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주 연해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tennarius commerson, a New Record of the Commerson's Frogfish (Lophiiformes: Antennariidae) from Korea (제주도 남부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아귀목 씬벵이과 한국 첫기록종, Antennarius commerson)

  • An, Jung-Hyun;Kim, Byung-Ji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4 no.3
    • /
    • pp.218-222
    • /
    • 2022
  • Based on a single specimen (207.0 mm SL)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ennarius commerson were described as the first reliable record from Kore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globose body covered with small bifurcated spinules, three dorsal spines including a naked illicium and attached pectoral lobe, 13 dorsal fin soft rays, 8 anal fin rays, and 11 pectoral fin rays. We adopted a tentative Korean name previously suggested, "Keun-ssin-being-i", for the species.

Redescription of the Glasseye Snapper Heteropriacanthus cruentatus (Perciformes: Priacanthidae)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연안에서 채집된 뿔돔과(Priacanthidae) 큰눈홍치 Heteropriacanthus cruentatus (Perciformes: Priacanthidae)의 재기재)

  • Choi, Youn;Lee, Heung-Heo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2 no.2
    • /
    • pp.126-128
    • /
    • 2010
  • Morphological characters of Heteropriacanthus cruentatus are re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 single specimen (179.3 mm SL)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dark brown spots scattered on the caudal fin and the soft-rayed portions of the dorsal and anal fins, and 59 pored lateral line scales.

현장취재 - 전국닭질병방역순회세미나 개최 - 철저한 자율방역의식 고취와 올바른 질병관리 지침 전달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1 no.6
    • /
    • pp.78-81
    • /
    • 2009
  • 저멀리 북아메리카에서 신종 인플루엔자 A(H1N1)가 발생해 곧이어 국내에도 감염자가 입국했다는 뉴스가 긴급하게 보도 되었다. 다행히 추가 감염자 발생으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불안감을 떨쳐 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축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에 대해 의혹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축산물에 대한 지식이 높아만 가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 양계인들이 소비자들의 높은 인식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본회는 질병관리에 대한 예방법과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교육과 토론을 같이 공유 할 수 있는'전국닭질병방역순회세미나'를 개최 하였다. 수도권을 시작해 세차례에 걸쳐 전국을 순회하는 이번 세미나는 5월 15일 충북음성의 '반석가금진료연구소', 5월 18일 전북 전주의 '삼성생명전주연구소', 제주도 '칼 호텔'에서 연 인원 650여명이 참석해 질병세미나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특히, 제주도는 뉴캣슬(ND) 및 조류인플루엔자(AI)의 청정지역으로서 신종질병 등에 대해 다시한번 재인식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본고는 세미나 기간 중 주요하게 다루어졌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를 함으로써 세미나에 참여하지 못한 농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GP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GPD 모형 및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악형 강수 해석)

  • Um, Myoung-Jin;Yun, Hye-Seon;Cho, Won-Cheol;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53-105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산악형 강수 해석을 위해 제주도내 강우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산정 및 고도와의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도내 강우관측 자료는 기상관서 4개소 및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동기상관측소) 13개소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확률강우량 산정시 AWS 강우관측 자료는 AMS(Annual Maximum Series, 연 최대치 계열)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자료기간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짧은 자료기간에 적합한 PDS(Partial Duration Series, 부분 기간치 계열) 모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DS의 대표적인 분포형인 GPD(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를 적용하여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과 고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확률강우량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재현기간이 길어질수록 고도에 따른 확률강우량 증가율도 증가하였다. 다만, 재현기간과 관계없이 지속시간이 짧을 경우 확률강우량과 고도와의 선형 관계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for Atmospheric Aerosols between Gosan Site and 1100 Site in Mt. Halla, Jeiu Isalnd (제주도 고산지역과 한라산 1100고지 대기 에어로졸의 특성 비교)

  • 고희철;강창희;고선영;고수연;김용표;한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74-375
    • /
    • 2003
  • 산업화에 따른 화석 연료의 연소, 기타 오염원에 의하여 생성되는 대류권의 에어로졸은 전 지구적인 평균값으로 볼 때, 약 -0.5 W/$m^2$의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음의 복사강제력은 일산화탄소, 염화불화탄소, 메탄 등과 같은 온실기체에 의한 양의 복사강제력을 상쇄시키는 정도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추측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청정지역으로 꼽히고 있는 제주도 고산 측정소와 한라산 1100 고지 지역에서 에어로졸 시료를 채취하고, 고도에 따라 에어로졸 조성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고도에 따라 에어로졸 성분의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First Record of a Deep-dwelling Goby, Obliquogobius yamadai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제주도 남부 외해에서 출현한 망둑어과(농어목) 한국미기록종, Obliquogobius yamadai)

  • Kim, Byung-Ji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5 no.1
    • /
    • pp.38-41
    • /
    • 2013
  • A deep-dwelling goby, Obliquogobius yamadai, was described as the first record from Korea based on three specimens (30.3~47.0 mm SL)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f Jeju Island.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I, 9 second dorsal fin rays, scaled lateral side of nape, smaller head with large eye, and asymmetrical caudal fin dorsoventrally as well as about nine yellowish bars on body side. A new Korean name, "Gip-eun-ba-da-no-ran-ddi-mang-dug", is proposed for the species.

