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철기술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41초

ERW 용접 전후 API X70 라인파이프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변화 (Effect of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PI X70 Linepipe Steel)

  • 오동규;최예원;신승혁;정한길;곽진섭;황병철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85-192
    • /
    • 2022
  • Variations i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PI X70 steel processed by piping,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 (ERW), and post seam annealing (PSA)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the welding zone, some elongated pearlites are formed and grains coarsening occurs due to extra heat caused by the ERW and PSA processes. After the piping, the base metal shows continuous yielding behavior and a decrease in yield and impact strengths because mobile dislocation and back stress are introduced during the pip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ERW and PSA processes additionally decreased the impact strength of welding zone at room and low temperatures because some elongated pearlites easily act as crack initiation site and coarse ferrite grains facilitate crack propagation. As a result, the fracture surface of the welding zone specimen tested at low temperature revealed mostly cleavage fracture unlike the base metal specimen.

선박용 냉각기의 국부부식에 관한 연구

  • 임우조;김성진;곽남인;윤병두;심경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0
    • /
    • 2003
  • 각종 기계장치들은 고속화 및 고출력화 되고 있으며, 사용환경조건은 오염화 및 다양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 작동되는 기계장치와 설비들에 있어서 냉각장치(cooling system)는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특히, 선박 1척 당 20여개의 열교환기가 필요로 되며, 자동차, 화학플랜트,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제철소 폐열 이용장치 등 많은 곳에서 각종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고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 접하고 있다. (중략)

  • PDF

국산개발 DCS의 발전소 적용

  • 김은기
    • 전기의세계
    • /
    • 제41권9호
    • /
    • pp.5-11
    • /
    • 1992
  • DCS가 정상이면 운전원의 설정값 조작치와 현장전송기의 측정값이 비교되어 오차가 비례 적분제어로 MV신호를 H/A에 보내고, ST신호의 GOOD(PUlLSE)에 의해서 A에 연결되어 제어 밸브를 열고 닫는다. 만일 DCS가 고장이면 ST신호의 BAD에 의해서 B에 열결되고 (H/A)가 A운전이면 PID 제어값이 M운전이면 운전원 조작 신호에 의해서 제어 밸브가 열리고 닫힌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으로 DSC의 다양한 S/W를 적용하면 정밀, 제어 안정된 제어가 이루어져 발전소 안정 운전에 기여할 것이며, 기타 화학공장, 제철공장 등에 적용할 경우 기술의 파급효과가 큼은 물론 국내 자동제어 기술혁신의 디딤돌이 되리라 확신한다.

  • PDF

전기로 슬래그를 이용한 암면 제조기술개발

  • 강기홍;고인용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특별강연 및 춘계학술연구발표회(1)
    • /
    • pp.409-411
    • /
    • 2001
  • (주)서울암면은 현무암, 안산암, 백운석등의 천연원료를 사용하는 기존 공정 대신에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를 주원료로 이용하는 공정으로 암면을 제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율이 낮은 산업부산물인 전기로 슬래그, 폐주물사, 알루미늄 드로스 둥을 암면원료로 대체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험생산은 전기로슬래그와 석탄을 분체로 혼합한 브리켓트를 만들어, 기존원료의 많은 부분을 대체하여 큐폴라로에 장입하여 생산하였으며 폐주물사, 알루미늄 드로스 등의 첨가율도 조절하였다. 생산된 암면 제품은 한국공업규격인 KS F4701 암면 단열재 시험법에 규정된 규격을 만족하였다.

  • PDF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Permeable Concrete Using Slag as an Aggregate)

  • 이용구;김희덕;성휘정;최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36-240
    • /
    • 2001
  • 본 연구는 제철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고로슬래그 및 제강슬래그를 골재의 일부로 대체 사용하고 고성능AE감수제를 적정량 사용하여 고품질의 투수성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실험결과 고성능AE감수제와 슬래그를 사용하는 경우 투수계수 0.1cm/sec 이상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재령 28일의 압축강도 240kgf/㎠ 정도까지의 비교적 높은 강도의 투수성 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D-Gun과 Plasma에 의한 금속과 세라믹의 코팅기술과 기계공업에서의 이용

  • 강석춘
    • 기계저널
    • /
    • 제32권7호
    • /
    • pp.604-612
    • /
    • 1992
  • D-Gun과 plasma 코팅이라고 하는 코팅(도금) 기술은 1950년대 미국 유니온 카바이드사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되어 실용화된 이래 전세계의 산업전반에 걸쳐 꾸준히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점보 제트 여객기의 엔진으로부터 석유화학설비, 제철제강설비, 섬유기계, 인쇄기계, 제지기계, 식품기계, 발전설비, 자동화부품, 전자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산업기계 및 제품 생산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들 산업기계가 고속화, 고성능화, 고품질화됨에 따라 그 구성부품도 필연적으로 고성능의 내구성 등이 요구되어 세라믹 등 특수 코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PDF

