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혁신성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27초

제품혁신이 기업의 수익 및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rporate Product Innovation on the Firm's Revenue and Financial Stability)

  • 임동근;정진화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4호
    • /
    • pp.239-261
    • /
    • 2017
  • 본 연구는 제품혁신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혁신이 기업의 수익과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품혁신은 신제품개발 및 도입으로 정의한다. 기업의 수익은 종업원 1인당 매출액과 매출액 증가율로 측정하고, 재무안정성은 자기자본대비 부채비율과 유동비율로 측정한다. 실증분석은 제품혁신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였고, 분석자료는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의 1차(2005년)~6차(2015년) 자료와 한국신용평가(주)의 기업재무자료를 병합한 자료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제품혁신은 기업의 지식자본스톡과 인적자원투자, 시장선도전략 등에 영향을 받으며, 제품혁신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기업일수록 1인당 매출액과 매출액 증가율이 높고 부채비율은 낮으며 유동비율이 높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술혁신투자와 이를 통한 제품혁신이 기업의 단기수익 창출 및 장기적인 재무안정성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360 제품 사진의 특성과 내적혁신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360 Product Photography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Innovation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e)

  • 심현준;이종윤;김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67-380
    • /
    • 2020
  • 360 제품 사진은 실사를 기반으로 하는 VR 제작 방식의 하나로 피사체를 다각도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실감 미디어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통하여 360 제품 사진의 특성과 내적혁신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360 제품 사진의 특성인 정보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신뢰성과 오락성은 지각된 유용성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혁신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지각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변인인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모두 지속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까지 미흡한 360 제품 사진 관련 분야에 다양한 연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360 제품 사진의 실무 제작에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소비효율성 개념을 이용한 혁신의 이해

  • 박찬수;이정동;오동현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3년도 제23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56
    • /
    • 2003
  • 다양한 제품들이 존재하는 시장에는 타 제품에 비하여 품질대비 가격이 낮은 혁신적인 경쟁력있는 제품과 그렇지 못한 제품들이 혼재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부족(limited information),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혁신적인 제품들만이 소비자들에게 선택되어 소비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소비효율성(consumption efficiency)라는 개념을 도입, 제시하고자 한다. 만약 소비효율성이 극도로 낮다면 혁신적인 제품을 내어놓는다 하더라도 소비자들에게 선택되어 이윤이 발생될 확률이 낮기 때문에 생산자 입장에서는 혁신의 유인(innovation incentive)이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처럼 소비효율성의 문제는 혁신의 유인과 결과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혁신을 이해하기 위한 기존의 분석틀은 생산경제이론(production economics)에 기반하고 있고, 효율성의 개념도 생산효율성(production efficiency) 혹은 기술적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의 범주에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소비효율성의 개념은 효용이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효용함수 극대화이론에서 출발하여 경계헤도닉함수(frontier hedomic function)을 도출하는 이론적 유도과정을 제시한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SFA(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의 방법론 체계를 적용하였다. 제시된 분석틀은 국내 PC산업의 데이터에 적용되었다. 분석의 결과 몇 가지 가정하에 국내 PC산업이 약 13%정도의 비효율성을 안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초기혁신구매자(early adopter)들은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을 기꺼이 감수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궤적 분석에서는 각 산업별 기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특정 기술 지식의 활용 기간을 통해 기술 주기를 도출하고, 산업 내 평균 권리 청구 항목 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의 기술 범위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동적 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이 관찰하였고,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의 기술 패러다임 내에서 Pavitt이 제시한 산업 분류의 근거를 보충 설명하였고 특허 정보를 이용하여 기술혁신의 산업별 유형에 대한 폭넓은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case of R-20458, the increasing

  • PDF

디지털 컨버전스제품 구매회피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과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Purchasing Avoidance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ocusing on the Customer'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Innovation Resistance)

  • 서문식;안진우;이은경;오대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70-284
    • /
    • 2009
  • 디지털의 주요한 특성인 융합성으로 인해 IT산업분야에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은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이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혁신제품이기에 소비자들의 가치와 부합하지 않거나 복잡한 이용방법에 따른 문제점이 들어나기도 한다. 즉,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보다 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시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는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회피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어떠한 불편한 심리를 가지게 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복잡성, 부적합성, 불확실성, 비용의 비합리성과 같은 구매를 저해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부조화, 혁신저항, 지각된 손실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형성하게 하여 구매회피로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 복잡성과 부적합성은 혁신저항을 느끼게 만드는 요소이며, 불확실성과 비합리성은 지각된 손실에 영향을 미치며, 비합리성은 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조화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혁신저항은 구매의도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시장에 쉽게 확산되어 나가기 위해서는 복잡성, 부적합성, 불확실성, 비합리성과 같은 요소들에 대해 마케터들이 충분히 숙고한 후에 이러한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출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향점수매칭(PSM)-이중차분(DID) 결합모형을 이용한 혁신조달 정책의 기업지원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Firm Support Effects of the Innovation Procurement Polic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 in Differences)

