배분되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용수 공급 네트워크는 하천, 댐, 저수지 등의 취수원 별로 작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생활, 농업, 공업 분야별 가뭄 피해 확산 모형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 PDF

Predictability of emergency water supply using machine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딥러닝 기반 분류기법을 활용한 비상급수 예측 가능성 검토)

  • Oh, Yeoung Rok;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3-303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기상이변 현상의 발생 빈도가 잦아지며 가뭄 방생 빈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가뭄 피해를 경감하는 선제적 가뭄대응체계 구축과 가뭄이 발생한 이후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피해 여부를 이진분류 방법으로 접근하여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가뭄피해 여부는 비상급수(제한급수,운반급수) 자료를 이용하여 비상급수가 시행된 경우를 가뭄피해 발생으로 보고, 비상급수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를 피해 없는 사례로 구분하였다. 기상 상황 변수로는 강수량, 기온, 상대습도 등을 이용하였다. 또한 지역별 연간 총 급수량 대비 저수량을 이용하여 지역별 현 상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불균형 클래스 문제의 정확도에 주로 이용되는 오차행렬의 정확도가 0.9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F1-Score는 약 0.5 로 나타났다. 이는 예측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 95 %의 확률로 가뭄피해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가뭄 피해만을 대상으로 했을 경우 50 %의 정확도를 타나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비상급수를 유발하는 충분한 환경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고, 다양한 딥러닝 모형을 분석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상급수를 유발하는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고 딥러닝 기법을 고도화 한다면 모형의 정확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ssure restricted water supply method during drought using a computer simulation and daily water supply analysis (시뮬레이션과 1일 급수량 분석을 이용한 갈수기 감압에 의한 제한급수 방법)

  • Nam, Youngwook;Kim, Kyungsu;Hyun, Inhwan;Kim, Doo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34 no.5
    • /
    • pp.335-344
    • /
    • 2020
  •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mega-droughts have occurred frequently. Since long-term droughts make it difficult to secure the water resources, water supply needs to be restricted in a reasonable manner. In the event of limited water supply, the waterworks need to develop a restricted water supply strategy. This study showed that analyzing daily water supply could be used to respond to the first stage of a drough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Korea's major water authorities, there was about 7~21% of room for daily minimum water supply in case of a drought. Restricting the water supply by lowering pressure is a good strategy for local water authorities with high water leakage rate since leakage is inversely dependent with pressure. For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quantify water deficiency and pressure at each node using a simulation. Since DDA-based software is not possible to predict changes in demand at nodes with pressure reduction, WaterGEMS, a PDA software, was used to quantitatively predict water shortages and pressures at each node. Locations where water is deficient need to install booster pumps or to be dispatched with water tank truck and bottled water. Without these support, lowering pressure could not be an option for water work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waterworks to plan a drought by lowering pressure to restrict water supply using daily water supply analysis and PDA based simulation.

서울특별시 급수조례중 개정조례

  •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 수도
    • /
    • s.7
    • /
    • pp.60-61
    • /
    • 1976
  • 전호에 게제한 서울특별시 급수조례중 76년2 월24일 조례 1017호로 제정된 개정조례를 계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Water-saving Effect by Rotational Irrigation Scheduling System (RISS) in the Dongwha Dam (윤환관개모형 (RISS)에 의한 절수효과 분석 (동화 댐 사례))

  • Kim, Tai-Cheol;Moon, Duck-Young;Lee, Jae-Myun;Moon, Jong-P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4 no.2
    • /
    • pp.147-156
    • /
    • 2012
  • 가뭄강도와 지속기간을 고려하여 관개구역을 몇 개의 관개블록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제한하여 급수함으로써 관개용수를 절약하고 관개기간을 연장하여 가뭄을 극복하는 윤환관개모형 (RISS)을 제안한 바 있다. 이 RISS는 작물생육기별 관개저수지 저수율별 급수구역과 제한 급수율을 제시함으로써 가뭄기간에 저수지 운영자가 언제, 얼마나 제한하여 급수할 것인지 제시해주는 모형으로 전북 남원군 동화댐의 물 관리시스템 자동화 프로그램에 2004년 설치하여 운용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동화 댐 저수위 관측기록과 급수실적을 분석하여 RISS의 절수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화댐의 물 관리시스템 자동화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운용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이 RISS의 절수효과와 효용성을 입증하여 계획대로 자동화시스템을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급수실적 및 저수위 관측기록과 RISS로 모의 발생한 저수위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의발생 평가결과 가뭄이 극심했던 2007년에는 3.8백만 $m^3$을 절수하여 관개기간을 23일 연장하고 2009년에는 3.3백만 $m^3$을 절수하여 관개기간을 13일 연장하여 가뭄이 극심한 해에는 RISS 모형의 효용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ptimal Flood Control Volume in the Irrigation Reservoir (관개저수지의 적정 홍수조절용량 설정방법)

