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차원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28초

파운데이션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사례 연구 (Sensory Evaluation of Foundation Product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pomnent)

  • 김수정;양윤정;선보경;이성호;문성준;장이섭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261
    • /
    • 2001
  • 화장품의 사용감은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나타내며 상대적이고 감성적인 개념들이 우선하게 된다. 이러한 관능특성들을 보다 객관적이며, 과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분야가 바로 관능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단계 중 베이스 메이크업에 속하는 제품인 파운데이션의 관능 특성을 보다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게 평가, 분석하는 전문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내 여성을 대상으로 discriminative 및 descriptive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적합한 패널을 선정하였고 일정하게 규정된 일련의 교육과정들을 통해 패널을 훈련시킴으로써 베이스 메이크업 전문 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후 파운데이션에 대해 질감별 제품을 평가하도록 한 후 이러한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신뢰성 있는 통계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감 특성이 위치되니 2차원적 공간영역과 제품별 사용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된 결과를 자사 브랜드 메이크업 라인의 파운데이션 제품에 응용하여 제품을 차별화 시키도록 설계하고 질감별 특징적 사용감과 적합한 특성강도를 제시한 후 이를 나타내는 처방의 제품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출시된 제품을 실제 소비자들을 통해 기호형 관능평가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실제 느끼는 사용감각 특성과 상품개발 계획 시 소구하고자 했던 관능특성이 일치하게 나타나 사용감 설계의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관능평가를 제품개발에 응용한 활용방안으로 보고자 하였다.

  • PDF

제품속성을 활용한 중소/벤처기업의 브랜드 정통성 구축방안에 대한 실증적 연구

  • 고인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9-1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케팅 관점에서 제품속성과 브랜드 정통성에 대한 통합적 연구모형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제품속성과 브랜드 정통성을 정의하고, 브랜드 정통성의 구성 요인을 학문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품속성은 내재적 속성으로는 품질과 디자인, 외재적 속성으로는 브랜드와 가격으로 구분하고, 브랜드 정통성은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총 13개의 하위 차원으로 정리하였다. 제품속성이 브랜드의 정통성과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총 400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제품은 S전자의 최신 휴대폰인 S20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마케팅관점에서 소비자가 제품 속성을 통하여 지각하는 브랜드 정통성과 브랜드 이미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브랜드의 정통성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투자가 수반되므로 중소/벤처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이런 이유로 중소/벤처기업은 우선적으로 제품의 품질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경향이 있지만 만일 제품 속성이 브랜드 정통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면 중소/벤처기업은 관련된 전략을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시각에서 제품의 속성을 활용하여 브랜드 정통성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스타트업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디자인 개성과 소비자 반응 간의 관계에 대한 디자인 전형성 효과 (The Effect of Design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ersonality and Consumer Response)

  • 나광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65-76
    • /
    • 201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디자인 개성 차원이 제품 디자인의 태도나 구매의도 등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디자인 전형성이 디자인 개성과 소비자 반응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형적 디자인에 노출될 경우 진실성과 강인함이라는 디자인 개성 차원을, 비전형적 디자인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열정과 세련됨 디자인 개성차원을 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적 디자인의 경우 진실성, 유능함, 열정, 강인함 등의 디자인 개성차원이, 비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는 진실성, 유능함, 열정, 세련됨 등이 디자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는 유능함과 강인함이, 비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는 진실성, 열정, 강인함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능함과 강인함은 전형적 디자인에서, 세련됨은 비전형적 디자인의 경우 디자인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함은 전형적 디자인의 경우에, 열정은 비전형적 디자인에서 제품구매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D-IC 반도체 모듈의 내부결함 검사를 위한 초분광 영상기반 검출모듈 개발 (Development of hyperspectral image-based detection module for internal defect inspection of 3D-IC semiconductor module)

  • 홍석주;이아영;김기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46-146
    • /
    • 2017
  • 현대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등을 가능하게 만든 집적 기술 중의 하나는 3차원 집적 회로(3D-IC)와 같은 패키징 기술이다. 이러한 첨단 3차원 집적 기술은 메모리집적을 통한 대용량 메모리 모듈 개발뿐만 아니라, 메모리와 프로세서의 집적, high-end FPGA, Back side imaging (BSI) 센서 모듈, MEMS 센서와 ASIC 집적, High Bright (HB) LED 모듈 등에 적용되고 있다. 3D-IC의 3차원 모듈 제작 시에는 기존에 발생하지 않았던 여러 가지 파괴 모드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Thermal/Photonic Emission 장비 등 기존의 2차원 결함분리 (Fault Isolation) 기술로는 첨단의 3차원 적층 제품들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비파괴적으로 혹은 3차원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비파괴 3차원 결함 분리 기술은 향후 선행 제품 적기 개발에 매우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는 3D-IC 반도체의 비파괴적 내부결함 검사를 위하여 가시광선-근적외선 대역(351nm~1770nm)의 InGaAs (Indium Galium Arsenide) 계열 영상검출기 (imaging detector)를 사용하여 분광 시스템 광학 설계를 통한 초분광 영상 기반 검출 모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초분광 영상 기반 검출 모듈을 이용하여 구리 회로 위에 실리콘 웨이퍼가 3단 적층 된 반도체 더미 샘플의 초분광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촬영된 초분광 영상에 대하여 Chemometrics model 기반의 분석기술을 적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내부의 집적 구조에 대한 검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만족요인에 대한 개념적 모형구축

