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주지역

Search Result 2,19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Land price stabilization plan by Developing Prediction model of Land price -Focusing on Jeju special delf-governing province- (토지가격 예측 모형 개발을 통한 토지가격 안정화 방안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Kang, Kwon-Oh;Yang, Jeong-Cheol;Hwang,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0
    • /
    • pp.170-177
    • /
    • 2017
  • The price of land in Jeju is reaching a new high every day and this phenomenon not only causes real difficulties for the purchase of real estate by local residents, but also results in psychological depriv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causing the increase of the land price in Jeju, in order to examine the measures required to stabilize the land price which is continuously ris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eveloped a land price prediction model including seven variables, including the 'inflation rate', 'interest rate', and 'population'. According to the model, land prices in Jeju are expected to rise steadily, and it is predicted that in 2020 the price will increase to 170% of that in 2015 and will triple by 202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such as 'Establishing a tourism policy for managing the number of tourists' and 'increasing the approval standards for development activities'. The two policie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as a regional initiative, which may be less effective than the changes in the national system, but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orts to stabilize the land price will continue at the regional level.

The Study Establishes Development Strategies on Chasabonpuri (<차사본풀이> 스토리텔링 개발 전략 연구)

  • Lee, Chang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560-573
    • /
    • 2016
  • Endeavors have been made for the last decades to make resources of local myths and legendary tales among local culture contents. Jeju as well has made efforts to develop diverse legendary tales as content products. However, there has yet to yield any visible outcome in any region, and they still remain as mascots only for festivals and/or local events.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culture content development infrastructure, and that there is absence of strategic approach to regional culture content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establishes development strategies for legendary tale resources focusing on Chasabonpuri, one of Jeju legendary tales, and explores as what types of popular culture contents it can be developed.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II)

  • 고기원;박윤석;박원배;문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67-72
    • /
    • 2003
  • 제주도 동부지역에 설치한 심부관측정과 지하수 개발공에 대한 시추코아 지질검층, EC 및 수온검층, 지하수위 관측, 수질조사 등의 자료를 기초로 이 지역의 지하지질 분포와 지하수 부존특성에 대해 해석을 실시하였다. 제주도 동부 해발 200m 이하지역은 평균 해수면 하 90~120m 깊이까지 투수성이 좋은 용암류 누층으로 이뤄져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서귀포층 상부에 유리쇄 설성 각력암층(hyaloclastite breccia)이 두껍게 분포하고 있어 담수지하수의 확산과 해수의 유입이 잘 일어날 수 있는 지질상태를 이루고 있다. 특히 서귀포층은 G-H비에 의한 담.염수 경계면 분포 깊이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고 있어 제주도 서부지역에서처럼 담수지하수를 저류 해주는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동부지역 지하수체는 수직적으로 담수지하수, 저염지하수, 염수지하수로 구분할 수 있으며, Ghyben-Herzberg 원리가 적용되는 담수렌즈(기저지하수) 두께는 일반적인 G-H비 보다 훨씬 얇은 평균 1:20의 비율을 나타냈다. 담수렌즈는 대체로 해안으로부터 내륙쪽 8km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담수렌즈 포장량은 822백만톤(공극율 5%)에서 1,970백만톤(공극율 12%)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 PDF

Jeju Type of Crime Analysis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제주지역 범죄발생 유형 분석 및 전략적 대응 방향)

  • Kim, Jung-Wan;Jo, Hyun-B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7
    • /
    • pp.169-175
    • /
    • 2012
  • It is the fact that crime has always co-existed with human history;that preventive measures have always been taken while it has been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some forms. We, in the meantime;should not be negligent in the matter that our preventive measures are rather short sighted, and non strategic in many ways. Now then, would we be able to question, if our modern crime preventive measures have been modernized and become more strategic? Certain point has been raised to myself;especially regarding (community oriented policing cop); this has been one of the strategic crime preventive measures co-performed by the central police;Jeju-special independent province maybe an appropriate example; which has become special self rule province in July, 2007; establishing not only independant police but also have established police station addition to already existing police stations. To proof my opinion; I have tried to compare and contrast the statistics of the crime rates and types of the Jeju area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elf police and police station; also to see how patterns changed.(if there has been any.) I have also tried to analyse if there is any special type of crime statistics in Jeju province, by analysing current crimes in accordance to populations. Altough it has not much reached my initial expectations, I hope it still is meaningful to have been able to show some ways to prevent crimes in Jeju-strategically.

