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트류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n the Heavy Rainfall Events accompanied by Low Level Jet inflow of the Changma Front in Korea Peninsula (장마전선상에서 하층제트 유입으로 인한 한반도 집중호우에 관한 연구)

  • Choe, Ji-Yeong;Kim, Chang-Mo;Ryu, Chan-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2-94
    • /
    • 2010
  • 최근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부는 제트류(jet stream)가 장마 전선에 유입되면서 다량의 수증기 공급으로 인한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집중 호우는 상, 하층 제트류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상층 제트류는 제트류의 남쪽과 하층에서 상승기류를 유발하는 역할을 하고 하층 제트류는 남쪽 및 남서쪽에서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를 북쪽 및 북동쪽으로 수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 하층 제트류가 교차되거나 근접할수록 상하층의 온위차가 커지고, 연직시어도 증가되며, 또한 두 제트류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2차 순환이 강화되어 호우가능성이 높아진다. 한반도의 경우는 지리적으로 경압성이 강한 동아시아에 위치하여 전반적으로 잘 구조화된 하층제트를 형성하여 호우의 제반 여건을 형성하므로, 하층제트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관계한 집중호우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 PDF

Neural network model for turbulent jet (난류 제트 신경망 모델)

  • Choi, Seongeun;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7-247
    • /
    • 2022
  • 제트류는 복잡한 흐름 중 하나로 다양한 크기의 에디가 다양한 운동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트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난류 운동 에너지 등 제트류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제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리학적 모델, 현장 실험 등 많은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간, 시간적 비용이 적게 드는 수치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수치해석방법에는 DNS(Direct Numerical Simulation), LES(Large Eddy Simulation), RANS(Reynolds Averaged Navier Stokes) 등이 있다. RANS는 시간 평균 흐름 특성만 산출하며 제트의 복잡성을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어, 본 연구는 DNS와 LES 모델을 이용하여 제트류를 구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DNS는 해당 격자에서 발생하는 모든 에디를 직접 해석 때문에 난류 모델링이 필요하지 않지만, 많은 수의 그리드가 필요하여 수치해석 시 소요시간이 긴 편이다. LES는 대규모 에디는 직접 해석하지만 일정 크기 이하의 소용돌이를 해석하기 위해서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서브 그리드 모델에 따라 약간 다른 결과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ES의 기존 서브 그리드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신경망 모델로 학습한 DNS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DNS와 LES 모델을 사용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서브 그리드 모델이 시작하는 파수를 찾는다. 이후 특정 파수 아래의 작은 에디를 모사할 적절한 신경망 모델을 결정하여 DNS의 작은 에디를 신경망 알고리즘이 모사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이후 기존 서브 그리드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학습된 신경망 알고리즘을 사용한 LES 모델이 모사한 제트류와 실제 DNS 모델을 사용한 제트류를 비교 및 평가한다.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Flow Characteristics and Thrust Vectoring of Controlled Axisymmetric Jets (원형분사제트 조절을 통한 유동특성 및 제트 벡터링의 효과 고찰)

  • 조형희;이창호;김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04a
    • /
    • pp.63-72
    • /
    • 1997
  • 본 논문은 분사제트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를 조절하여 제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동가시화, 속도분포 및 난류성분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와류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트노즐 주위에 환형관을 설치하여 환형관으로부터 2차제트를 분사 또는 흡입함으로써 제트주위에 형성되는 전단류를 변화시켰다. 2차제트 분사시 주제트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의 발달을 억제함으로써 제트 포텐셜코어의 길이가 아주 길어지는 제트유동을 얻을 수 있었다. 환형관으로부터 주제트주위의 유체를 흡입하는 경우 제트주위의 전단류가 흡입비 R=1.3∼l.65에서 대류불안정성에서 절대불안정성으로 바뀜으로써 형성된 와류가 하류에서 제트중심부까지 발전,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 긴포텐셜코어와 중심에서 낮은 난류강도를 얻었다. 위의 결과는 환형관 주위에 부착한 깃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였는데, 이것은 깃이 환형관을 통한 흡입유동의 유로역할을 함으로써 제트밖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분사제트 벡터링을 위하여 제트노즐 주위의 환형관을 이등분하여 한쪽으로만 제트주위의 유동을 흡입함으로써 제트주위에 다른 전단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Coanda효과를 이용하여 분사제트를 편향시켰다. 편향되는 정도 및 난류성분은 홉입속도 비에 따라서 크게 바뀌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East/Japan Sea SST in the Autumn (가을철 동해 표층 수온과 태평양 순년 진동의 상관성 분석)

  • PAK, GYUND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4 no.4
    • /
    • pp.509-518
    • /
    • 2019
  • Analyses with variou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products indicate that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area-averaged SST in the East/Japan Sea (EJS) is well correlated to that of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during 1979-2018, especially in the autumn.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wind vectors at 200 hPa, where the strongest jet stream flows, suggests that the long-term variability of the intensity as well as the meridional movement of the jet stream are related to the coupling of the autumn EJS SST and PDO. When the axis of the jet stream moves poleward (equatorward) with its weakening (strengthening), both the EJS SST and North Pacific SST increase (decrease). This suggests that both the intensity and meridional movement of the jet stream are possibly related to the coupling of the autumn EJS SST and PDO. However, effects of a weak jet stream during the summer and the strong East Asian winter monsoon make weak coupling between the EJS SST and PDO.

