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초기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machine for upland-crop production (밭 농업 제초기 개발을 위한 기초설계)

  • Kim, T.W.;Lee, H.J.;LEE, S.H.;KIM, J.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2-82
    • /
    • 2017
  • 현대농업에서 잡초를 조기에 제거하지 못할 경우 작물의 성장에 장애를 초래하므로 제초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가격 차별화 등으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재배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제초제는 농작물에 따라 분류가 되어있어 종류마다 효과가 다르고 사용방법이 종류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기가 쉽지 않아 이에 따른 피해 또한 무시 할 수 없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제초기는 굴곡이 있는 고랑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워 밭작물 제초작업에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밭작물 재배 기간에 행해지는 고랑의 제초작업은 평지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제초기로는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또한 제초 작업시 농작물 피해와 멀칭 비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 하고 있다. 따라서 밭작물에 효율적인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굴곡이 있는 지형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제초기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밭작물용 제초기를 개발하기 위해 굴곡이 있는 고랑의 잡초 제거가 가능한 제초날의 형상 설계가 우선되어야 하며, 고랑의 잡초제거를 위한 제초날 형상설계를 하기 위해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 재배지의 이랑 넓이, 고랑 깊이 및 고랑 폭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작물 대상은 양파, 마늘, 무, 배추, 고추, 당근, 감자 총 7가지 작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작물들의 이랑 넓이와 고랑 깊이 및 폭의 평균치를 구하여 제초날 설계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범위가 있는 수치는 높은 수치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고랑의 평균 폭은 34.2cm이고, 고랑의 평균 깊이는 22.1cm가 나타났다.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제초날의 형상은 고랑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원형으로 설계를 하여야 한다. 형상 설계는 밭작물 고랑 평균직경 및 평균높이를 고려하고, 제초작업시 제초날이 작물 및 멀칭비닐의 손상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직경은 고랑 평균 폭의 75% 정도 치수로 형상을 설계하고, 제초날 깊이는 고랑의 굴곡형태을 고려할 때 제초날 반경의 70%정도로 설계하여 원형제초날 폭 250mm, 제초날 깊이 87.5mm로 설계해야 할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Cultivating Weeder for a 3-Wheel Riding Type Cultivating Vehicle (3륜 승용관리기용 중경제초기 설계 제작)

  • Choi, Il Soo;Choi, Yong;Lee, Beom Seob;Ji, Keum Bae;Yun, Young Tae;Yoo, Soo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7-77
    • /
    • 2017
  • 현재 국내의 경우 4륜 승용관리기가 개발되었으나 성능 미비와 편이성 부족으로 승용관리기 및 부속 작업기 보급이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3륜 승용관리기는 작업기 복부 장착으로 작업의 정밀도, 편이성, 관측의 용이성 향상과 함께 지상고 제고, 차폭 조절, 조향 등의 성능 개선을 기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3륜 승용관리기용 복부 장착 부속작업기가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두류 재배에 있어서 일관기계화 작업을 위한 관리작업기의 개발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승용관리기에 의한 중경제초는 잡초방제는 물론 물 빠짐과 토양 속 통기가 좋아지고, 지온 조절, 쓰러짐 방지, 부정근 발생을 조장하여 콩의 생육과 결실을 좋게 함으로써 수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륜 승용관리기에 적합한 복부장착형의 중경제초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3륜 승용관리기용 중경제초기는 승용관리기의 복부 PTO에서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 조인트, 중간축, 기어 및 체인 전동기구, 구동축으로 구성된 동력전달부, 중경제초를 위한 5개의 로타리 날과 후방 1개의 제초날로 구성된 3조의 작업날, 경심 조절을 위한 바퀴, 다양한 조간거리에 적응을 위한 조간조정 나사부, 흙의 비산 방지를 위한 로타리 날 커버 및 케이스, 3륜 승용관리기에의 부착을 위한 프레임 및 부착보조 작업기 이동용 바퀴장치 등으로 구성 설계 제작하였다. 로타리 날은 기존 시판 관리기용 로타리 중경 날을 사용하였는데 진행방향에 역으로 회전하도록 하였고, 날의 회전반경은 약 330 mm, 조당 경운 폭은 약 250 mm, 최대 경심 100 mm로 설계하였다. 조간거리의 조절범위는 수동나사에 의하여 620~900 mm 범위로 무단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경제초기는 3륜 승용 관리기 복부의 평행링크에 부착되므로 작업기의 이동 및 부착 편이성을 위하여 이동용 바퀴를 설치하였다. 제작된 중경제초기의 크기는 길이${\times}$${\times}$높이가 $660{\times}2072{\times}880mm$, 중량은 약 200 kg으로 제작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2-row Type Band Furrow Tiller for a Walking Cultivator (보행형 관리기 부착형 2조식 부분 중경제초기의 개발)