제주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

  • Jeo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4-4
    • /
    • 2010
  • 식물자원은 예로부터 인류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으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한 많은 재화를 공급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자원의 가치는 인간생활의 기초적 의 식 주 뿐 만 아니라 질병치료를 위한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아열대권 생물자원의 확보 및 관리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아열대 자원 및 동북아섬 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전진기지로서 최적지이며, 난대, 온대, 한대 및 아고산대에 걸쳐 2,100여종의 식물자원이 분포하는 생태계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신하를 보낸 곳이 제주도라고 전해지고 있는 만큼 이는 제주가 많은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이 그 옛날에도 알려져 있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제주에 분포하거나 재배되는 식물 중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으로 잠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식물은 550여 분류군으로서, 양치식물 43종류, 나자식물 6종류, 단자엽식물 31종류, 쌍자엽식물 370종류 등이다. 이러한 자원식물 중 상록성 목본 31종류, 낙엽수 105종류, 만경류가 51종류, 초본류(1년초 또는 다년초)가 358종류이며, 뱀톱, 천남성, 박새 등 독성을 가지는 식물도 43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록 기존 알려진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이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나 그 약효나 효능의 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나머지 자생식물까지 포함하면 상당수의 제주 자생식물이 자원식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으며,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을 소재로 한 향장품 및 건강기능성 식 의약품을 포함한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역도 청정지역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미래 제주 창출을 위한 신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제주 자원식물들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추진하면서 제주 자원식물들의 새로운 잠재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내 추진노력 및 관련 산업현황 등을 정리하여 몇가지 견해를 제기하고자 한다.

  • PDF

Farmers perception of and adjustment to typhoon hazards on Cheju island, Korea (태풍재해에 관한 제주도 농부들의 인식과 적응도 연구)

  • Kim, Wook-Jo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 /
    • pp.93-114
    • /
    • 1989
  • 거의 해마다 내습하는 태풍위험을 제주지역 농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적응하고 있는지 아울러 이와같이 연례행사처럼 발생하는 태풍재해 문제 해결에 있어 정부관계기관의 역할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위 연구과제를 살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이 전제되었다. 첫째, 태풍과 같은 자연발생적 위협과 빈번한 접촉내지 오랜 경험은 인간에게 위험과 손실을 준다는 자각으로 이끌며 또한 장차 발생의 정확한 예측에 비교적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들은 그와같은 자연발생적 위협으로부터 일시 피하거나 위협지역으로부터 아주 떠나 버린다기 보다 오히려 적응이라는 선택을 취한다. 둘째, 인간이 이와같은 위협지역 제주도와 같이 사회문화적인 특성이 뚜렷한 지역에 삶의 터전을 가지고 있는 것은 경제적 요인에서라기보다도 사회문화적 바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셋째로, 정부의 이와같은 자연발생적 재해문제 해결은 해당 지역 거주주민들과 보다 긴밀한 컴뮤니케이션과 함께 정부나 컴뮤니티를 통한 자연재해에 관한 계몽교육을 강화함으로서 그 역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총 113명의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가구주들을 제주도의 상습태풍재해지구에서 무작위 단게별군집(Random-cluster Stratified Sampling)방법에 의하여 선별하고 태풍위협에 대한 개인별 재해인식과 인간 적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된 설문서를 통하여 각기 면담, 연구분석자료가 수집되었다. 제주농부들의 태풍에 대한 자각과 적응은 제주도 나름의 풍토에서 오랜 삶의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결과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한편, 장차 태풍 내습에 대한 그들의 예측은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태풍재해에 대한 적응은 동기적이고 예방적 즉, 농부들은 재해의 근원적 소멸을 위해 재해지역을 떠난다기보다 오히려 피해를 감수하고 있었으며 또한 그들의 기본 영농방법이나 작물의 대체를 급격히 전환한다기 보다 부분적으로 수정, 변경시켜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들의 적응과정은 현대적 영농기술과 그들 특유의 전통적 방법을 혼합 병행하고 있었으며 가족이나 친척 이웃과의 유대관계가 재해지역에 거주하는 지배적 이유로 나타났다. 또 한편, 해당연구지역 농부들은 태풍피해에 대한 정부의 보조를 알고는 있으나 그것이 재해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고 있다. 그들은 더욱 많은 재정적 보조를 희망하는 것만큼 연례저긍로 내습, 피해를 주고 있는 태풍재해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좀더 효과적 예방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 PDF

