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직준비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 of the Weaving Preparatory Process Characteristics on the PET FabricsSensibility (제직 준비 공정특성이 PET 직물 감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eung-Ji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1
    • /
    • pp.123-12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weaving preparatory process characteristics on the PET fabric sensibility through assessment of handle, garment formability and sewability for the enhancement of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PET fabrics. For this purpose, eleven fabric specimens processed on the interlacing, pirn winder, 2-for-1 twister, weaving and dyeing and finishing processes were prepared and processing tension and interlacing intensity after each process were measured with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 PDF

Drying system of sizing machine (사이징의 건조시스템)

  • 김주석;한지석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
    • /
    • pp.26-35
    • /
    • 1995
  • 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여기에 사용하는 경사와 위사를 준 비하는 것을 제직 준비라 한다. 사이징(sizing)은 원사에 풀을 먹이는 제직 준비 공정의 한 가 지로서 제직시에 발생하는 마찰, 긴자으로부터 사(사)를 보호하여 제직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에서 호재가 균일하게 접착되고 양호한 품질로 대량생산을하여 경제 적인 합리화를 이루기 위하여 기계 사이징을 한다. 그림 1은 일반적인 합성 섬유용 사이징기의 구조이다. 호재는 용액상태로 준비되며, 원사는 호재용액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연결되는 다음 공정에서 용이하게 취급되도록 건조되어 권추된다. 표면에 점성이 높은 호재가 부착된 원사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이 사이징기 건조부의 역할이며, 가공되는 원사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각 원사의 특성에 적합한 건조방법이 발전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건조시스템의 이론적인 고찰과 신합섬용 사이징기 SUPER-500에 대한 건조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소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 PDF

A Study on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T Filament Yarn (V) (PET 絲의 물성 편차에 관한 연구(V))

  • 홍성대;김승진;심승범;김소연;김연숙;박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28-328
    • /
    • 2002
  • PET 絲의 특성은 중합단계나 방사, 연신 등의 원사제조공정의 공정조건뿐 아니라 사가공 공정을 거쳐 winding, 2-for-1 twisting, sizing등의 제직준비 공정과 제직 공정에 의해서 물리적인 특성이 크게 변화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치면서 품질과 성능변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정요소는 온도, 시간 그리고 장력이다(37). PET 絲는 공정을 거치면서 역학적 특성이나 열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공정관리 면에서 middle stream의 중소기업들이 시행착오에 의해 공정조건을 결정하는 현실에 처해있다. (중략)

  • PDF

A Tendenc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chine Development of Filament Composite Yarns (II) (필라멘트 복합사 제조기술과 기계 개발 동향(II) -인터레이스 노즐과 복합사 제조장치-)

  • Kim, Seung Jin;Kim, Tae Hun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9 no.1
    • /
    • pp.50-60
    • /
    • 1997
  • 최근섬유산업의 어려움은 국내 섬유산업이 시작된 이래 최대의 위기상황이라고까지 불리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 반도체산업의 불황국면의 예견은 전체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섬유산업의 재건을 꾀할 기회가 아닌가 보여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개발만이 한국 섬유산업이 살아갈수 있는 방향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최근 絲 생산업체에서는 모두 복합사의 생산에 모든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술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絲加工 공정을 포함한 제직준비 공정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사 생산기술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본고에서는 인터레이스 노즐 종류별 絲 제품 개발 방향 및 Taslan 노즐과 이들 인터레이스 노즐을 이용한 특수 絲 개발 가능성 그리고 기타 여러가지 제직 준비시설을 이용한 특수 복합사 제조기술을 서술함으로써 중소기업 위주로 구성된 복합사 제조기업에 기초 기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Pin과 Belt type 가공사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전계현;김승진;이응곤;이종걸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82-385
    • /
    • 1998
  • 폴리에스테르 직물 제조 공정은 원사에서 사가공 공정을 거쳐 제직 준비 및 제직 공정, 염ㆍ가공 공정으로 분류된다. 이들 공정 중 사가공 공정에서 DTY 사를 제조할 때의 가사 방식에 따라 생산된 사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DTY 사의 품질은 사가 가지는 Bulky 성에 따라 그 품질을 평가하는데 이러한 사의 벌키성은 직물이 가지는 촉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가공사의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T Filament Yarn(IV) (PET 絲의 물성 편차에 관한 연구(IV))

  • 심승범;김승진;서봉기;김연숙;박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1-84
    • /
    • 2002
  • 합섬필라멘트 사는 직물제조 공정을 거치는 동안 수많은 장력과 열처리를 받게 된다. 이러한 장력과 열처리는 열수축과 열응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최종 제품의 물성에 큰 영향$^{1)}$ 을 미치며 경사줄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제품의 상품적 quality를 떨어뜨린다 이런 합섬직물의 경사줄 발생은 우선 원사물성 data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인해 그 다음 공정인 제직준비, 제직, 염색ㆍ가공공정에서의 미비한 공정관리로 발생할 소지가 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본 연구실에서 계속해온 연구결과$^{2)~6)}$를 바탕으로 국내 7개 회사의 PET SDY 75d/36f의 습ㆍ건열 수축률, 열응력에 관한 cheese layer간의 편차를 조사 분석하므로서 경사줄 발생을 줄이기 위한 원사의 기본 물성 data를 기업에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략)

  • PDF

POY 물성과 가연조건이 가연사 습ㆍ건열수축률에 미치는 영향

  • 박경순;김승진;정기진;강지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67-171
    • /
    • 2003
  • 최근 다양화된 합섬소재의 등장으로 인해 원사가 다양화되고 그에 따른 가공기술 등의 공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이들 소재의 기본이 되는 원사의 물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부가가치의 직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들 원사의 특성뿐만 아니라 원사 이후의 공정 특히 사가공공정에서의 각 공정에 따른 사의 물성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합섬 필라멘트의 경우 원사제조 후 제작준비와 제직, 염색ㆍ가공공정을 거치면서 여러 가지 습ㆍ건열 열처리 온도변화를 받게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