A new species of Viola (Violaceae): Viola ramiflora K. O. Yoo (제비꽃속(제비꽃과)의 신종: 가지제비꽃(Viola ramiflora K. O. Yoo))

  • KIM, Kyung-Ah;LEE, Ho;CHEON, Kyeong-Sik;YOO, Ki-Ou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9 no.2
    • /
    • pp.140-144
    • /
    • 2019
  • A new taxon, Viola ramiflora K. O. Yoo (Violaceae), from Jeju-do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V. ramiflora shares several characteristics (pale purple flowers; triangular-ovate, ovate, or oblong leaf blades; winged petioles) with the related species V. hirtipes, V. japonica, V. phalacrocarpa, and V. seoulensis. However, this new species has branched cleistogamous and chasmogamous peduncles and oblong-ovate cleistogamous bracteoles.

Geomorphic Landscapes of Jeju Island Depicted in Ten Sceneries of Tamra (탐라십경도에 표현된 제주도의 지형경관)

  • Kim, Tae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149-164
    • /
    • 2014
  •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in Jeju Island called as Ten sceneries of Yeongju originates with Ten sceneries of Tamra which were organized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by Jeju governor Lee Iktae. In order to compose ten representative sceneries in Jeju Island, he selected four strongholds such as Jocheon, Byeolbang, Seogwi and Myeongwol and six places of scenic beauty such as Seongsan, Baekrokdam, Yeonggok, Cheonjiyeon, Sanbang and Chwibyeongdam, and made a painting named as Ten sceneries of Tamra. Since the scenes of strongholds also exhibit a lot of geomorphic landscapes, the painting could be considered a collection of representative landforms in Jeju Island. The painting depicts several types of landform such as volcano, crater, river, waterfall, pool, wetland, cavern, tor and rocky coast. The volcanic edifice appears most frequently in the painting, reflecting the particular emotion of Jeju people on Mt. Halla and oreums. However, another volcanic landform, a lava tube, was not highly evaluated due to its negative images. Three famous waterfalls in Jeju Island were included in Ten sceneries of Tamra, and it suggests that they are essentially outstanding landforms, and besides, there are few sites related with fresh water in Jeju Island. The ten sceneries were entirely organized in spite of the limitation of selecting places at that time. The landscape images of Jeju Island, which had been shared as collective representation by Jeju people, were firstly externalized through Lee Iktae's painting, and have long been passed down and established a kind of scenic stereotype.

희귀식물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et)의 자생지 분포현황 및 생육상황

  • Kim, Ji-Eun;Kang, Young-Je;Kim, Jin;Byun, Kwang-Ok;Kim, Chan-So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69-69
    • /
    • 2002
  •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et)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드물게 교목으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식물이다. 이 종의 주요 분포대는 동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로 제주도는 위도 상 북한계로 알려져 환경부 지정 보호식물 제 39호로 지정\ulcorner보호하고 있으나 자생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지의 현황과 생육상황을 파악하여 자생지 보전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갈매나무과는 세계적으로 58속 900여종이 분포하고, 갈매나무속(Genus Rhamnus), 헛개나무속(Genus Hovenia), 대추속(Genus Zyzyphus) 등이 주요 속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갯대추속(Genus Paliurus)은 과실이 건과이고 날개가 있는 특징으로 다른 속과 구별된다. 꽃은 양성화로 7월~9월에 피고, 화서는 수 개의 꽃이 달리는 취산화서, 열매는 반구형으로 과병에 연한 갈색의 복모가 있으며 얕게 3부분으로 갈라져 각 실마다 편평한 공모양의 종자가 1개씩 들어있다. 갯대추 자생지는 제주도의 동부지역인 북제주군 구좌읍 김녕에 1개소, 남부지역인 남제주군 남원읍 태흥에 1개소, 서부지역인 북제주군 한경면 용당에 1개소, 한경면 용수에 1개소, 한경면 신창에 3개소 및 남제주군 대정읍 일과에 2개소 등 총 6지역 9개소였다. 분포지는 해발 20m이하의 해안가 토심이 얕은 암반 위였으며, 주로 해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이었다.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바다 쪽으로 갈수록 수고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소 0.3m, 최대 4.5m였고 평균 1.6m 정도였다. 수반종으로는 순비기나무와 갯기름나물, 갯까치수영 등 해안식생의 구성종이 대부분이었으며, 돌가시나무, 상동나무 등도 혼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생지 위협요인으로는 양식장 시설, 도로개발, 해안매립 및 쓰레기 투기 등과 같은 인위적 간섭과 상동나무 등 주변식물의 피압이 주 요인이었다. 한편 갯대추는 희귀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해류에 의해 전파되는 종으로 알려져 있어 제주도의 식물지리학적 연구에도 좋은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므로 종 보전대책 및 자생지 보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 Factors of Public Wi-Fi in the Jeju Province (제주도 공공와이파이의 입지 특성과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Heungsoon;Choi, Seungho;Lee, Hamin;Lim, Hawon;Oh, Yunchan;Kim, Seong-A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4
    • /
    • pp.1-13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Jeju's public Wi-Fi policy for which the key factors of public Wi-Fi us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in a 100 m radius of public Wi-Fi access points. In the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public Wi-Fi usage time whil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demographic factors, location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 findings reveal tha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residents,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 number of visitors ha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public Wi-Fi. In addition, the number of bus stops and land prices of each parcel, land use mix, and AP installation perio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public Wi-Fi.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buildings by use, the total floor area of buildings, and the number of tourist attraction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ublic Wi-Fi usage time. These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at more active publicity on Jeju's public Wi-Fi is needed and the convenience for access needs to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