  • 김태철;문종필;민진우;이훈구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0 no.2
    • /
    • pp.81-91
    • /
    • 1998
  • Water level of irrigation reservoir during the flood season could be kept to a certain level, so called, flood control level by releasing the flood inflow in advance in order to reduce the peak discharge of next coming flood and the damage of inundation. Concept of restriction intensity of water supply was introduc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flood control volume on the irrigation water supply. Restriction intensity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atio of restriction to the days of restriction which are obtained from the operation rule curve and daily water level of irrigation reservoir and it has the dimension of % day. The method of restriction intensity was applied to the Yedang irrigation reservoir with the observed data of 30 years to review whether the present flood control volume is reasonable or not, and suggest the optimal flood control volume, if possible.

  • PDF

해안유역의 지하수 함양율 평가기법

  • 박남식;한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199-22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안 유역의 지하수 함양율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해안 유역에서 이용되는 수자원 중에서 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내륙에 소재한 유역의 지하수 비중에 비하여 더욱 크다. 해안지역의 급수율은 전국 평균 급수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0%대로 나타났으며, 해안지역 1인당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평균의 4배에 달하는 261㎥로 조사되었다(홍성훈 외, 2003). 또한 94년과 96년에 발생한 10∼15년 재현기간의 가뭄 시대부분의 해안지역이 제한급수지역에 포함된 바 있다(건설교통부, 2001). (중략)

  • PDF

Revealing Geography of Water in Taebaek City through Actor-Network Theory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해서 본 태백시 물 공급의 지리학)

  • Kim, Na Hyeung;Kim, Sook-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3
    • /
    • pp.366-386
    • /
    • 2013
  • This paper analyzes the drought and restriction on water supply in Taebaek City during the winter season in 2008 using Actor-Network Theory. Actor-Network Theory emphasizes and brings into view the role and act of non-human actors as well as human actors i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The fact that only Taebaek experienced restriction on water supply for 88 days although the winter season drought in 2008 affected the whole nation, requires a synthetic analysis of both human and non-human 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and networks embedded in Taebaek City at that time. This paper shows that both human and non-human actors including Taebaek City Hall, Korea Water Resource Corporation, Taebaek citizen, the water supply facilities, Gwangdongdam, obsolete water pipes, the topography of Taebaek, soil, the change of industry, and population interact one another transforming the geography of water in Taebaek.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complex processes related to drought disasters at a specific local scale and to provide appropriate measures to drought.

  • PDF

최근 강수 추세 및 가뭄년도의 특성

  • Jang, Gi-Ho;Jeong, Jin-Im;Cha, Yeong-Min;Yang, Ha-Yeong;Choe, Yeong-Jin;Gwon, Won-Tae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1
    • /
    • pp.54-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기상관측소 325개소(기상관서:61개소, 자동기상시스템(AWS):264개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최근 10년간의 강수 현황, 평년대비 변화 추세, 그리고 전국적 가뭄년도의 강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근 10년간의 연강수량은 평년 대비 7.3% 증가하는 추세로서 7월의 경우 평년 대비 25% 증가하나 11월의 경우 34% 감소하여 가뭄과 홍수의 자연재해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10년간의 언론보도 조사결과, 가뭄이 발생하지 않은 2003년을 제외하고 매년 지역적 강수부족으로 제한급수가 실시되어져 지역적 강수부족은 매년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뭄년도와 비가뭄년도의 월별 강수 변화 분석결과, 최근 20년 전국적 가뭄이 발생한 연도에는 2-5월사이 10년 평균강수량에 못미치는 강수가 발생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이 특성을 이용한 누적강수량의 지속적 감시는 가뭄 조기경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관하여 최근 90일 누적 강수량과 댐 수위 상황도를 산출하고 이를 사례분석하여 보았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 현재(2011년 3월말) 강수부족이 지속된다면 낙동강 중 상류지역에 물부족이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