  • 김주원;박원익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3호
    • /
    • pp.201-230
    • /
    • 2023
  • 혁신조달 제도는 전략적 공공조달 정책의 일환으로 혁신제품 지정 및 우선구매제도를 활용해 기업의 혁신역량 향상과 공공부문의 사회문제 해결능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으로 도입됐다. 혁신제품에 대한 시범구매 사업은 2019년에 처음 도입됐으며 2020년부터 정부 부처의 혁신제품 지정·발굴 체계가 확립된 후 혁신제품 우선구매제도가 본격적으로 실시됐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조달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해당 제도의 기업지원 효과에 초점을 맞춰 정량적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2017년에서 2021년까지의 기업 재무제표 및 고용 자료를 이용했으며, 분석방법으로 성향점수매칭(PSM) 및 이중차분(DID) 방법을 활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혁신조달 제도가 기업성장과 고용증대에 기여했으며 추가적인 공공 및 민간판로 개척 효과를 창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혁신조달 참여기업이 제품지정 종료 이후에도 자생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혁신제품 지정기업과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적극 매칭하는 등 혁신조달 제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조직양면성 구축과 운영에 대한 다차원적 연구 (Design and Implementing Ambidextrous Organizations for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최상현;김병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4호
    • /
    • pp.205-244
    • /
    • 2015
  • 최근 빠른 기술과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동태적 역량의 하나로 기업의 양면성 조직 특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빠른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은 신제품 기술개발역량 측면에서 기존 제품의 점진적 혁신을 통한 활용적 역량과 함께 새로운 시장 및 기술에 대한 탐험적 역량 둘 모두를 구축하고 균형을 갖는 양면성 조직의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 중소기업이 양면성 조직을 구축 및 운영하는 이유와 방법, 기업의 생존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기업의 내부적 기술혁신전략과 기업성장단계가 양면성 조직 특성과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양면성 조직 특성은 구조, 맥락, 리더십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 분석을 위해 제품의 산업적 특성을 달리하는 3개 중소기업에 대해 다중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종단적 분석을 통해, 제품의 산업적 특성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기술혁신전략 유형에 따라 양면성 조직의 구축 및 운영의 해법이 다르며, 구조, 맥락, 리더십 관점의 양면성 조직 특성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양면성 조직 특성이 중소기업의 생존과 성과에 중요한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제품혁신을 통한 경쟁우선순위의 전략적 선택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Selection of Competitive Prior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Product Innovation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김도훈;최종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9-1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을 산업유형별로 나누어 제품혁신의 성과 및 기업특성에 따른 경쟁우선순위의 효과를 추정하고, 경쟁우선순위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제조업 기업들의 효과적인 경쟁우선순위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품혁신의 성과에 따른 경쟁우선순위의 효과 분석 결과, 제품혁신 성과가 높을수록 경쟁우선순위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쟁우선순위와 경영성과와의 분석 결과에 있어서는 산업유형별로 경영성과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쟁우선순위가 각각 다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중소기업 융합제품개발을 위한 개방형 혁신인프라 구축 (Construction of Open-Innovation Infra for a Development of Converged Technology SME Products)

  • 이재기;최주희;최희진;소운섭;송광석;유종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4호
    • /
    • pp.132-145
    • /
    • 2013
  • 중소기업 제품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려면 기술혁신과 시장 경쟁력을 갖는 혁신 제품개발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은 필수적이다. 다시 말해서 기술 및 제품개발에 일련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기업들이 잘 시행하고, 기술혁신 및 제품개발의 성공률 제고를 위해서는 기존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개발된 원천기술과 상용화 간의 간극(gap)을 줄이고 기술개발의 연쇄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R&BD(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인프라를 구축하여 기술/제품에 대한 지식을 폭넓은 분야의 전문가 또는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완성도가 높은 시제품 제작으로 기업의 한정된 내부자원과 상품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환경과 자원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사업개발-시장개발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 활용될 수 있는 신개념의 시스템 도입 필요성과 위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소셜기반 manufacturing platform과 제품 제작 인프라 및 기업지원, marketing 등을 지원하는 신 에코시스템인 CSP(Crowd Sourcing Platform) 구축 및 서비스 디자인에 대해 논한다.

  • PDF

제품/서비스 혁신과 제품/서비스 프로세스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고객/공급자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Service Innovation and Product/Service Processes: The Moderating Role of Customer and Supplier Network)

  • 정태석;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73-68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서비스 개발 과정에 있어서 공급자와 고객이 언제 어떻게 참여해야 하는가는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들을 어떻게 그리고 언제 참여시키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분석결과 높은 고객 참여는 전략설계와 제품/서비스 혁신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 개발 초기에 고객이 참여할 경우 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평가개선 단계에서 고객의 높은 참여는 제품/서비스 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가개선 단계에서는 고객의 아이디어보다는 제품/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전문지식이 더 요구됨을 나타낸다.

아키텍처 혁신의 과정 모델: 휴대폰용 진동모터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A Process Model of Architectural Innovation: The Case of Vibration Motor Development in Cellularphone Industry)

  • 김희승;김영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4호
    • /
    • pp.245-287
    • /
    • 2015
  • 아키텍처 혁신은 급진적 혁신과 달리 기술적 불연속성의 정도는 낮지만 제품 아키텍처의 변경을 통한 기술적 성능개선 폭은 큰 혁신으로 이해되고 있다. 신생 산업의 초기, 급진적 혁신 제품의 개발에 성공한 기업은 이후, 열등한 아키텍처 효율성 문제를 극복하지 않으면 더 이상 기술적 성능 개선이 둔화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 지점에서는 급진적 혁신 단계에서의 열등하지만 창의성이 깃든 제품 아키텍처의 창출 경험은 오히려 아키텍처 혁신의 장애물로 작용하게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키텍처 혁신 전후의 시장 요구변화와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 전략을 단계모델의 관점과 문제해결 모델의 관점이 결합된 분석틀의 구축을 통해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중소기업 자화전자(주)는 산업 초창기 휴대폰에 장착되는 진동모터의 급진적 혁신에 성공 후 아키텍처 혁신과 연관된 장애물들을 극복함으로써 마침내 자신이 개발한 진동모터의 본격적 확산에 성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진동모터의 개발과정에 대한 능동적 참여관찰을 통해 단일 사례를 종단적으로 깊이 연구함으로서, 이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