  • 오세구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정보기술의 효율적 활용
    • /
    • pp.359-366
    • /
    • 1998
  • 최근 전자상거래는 기업과 기업간의 전자상거래 차원에서 기업과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차원으로 그 중요성의 비중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차원에서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만족요인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구축함으로서 향후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공급자측면의 요인인 정보요인, 제품요인, 서비스요인과 소비자측면의 요인인 소비자태도 및 능력요인을 거래관계요인인 신뢰와 몰입을 통하여 소비자 만족에 연결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추후 실증분석을 통하여 보다 정밀하게 수정하고자 한다.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및 구매의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he Country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 웅건용;무연연;김원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67-273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국산 의류제품에 대한 중국 국가이미, 제품이미지 및 구매의도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중국 국가이미지 중 경제적 이미지, 문화적 이미지가 제품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제품이미지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제품의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촉진활동을 하면 소비자의 구매행동유도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국산 의류제품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 국가차원의 국가이미지를 제고해야 하며, 그 결과로 제품이미지 및 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3 차원 사출성형 해석을 통한 냉장고 플라스틱 서랍 제작용 사출 성형 금형의 형상적응형 냉각수로 설계 (Design of Conformal Cooling Channels for the Mould of a Plastic Drawer of a Refrigerator by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Injection Moulding)

  • 안동규;박민우;박승화;김형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487-1492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3 차원 사출성형해석을 통한 냉장고 플라스틱 서랍 제작용 사출성형 금형의 형상적응형 냉각수로 설계이다. 바람직한 형상적응형 냉각수로의 설계를 얻기 위하여 형상적응형 냉각수로의 직경과 위치가 사출성형 특성과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고찰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제품의 균일 냉각과 변형 최소화가 가능한 최적의 형상적응형 냉각수로의 설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출성형 금형과 기존의 직선형 냉각수로의 사출성형 금형을 냉각/제품 제작 시간 및 제품 품질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형상적응형 냉각수로를 가진 사출성형 금형이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 과정에 대한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역할

  • 김광수;신종국;곽원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3권
    • /
    • pp.173-193
    • /
    • 1999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성과 평가에 대한 선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는 제품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 신념 수준이 제품 성과 평가에 주요한 원인임을 밝히고 있다. 1980년대부터 소비자행동 및 심리학 분야에서 감정의 역할 및 기타 심리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제품 평가 과정에 있어서 감정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 졌다. 즉, 제품성과 평가에 있어서 소비자의 일시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에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정에 관련된 인구에 있어서 항상 문제가 되어왔던 부분이 감정의 개념 규정과 특성이다. 현재까지도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것이 많지만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소비자 감정 반응의 유형을 구분하고 제품 평가 과정에서 발견되는 감정 반응은 주로 기분 상태의 성질을 띠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편 본 연구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이론이 감정의 인지적 평가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필자는 개인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감정에 선행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인지적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인지적 평가 요소로 사전적 기대와 점포 평가를 제시하고, 점포 내 기분 상태의 결과로 제품 성과 평가를 제시하는 연구 모형을 수립하였다. 이 연구 모형에 대해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포 평가가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중요한 인지적 평가 요인이 되었으며,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유쾌 차원이 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신속조형기술(RP: Rapid Prototyping) 분야소개

  • 지해성
    • 한국CDE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6-79
    • /
    • 1997
  • 최근 몇년간 CAD/CAM 분야에서 활동하시는 많은 분들이 'RP'라는 신기술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다분히 생경스러운 심정으로 지켜봐 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지하다시피 'RP 즉 Rapid Prototyping'은 '컴퓨터에 저장된 3차원 형상모델의 기하학적 자료로부터 그 물리적인 모형형상을 신속하게 조형해 내는 것'으로 주어진 설계 제품의 수학적 모델을 그 이전에 존재하였던 그 어떤 가공방식과도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시간안에(통상 24시간 이내) 물리적인 모형으로 재현해 낸다는 것이 그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하겠다. 우리말로는 '신속조형기술'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설계된 제품 형상의 기하학적인 복잡성이나 반복성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그 어떤 제품형상도 조형이 가능하다. 물론 초기에 이 기계장치의 발명목적은 'RP'라는 용어가 시사하듯이 컴퓨터나 수작업에 의해 설계된 제품형상을 신속하게 관능(시각 및 촉각) 감각을 통해서 관찰하고 그에 따른 형상설계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이 기술이 최근 그 발전의 행보를 빨리함에 따라 기존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복잡한 제품 형상의 신속한 모형제작은 물론 가까운 장래에는 이의 주물성형을 위한 주형의 제작이나 플라스틱 사출성형용 금형제작(신속 주형/금형 제작-RT: Rapid Tooling 이라고 호칭)까지도 신속하게 수행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