해양 저질환경 개선을 위한 제강 슬래그의 복토재 활용 연구(II)

  • 박기영;박헌우;박광석;전희동;정시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48-349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반폐쇄형 오염 수역을 포함해 특히 양식장내 퇴적층과 같이 오염이 상당히 진행된 해저 퇴적물을 효율적, 경제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제철 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제강 슬래그를 복토재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대량으로 용출되는 황화수소와 인산염 둥은 양식 생물에 직ㆍ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역내 부영양화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초음파 가스 유량계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Ultrasonic Gas Flowmeter)

  • 황원호;박상국;정희돈;장경영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6-253
    • /
    • 2002
  •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악한 환경의 가스를 계측하기 위해서 개발한 초음파 가스 유량계와 현장 적용 결과에 대해서 기술한다. 개발된 초음파 유량계는 제철공정에 생산되는 부생가스인 LDG, COG, BFG 등의 활용에 적합하도록 개발했다. 그리고 본 초음파 유량계는 초음파 전달시간차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달 시간차 방식의 초음파 유량계를 구현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 알고리즘 및 초음파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유량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대용량 유량 검 교정 장치를 자체 제작하여 유량계 검 교정 실험을 행했고 Venturi Type의 기준유량계와 비교실험을 통해서 측정오차를 평가했다. 실제 제철공정에 1년 이상의 적용 테스터를 통해 초음파 유량계의 신뢰성을 확인했으며 현재 상업화 모델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활용 중에 있다.

제철용 고로 구조물의 열응력 유한요소 해석 (Thermal Stress Finite Element Analysis of Iron-manufacturing Furnace Structures)

  • 한대석;백점기;이제명;김원범;이만승;최우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290
    • /
    • 2005
  • 제철용 고로구조물의 안전성 위협 요인으로는, 고로자중이나 철광석 낙하 둥과 같은 기계하중 외에도 구조물 내부 온도가 최대 $1700^{\circ}C$에 이르는 고온 환경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온의 작업 환경은 고로 구성부재들의 크립손상, 열피로 문제 등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이들 고열에 의한 영향평가는 고로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 필수요소로 거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화재, 냉각판, 철피 등의 냉각시스템을 거치면서 내부의 고온 환경은 고로 외피에 이르는 동안 온도강하가 이루어진다. 급격한 온도강하는 나타나지 않지만 장기간 고로 가동에 있어 상시하중으로 작용하는 이 열원에 의해 고로 각 구부위에는 열응력이 발생하고 이 열응력과 나머지 기계적 하중의 조합에 의해 크립이나 열피로 등과 같이 고로 구조물 안전성 위해요인들이 발생한다고 분석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한 열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잠재적인 안전성 위해요인으로 알려진 열응력 발생 특성을 분석하고, 고로 건전설계 및 보수 유지 관리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개발한다.

  • PDF

유물분석 자료를 통한 백제지역의 제철과 철기 제작기술 연구 (A Study on Iron Manufacturing and Technology through Analysis Reports of Iron artifacts in the Baekje Area)

  • 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5-343
    • /
    • 2014
  • 현재까지 분석된 백제지역 출토 철기 유물의 금속미세조직과 비금속개재물 분석 자료들을 한강, 금강, 영산강 유역권으로 분류하여 조업 온도를 추정하고 제강 및 열처리 기술을 지역적 시대별 특성을 조사하였다. 세 지역 모두 시대에 관계없이 고체저온환원으로 괴련철이나 해면철이 주 제철 방법으로 판단된다. 비금속개재물의 산화물 삼원상태도로 재해석한 결과 로내 온도는 $1,100{\sim}1,300^{\circ}C$ 정도에서 조업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철광석은 자철광석이 주원료이며, $TiO_2$가 높은 것들은 사철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CaO/SiO_2$의 비율이 0.4 이상인 유물들은 석회질의 융제를 인위적으로 넣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제강은 저탄소강을 단야로에서 숯으로 가열할 때 나오는 CO, $CO_2$ gas로 침탄시키는 고체 침탄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도적으로 필요 부분의 강도를 높이는 침탄작업과 담금질을 하였던 것으로 보아 3세기에는 백제지역의 철기제작자들은 열처리 기술을 인지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