  • Kim, C.S.;Kim, K.D.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32 no.4
    • /
    • pp.223-22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2 row type band furrow tiller for a walking cultivator. The tillage and weeding operations in the furrow of dry fields has been done manually or chemical herbicide has been applied. The application of herbicide induces soil pollution and manual operation requires heavy labor. This 2-row type implement was developed to substitute this manual operation and to minimize soil pollution. The developed implement was composed of power transmitting device, tilling device, frame and tail wheel. The max. plowing width and depth were 300mm and 180mm, respectively. The revolutions of the hexagonal shaft and the tillage shaft were $227{\sim}376rpm$ and $355{\sim}590rpm$, respectively. The adequate working speed was $0.50{\sim}0.83m/s$ and the field capacity was $0.17{\sim}0.28hr/10a$.

Weed Occurrences,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by Hairy Vetch and Partial-Width Tillage (헤어리베치와 부분경운에 의한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 Hwang, Jae-Bok;Jung, Ki-Youl;Yun, Eul-Soo;Choi, Young-Dae;Hyun, Jong-Nae;Yun, Jong-Tag;Oh, In-Souk;Lee, Byung-Mo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3 no.4
    • /
    • pp.318-322
    • /
    • 2014
  • The effects of cover crops on weed suppression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Weed suppressing effects of hairy vetch cover crops were evaluated in summer grain fields. Cover crops were sown at the sowing rate of $60kg\;ha^{-1}$ on Oct. 2012 and Feb. 2013 without basal fertilization. Three weeks old sorghum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fter minimum tillage on June 2013. Hairy vetch cover crop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weed biomass in the transplanted sorghum. By smothering, the cover crops reduced weed biomass to economic level in sorghum. Besides the weed suppression, hairy vetch cover crop resulted in green manure effect on crop growth. Hairy vetch treatment showed beneficial effects on sorghum growth. Reduction of weeds caused by use of strip-tillage machine and polyethylene film mulching was 71% and 88%, respectively. At harvest, yield of sorghum was greater in order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 hairy vetch cover crop > control in transplanted fields.

Development of the blade shape design (밭 농업 제초날 형상 설계)

  • Kim, T.W.;Lee, H.J.;Lee, S.H.;Kim, T.W.;Kim, J.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3-83
    • /
    • 2017
  • 국내에 유통되는 제초날은 대부분 금속으로 제작되며, 금속 날의 대부분 탄소공구강(SK-3~5)으로 제작되고, 날 수 및 날 형태에 따라 2도 날, 3도 날, 4도 날, 8도 날, 톱날로 구분된다. 대부분 평지 제초작업에 사용되고, 고랑 제초 작업에 알맞은 제초날의 없어 고랑 제초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굴곡이 있는 밭의 고랑 제초 작업에 효율적인 원형 제초날을 설계 하고자 한다. 밭작물의 제초작업은 굴곡이 있는 이랑과 고랑 사이의 잡초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평지의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날로는 제초작업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고랑 형상에 맞는 원형 제초날을 설계 하였으며, 회전 균형 및 무게의 균일성 설계가 쉬운 뼈대형 원형 제초날을 설계한 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형 제초날을 설계하였다. 또한 고랑의 잡초 뿌리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원형 제초날에 돌출부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제초날은 밭작물 고랑폭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는 85mm 직경은 300mm로 설계하였으며, 제초날 설계시 원형 제초날은 뼈대형 원형 제초날과 같이 고랑폭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 및 직경을 뼈대형 원형 제초날과 동일한 치수로 설계하였다. 원형 제초날 설계에서 돌출부를 볼트 결착방식으로 설계하였으며, 회전중 돌출부의 파손 혹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경 5mm이상의 볼트 결착이 필요하였다. 볼트 결착방식은 제초날 조립후 제초날 회전시 고랑의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작업공간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제초날 원형부에 돌출부를 절단 절곡하는 방식으로 돌출부를 재설계하였으며, 돌출부 길이는 안쪽 부분 15mm, 바깥 부분 20mm로 설계하고, 돌출부 회전반경은 안쪽 날 20mm, 바깥 날 10mm로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제초날 과 달리 원형 제초날을 개발하기 위해서 회전균형과 안전이 제초날 설계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뼈대형 제초날을 통하여 제초날의 균형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원형 제초날을 설계하였다. 또한 발란싱 머신을 이용한 회전시험에서 unbalance 정도가 3,600rpm에서 4.51/47.1deg로 나타나 제초기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Remote Controlled Weeder Driven by Solar Battery Power (태양전지를 이용한 원격조종 중경제초기 개발)