Rural Change by Increase in Urban-to-Rural migrants in Jeju Island (귀농·귀촌인구 증가에 따른 제주도 촌락지역의 변화)

  • Bu, Hye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2
    • /
    • pp.226-241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rural change by increasing in urban-to-rural migrants in rural Jeju. In particular, the author analysed changes in rural area focusing on non-agricultural sector and local organization. Urban-to-rural migrants into rural Jeju have been causing increase in tourism business. Such an increase in tourism business caused increase in construction of service space and changes in land use. Meanwhile, the local organization formed by urban-to-rural migrants has differences in its members and its activities and implementing system of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native local organizations. The Seowgipo Rural Migrants Cooperative, which is the research target, has characters of urbanism even thoug it was formed in rural area.

  • PDF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y in Jeju Area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 Cho, In-Sook;Kim, Su-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31-42
    • /
    • 2010
  • To expand the cultur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a requisite for satisfying cultural needs and meet residents' diverse requirements of cultural welfare due to the improved level of income and the increased amount of leisur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es on the actual state of cultural programs operated by public libraries in Jeju Island and on cultural program users' satisfaction at public libraries, along with a survey with those in charge of the cultural programs to find out problems with operation of the programs and suggest loc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ltural programs at public libraries in Jeju Island.

Mode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oe Deer (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제주 노루(Capreolus pygargus)의 서식지 선호도 분석)

  • KIM, A-Reum;LEE, Jae-Min;JANG, Gab-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4
    • /
    • pp.139-151
    • /
    • 2017
  • The habitat preference of roe deers(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South Korea was analyzed by using their occurrence probability in MaxEnt model in this study. Totally 490 surveying data were gathered and 15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hosen for the model in which 6 variables out of 15 ones were filtered and finally removed because of there being higher correlation(over 0.7 in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modeling, roe deers were known to prefer the area ranging from 200 to 700 meter and over 1,500 meter in sea level, where there were not many dominant tree and/or dominant vegetation with low density so that understory vegetation can grow well with plentiful sunlight and can be used as a food of herbivore like roe deers. Otherwise, the region ranging from 700 to 1,500 meter was mostly covered with high density vegetation which cut off sunlight trying to penetrate through the dominant vegetation. It can cause a lower density of vegetation on surface, which can not attract to roe deers.

Organization of KSS Jeju-district for CMIS Construction (CMIS 구축을 위한 제주지역 조직 구성)

  • Soh, Dea-Wha;Bae, Doo-An;Kim, Yong-Chul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2
    • /
    • pp.75-79
    • /
    • 2006
  • 학회 조직의 구성과 운영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 방식을 선택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조직의모체로써 본부를 두고 필요에 따라서 국내외 지역에 지부 또는 지회를 두어 설립목적의 학술활동을 수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동굴의 지역적 분포 특성과 동굴마다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할 때, 동굴학회의 특성상 각 지역 지부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라고 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 우리 학회가 추구하는 동굴의 효율적 관리와 보존 방안으로 동굴관리정보시스템(CMIS) 구축을 위한 노력 경주와 그 기반형성의 지역 조직구성을 공고히 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화산동굴 유산을 지니고 있는 제주지역 조직구성이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강조하며, 그 추진을 희망하여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