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진시스템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High-rise buildings using vibration control devices (제진장치를 이용한 고층건물)

  • 민경원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4 no.4
    • /
    • pp.10-13
    • /
    • 1991
  • 현대의 건물은 초고층화 되어가기 때문에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건물의 과다진동이 일어나며 이것은 기초분리(base isolation) 방법 또는 제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가 있다. 기초분리 방법은 지진 다발 지역에서 지진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주로 이용되며 제진장치는 지진은 물론 바람을 받는 고층건물, 타워, 다리 등의 대형 구조물의 제진에 사용이 되며 병원, 컴퓨터센터, 그리고 반도체 공장 등 정밀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의 국부적인 제진에 적용이 되고 있다. 제진장치는 수동제진장치와 능동제진장치로 대별이 되며 원리는 질량을 이용한 건물의 감쇠력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능동제진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은 과다한 설치비와 운영비 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이나 지진이 왔을 때 전력 중단이 되어 작동이 되지 않을 때가 있으므로 현재로서는 수동제진장치가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강한 바람이나 지진에 대한 건물전체의 거동은 수동제진장치에 의하여 대처하고 약한 바람과 지진 등에 대한 국부적인 제진에는 능동제진장치를 이용하는 복합제진시스템(hybrid vibration control system)이 제시되고 있다.

  • PDF

Behavior of Seismic Control system with Double Toggle Brace (이중 토글브레이스를 이용한 변위증폭 제진시스템의 이력특성)

  • Choi, Ki-Sun;You, Young-Chan;Kim, Keung-Hwan;Yang, Won-J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7-138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new seismic control system that utilize toggle brace to amplify the displacement of damper. A full scale steel moment frame was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energy dissipation system with double toggle brace.

  • PDF

Behavior of Viscous damper for passive energy dissipation system (제진시스템용 점성댐퍼 이력특성)

  • Choi, Ki-Sun;Cho, Hae-Jin;You, Young-Chan;Kim, K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3-134
    • /
    • 2010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velocity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viscous damper. From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viscous damper showed velocity 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energy dissipation capacity.

  • PDF

지진을 고려한 구조물의 면진/제진 기술개발 현황

  • 김두훈
    • Journal of KSNVE
    • /
    • v.5 no.1
    • /
    • pp.11-20
    • /
    • 1995
  • 본 글에서는 건물 및 교량의 면진/제진 기술의 연구개발과 실용화 현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면진/제진 기술의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으며 여기서 그 전체를 서술하기는 어렵다. 고량의 면진/제진 기술은 새로운 내진기술로서 금후 고량의 다경간 연속화, 장경간화, 고교가화, 엄격한 용지조건 에서의 고량건설에 중요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제진구조 시스템은 안전한 거주 셩의 관점으로부터 중소지진 및 강풍 등에 대한 외란대책으로서 실용화 기술이 진행 되고 있다. 실무적인 관점으로부터 주로 구동장치의 개발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제진구조 시스템의 성능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PDF

Cyclic Test of Shear Wall Damping Systems (전단벽 제진시스템의 반복가력실험)

  • Ahn, Tae Sang;Kim, Young Ju;Kim, Hyung Geun;Jang, Dong Woon;Choi, Kyoung Kyu;Kim, Jong R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5 no.1
    • /
    • pp.81-92
    • /
    • 2013
  • The objective of conventional seismic design is to ensure an acceptable safety level while avoiding catastrophic failures of structures and loss of life. Over the last many years, a larg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devoted into developing effective earthquake resistant systems in order to raise the seismic performance level of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amping system, which realize not only increasing seismic performance but also easy repairing after an earthquake. The proposed damping system is slit in the bottom of wall with damping devices installed in the slit horizontally aiming to dissipate energy during earthquakes. Cyclic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hysteretic behavior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Tes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s exhibit a stable hysteretic response and the energy dissipation in this system is concentrated on the damping devices.