Numerical Simulation of Jet-like Currents Influenced by Irregular Waves (불규칙 파랑의 영향을 받는 유사제트류의 수치모의)

  • Choi, Jun-Woo;Park, Won-Kyung;Bae, Jae-Seok;Yoon, Sung-B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5
    • /
    • pp.491-497
    • /
    • 2008
  • The effect of wave and current interactions on jet-like current flowing against waves was investigated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s. Th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a model system of REF/DIF(a wave model) and SHORECIRC(a current model). In the simulations, irregular waves refracted due to the jet-like opposing current were focused along the centerline of current, and the jet-like current was spreaded earlier when the wave heights become larger.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pid change of wave height distribution in transverse direction near current inlet plays a significant role to spread the jet-like current. In other words, the radiation stress gradients acting in transverse direction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jet-like current than its gradients acting in flowing direction which tend to accelerate the current do. In conclusion, it is indispensible to take into account the interaction between waves and current when the jet-like current such as river mouth meets opposing waves.

Numerical Analysis of Intense Electric Current Pulse to Disperse Shaped Charge Metal Jet (성형작약탄 금속제트 산란을 위한 대전류 펄스의 수치해석적 연구)

  • Park, Hyeong Gyu;Kim, Dong Kyu;Kim, Si Woo;Joo, Jae Hyun;Song, Woo Jin;Kim, Je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1
    • /
    • pp.55-62
    • /
    • 2015
  • The electromagnetic force induced by an intense electric current pulse, which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metal jet originating from a shaped charge, can disperse and scatter the high-speed metal jet. An electric device consisting of an RLC circuit applies an intense electric current pulse that flows in the circuit while the metal jet passes between two electrodes. In this study, the metal jet formation was simulated using the ALE technique in 2-D, and a 3-D finite element model was mapped using 2-D simulation results to induce the electric current directly. The deformed shapes of the metal jet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were calculat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by inducing the electric current directly, and the major parameters of the intense electric current pulse for breaking up the metal jet were examined.

Experimental Studies on Flow Characteristics and Thrust Vectoring of Controlled Axisymmetric Jets (원형분사제트 조절을 통한 유동특성 및 제트 벡터링의 효과 고찰)

  • 조형희;이창호;이영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 no.1
    • /
    • pp.33-45
    • /
    • 1997
  • Axisymmetric shear layers around a free jet is forced by co-flowing and counter-flowing secondary jets from/to an annular tube around the jet nozzle. The jet potential core extends far downstream with co-flowing secondary jets due to inhibited vortex developing and pairing. For counter-flowing cases, the axisymmetric shear layer around the jet transits from convective instability to absolute instability for velocity ratios R=1.3~l.65 for the uniform velocity jets. Consequently, the jet potential core length increases and the turbulence level in the jet core is reduced significantly. The jets are controlled better with extension collars attached to the outer nozzle exit because the annular secondary flow is guided well by the extension collars. For the vectoring of jet, the annular tube around the jet is divided in two parts and the only one part is used for suction. The half suction makes the different shear layer around the jet and vectoring the jet by Coanda effect. The vectoring and turbulent components are varied significantly by the suction ratio.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rced free jets using flow visualization, velocity and turbulence measurements.

  • PDF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Study for Predicting Time-Averaged Velocity Fluctuations in Turbulent Jets (난류 제트 내 시간 평균 속도 변동 예측을 위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

  • Seongeun Choi;Jin Hwan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0-130
    • /
    • 2023
  • 제트류는 다양한 크기와 운동량의 에디가 복잡하게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정확하게 모델링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트류의 다양한 특성들을 잘 반영하여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다양한 연구 수행 방법 중 수치해석 방법은 상대적으로 공간 및 시간적 비용이 적게 들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치해석 방법에는 DNS(Direct Numerical Simulation), LES(Large Eddy Simulation), RANS(Reynolds Averaged Navier Stokes) 등이 있으며, 그중 LES는 난류 모델링을 사용하는 RANS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한 흐름 모델링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LES는 대규모 에디는 직접 해석하면서, 일정 크기 이하의 에디는 모델링을 사용해 해석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LE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그리드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모델의 정확성과 연산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여전히 적절한 그리드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LES 모델링을 사용할 때 적절한 그리드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 평균 속도 변동을 연구하는 것이 앞서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난류 제트 내 시간 평균 속도 변동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난류 제트 역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파라미터인 시간 평균 유속을 이용하여 시간 평균 속도 변동을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모델의 성능은 평균 제곱 오차와 R-제곱 등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 PDF

Spray Structure and Cross-section Characteristics of Pulsed Liquid Jet Injected into a Cross-flow (횡단 유동장으로 펄스 분사된 액체 제트의 분무 구조 및 단면 분포 특성)

  • Lee, In-Chul;Koo, Ja-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3 no.2
    • /
    • pp.1-8
    • /
    • 2009
  • Present studies of these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using water, over a range of cross-flow velocities from 42 to 136 m/s, with injection frequencies from 35.7 to 166.2 Hz. In cross-flow field, main parameters of liquid jet for secondary breakup were cross-flow drag rather than pressure pulse frequency. As oscillation of the periodic pressure, liquid jet was moved up and down. Also, a bulk of liquid jet puff was detected at upper field of liquid surface. Because of pressure pulsation frequency, an inclination of SMD for the structured layer was evanescent.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of SMD at downstream area were non-structured distributions. The tendency of volume flux value for various frequency of pressure pulse was same distribution. And volume flux was decreased when the frequency of pressure pulse increasing.

A Study on Effects of Baffle on Impinging Water Jet with wall jet inlet flow (벽면제트류가 유입되는 충돌수분류유동에 배플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Choi, Jung-Sik;Oh, Woo-Jun;Cho, Dae-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87-88
    • /
    • 2009
  • In evaporating distillation plant velocity characteristic of fluid to flow in a evaporator have great influence on flash phenomenon. In This experimental study about impinging water jet region having the inflow of wall jet flow and effect of baffle height to flow velocity in after baffle region, making a application by PIV.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