  • Kim, T.S.;Jang, I.J.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32 no.2 s.121
    • /
    • pp.91-96
    • /
    • 2007
  • In this study, a prototype remote controlled weeder using solar module was developed and the evaluations of weeding, side walking and weeding performance were conducted to see if actual application was feasible in the paddy field. When traveling, the loss electric current was 8 to 15 A depending on operating and soil conditions. The average traveling speed was 0.25 m/s and the average slippage was 18%. When it side walked row by row, electric current consumption was 7 A on the average. When wheel rotors line went initially up and last down, electric current consumption was 12 to 15 A due to soil resistance. Electric current consumption when shifting wheel rotors line was less than 5 A due to no resistance. Field efficiency was 105 min/10a based on the test field. Operation was able to be done for 4.16 hours continually by 52 AH battery based on 300 W average maximum power consumption and 4.6 hours under sunny day considering solar module.

Analysis and Isolation of Cultivator Vibration transmitted to Hand (손으로 전달된 관리기 진동의 분석과 방진 대책)

  • 박영준;채문권;김경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104-110
    • /
    • 2002
  • 본 연구는 보행형 관리기의 손으로 전달되는 진동특성을 실험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며 방진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관리기의 작업기 중에서 설문을 통해 사용 빈도가 높은 3개의 작업기(중경로터리, 중경제초기, 구굴기)를 선정하였고 각 작업기별 진동수준을 측정하였다. 진동 방지 방안에 대해서는 4개의 방진 장치(고무 패드, 방진 장갑, 핸들 방진 장치, 엔진 마운트)를 선정하여 각 방진 장치별 진동수준을 측정하였다. 방진 장치의 성능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진동의 측정은 진동수준이 가장 높은 구굴기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관리기 작업이 작업자의 인체에 해를 끼칠 위험이 매우 크지만 이 결과는 작업자가 매일 3시간씩 관리기를 사용할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한 값이기 때문에 실제로 관리기 사용일수가 많지 알은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용자들에게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그렇다 하더라도 관리기의 주 사용자는 보행형 관리기 뿐만 아니라 보행형 경운기나 보행형 이앙기 등의 손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심한 기계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하면 방진 장치를 개발하거나 진동수준이 낮은 농작업기계를 개발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농작업기계에 대한 진동수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와 그에 대한 대책 마련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Weeding Effect of Using Soybean Cake and Cultivating Weeder Together in Rice Bran Farming (쌀겨 이용 잡초관리시 대두박 혼합 및 중경제초기 병용 효과)

  • Ahn, Seung-Hyun;Kim, Sun;Im, Il-Bin;Moon, Youn-Ho;Cha, Young-Lok;Bark, Surn-Teh;Koo, Bon-Cheo;Suh, Sae-Jung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30 no.3
    • /
    • pp.266-27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weeding effect by rice bran farming technique. In the weeding effect experiment by application timing control of rice bran and soybean cake, weeding efficacy was the highest at the treatment of conventional application of rice bran. The treatment of soybean cake with rice bran was unfavorable, but Echinochloa crus-galli occurred little at the treatment of soybean cake at 5 days after transplanting, so it is thought that further study about inhibitor of early E. crus-galli occurrence in soybean cake is necessary. Cultivating weeder was effective at the treatments of rice bran and soybean cake together, of which weed occurrence was more than conventional rice bran, and precise experiments about cultivating weeding time and method will be necessary.

Performance Analysis of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Weeding Implement such as Slope Land (경사지 제초 작업기의 전자제어시스템 성능분석)

  • Park, Won-Yeop;Hong, Sung-Ha;Lee, Jae Min;Lee, Sang-Si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8 no.3
    • /
    • pp.229-23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weeding implement that can operated at various areas such as slope land and inclined road side. The weeding implement consists of five main parts;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the hydraulic system, the main frame, the boom and arm mechanism, and the rotary type weeder. And the weeding implement was developed to be attached by three-point hitch of tractor considering the use of electronic control system. As a result, the electronic control test was conducted with the weeding implement attached to tractor in slope land. The results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test showed satisfactory weeding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