레버 링키지를 이용한 능동형 제진 시스템 개발

  • 문준희;박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50
    • /
    • 2004
  • 능동형 제진 시스템은 전기 등의 에너지 공급을 받아 주변의 진동을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위해서는 압전 소자 등의 높은 힘과 강성을 가지며 분해능이 좋은 구동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동기 자체의 크기로 인해서 가이드의 길이가 커져 강성이 낮아지는 점과 압전 소자의 구동 거리가 짧은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레버 링키지와 정밀 스테이지를 이용한 능동형 제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중략)

  • PD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C Frame Apartment Strengthened with Kagome Truss Damper External Connection Method by Pseudo Dynamic Test (유사동적실험에 의한 외부접합형 카고메 트러스 제진장치가 설치된 RC 라멘조 공동주택의 내진성능 평가)

  • Heur, Moo-Won;Chun, Young-Soo;Hwang, Jae-Seung;Lee, K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1
    • /
    • pp.23-34
    • /
    • 2015
  • Recently a new damper system with Kogome truss structure was developed and its mechanical properties were verifi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 This paper presents a Kagome truss damper external connection method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RC frame structural system. The Kagome external connec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building structure, Kagome damper and support system. The method is capable of reducing earthquake energy on the basis of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support and building structures using Kagome damper. The pseudo-dynamic test, designed using a existing RC frame apartment for pilot application of LH corpora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seismic strengthening effects of the proposed method in terms of the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and response ductility.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osed Kagome damper method installed in RC frame enhanced conspicuously the strength and displacement capacities, and the method can resist markedly under the large scaled earthquake intensity level.

Design of a Low-rise RC Building with Damping System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제진 구조 설계)

  • Lee, Eun-Jin;Hyoun, Chang-Kook;Choi, Ki-Sun;You, Young-Cha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4-45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아직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제진설계에 대한 접근을 소개하였다. ASCE 7-05 기준에 근거하여 국내 5층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신축 건물에 제진 설계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현행 기준을 만족하면서 효과적인 제진 시스템 설계를 위한 방법을 소개한다. ASCE 7-05 기준에서는 제진 구조물 해석 시 부재력이 공칭강도의 1.5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경계비선형 해석을 허용하고 있다. 이 때의 제진 설계 프로세스는 기존의 중력하중 및 등가정적하중의 75%에 의한 단면을 가정하여 부재설계를 실시하고, 선형 시간이력 해석을 통해 제진장치 및 가새를 설계한다. 이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보정된 인공 지진파를 입력하여 경계비선형 해석을 실시하고, 밑면 전단력 및 층간변위 등의 만족여부를 검토한다. 이 때 목표성능을 완전탄성설계 또는 유사탄성설계로 정하여 목표성능을 만족하는지도 검토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 적용한 신축 건물은 유사탄성 설계를 위해 경계비선형 해석을 실시하였고, 가장 효과적인 제진 설계를 위해 댐퍼의 종류, 설치방법, 개수, 변위 증폭비 등을 변수로 한 case study를 진행하였다. 해석 결과 목표성능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가장 효과적인 제진 설계는 점성댐퍼, 이층 토글형태, 증폭비 2.0, 총 8개의 댐퍼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New Smart Passive Control Device using Shaking Table Test (진동대 실험을 통한 신개념 스마트 수동제진장치의 제진성능 평가)

  • Jang, Dong-Doo;Jung, Hyung-Jo;Moon, Seok-J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3 no.1
    • /
    • pp.27-35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the vibration control performance of the smart passive control system to suppress the undesired vibration of the structure subjected to the earthquake loadings. Smart passive control system is the MR damper-based control system augmented with electromagnetic induction(EMI) device which consists of permanent magnets and solenoid coils. According to the 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an EMI device produc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mechanical energy due to the reciprocal motions of the structure and provide it to the MR damper. The smart passive control system can be the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and maintain control system by replacing the feedback control system including sensors, controllers and external power sources of the conventional MR damper-based semiactive control system with the EMI devic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smart passive control system is evaluated through the set of shaking table test considering the various historical earthquake loa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