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 프로토콜

Search Result 1,768,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Integration method of inside home control network for interoperability among the control devices using in home network system. (홈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하에 상호 운용성을 가지는 댁내 제어 네트워크의 통합 방안)

  • Kim, Chung-Whan;Hwang, Chong-Sun;Song, U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263-1266
    • /
    • 2005
  • 댁내의 제어 네트워크는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같은 가전제품과 전등, 가스 경보기, 보일러 등에서 제품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8Bit 이하의 비교적 저 기능의 마이컴을 채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통신을 위한 각 기기 고유의 통신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각각 다른 통신 방식으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하나의 통합된 댁내 제어 네트워크 구성은 매우 어렵다. 이에 기존 제어기기 각각의 프로토콜을 유지한채 모든 제어기기의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은 새로운 프로토콜을 만들어 기존 기기의 프로토콜을 Wrapping 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제어기기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Wrapping 할 수 있는 통합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하나의 통일된 제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IP 기반 이동성 제어 기술

  • Jeon, Se-Il;Kim, Yeong-H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2
    • /
    • pp.38-43
    • /
    • 2009
  • SIP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로 IP 기반의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뿐만 아니라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세션 제어를 위한 핵심 프로토콜이다. 이를 이용한 SIP 이동성 제어 기술은 Mobile IP 기반 네트워크 레벨의 프로토콜과 함께 차세대 이동성 제어를 위한 기술로 주목된다. 본 고에서는 All-IP 환경에서 SIP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동성 제어 기술을 알아보고, 이종 액세스 망 환경에서 망의 특징 및 요구사항에 따른 SIP 이동성 제어 기법을 소개한다.

Application Server Evolution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Core Network (코아망 변화에 따른 응용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진화)

  • Song Chang-Hwan;Han Sung-Kab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264-266
    • /
    • 2003
  • 통신망의 진화에 따라 응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를 제어를 제어하는 코아망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현재 유무선망의 신호 제어에는 SS7 기반의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선에서는 INAP, 무선에서는 WIN, CAP 등의 최상위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다. VoIP 망에서는 SIP과 H.323 프로토콜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적으로 SIP을 보다.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차세대망인 NGN에서 코아망은 IP망으로 변화되며 SIP를 주로 이용한다. 그리고 개방형 망을 제공하기 위해 Parlay/OSA API를 도입하고 있다. 그 외에도 망의 변화에 따라 또 다른 프로토콜이나 API의 사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망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응용서비스 제공 플랫폼은 코아망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망에 따라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응용서비스 제공 플랫폼에서 응용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로직의 수행 환경과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계층을 분리하고 프로토콜처리 소프트웨어를 모듈화 시킴으로써 그 기능군을 쉽게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BACnet MS/TP Protocol (BACnet MS/TP 프로토콜의 실험적 성능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Tae-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744-1745
    • /
    • 2011
  • 네트워크 기반 제어시스템에서 상위 제어시스템의 성능은 하부 네트워크 시스템의 성능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반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역시 하부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및 성능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빌딩자동제어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로 개발되었으며, ISO에 의해 국제 표준 규격으로 제정된 BACnet의 하부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중 필드레벨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BACnet MS/TP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A Strategy for Robot Tele-operating Communication (로봇 원격제어 통신 방안)

  • Choi, You-Rak;Lee, Jae-Cheol;Kim, J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04-2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극한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봇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 모듈 구현의 제약 조건을 기술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원격제어는 오퍼레이터가 원격지 로봇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인식하면서 로봇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특성을 갖는다. 오퍼레이터와 원격지 로봇 사이에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제어를 수행하므로, 통신 속도와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현재의 통신 상태 보장 방안도 필요하다. 네트워크 기반 통신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의한 영향을 포함하여 TCP/IP 프로토콜의 경우 핸드쉐이크와 혼잡회피 알고리즘 등에 의한 논리적 통신 속도의 지터가 발생하므로, 로봇 원격제어 시 이 문제를 충분히 검토해야한다. 로봇 원격제어를 위해서는 TCP/IP는 물론 UDP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과 시리얼 통신 기반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는데, 송수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프로토콜을 적용해야하며 통신 라인의 연결 상태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제어시스템 ICCP 프로토콜 사이버 보안 현황

  • Kim, SungJin;Shon, Taeshik
    • Review of KIISC
    • /
    • v.24 no.5
    • /
    • pp.32-38
    • /
    • 2014
  • 전력시스템에 IT를 결합한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중 전력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력시스템 제어센터 간 통신을 담당하는 것이 ICCP 프로토콜이며, 주로 중앙급전소와 지역급전소간의 전력망 정보들을 교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프로토콜은 단지 전력망의 정보교환 뿐 아니라 전력기기제어 기능도 가지고 있다. ICCP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중앙급전소의 경우 주요 국가기반시설로써 사이버테러에 더욱더 공고한 대응체계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IC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구간은 일반적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그 안전성을 담보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분리를 통한 보안성 향상 기법이 체계적인 관리와 함께 수반되지 않으면 인적 취약성이나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기기를 통한 물리적 취약성에 지속적으로 노출 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 사고의 잠재적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외부네트워크와 분리된 제어센터들도 향후 더욱더 높은 수준의 보안 기술을 적용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제어센터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ICCP 프로토콜의 사이버 보안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해당 프로토콜의 보안 위험성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고찰한다.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CP over networks of mobile with delaying congestion control in Snoop (Snoop 프로토콜에서 혼잡 제어 지연을 통한 이동망상에서의 TCP 성능향상 기법)

  • Kim, Yong;Sung, Ho-Cheol;Hyeon,Ho-Jae;Han, Sun-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3
    • /
    • pp.351-358
    • /
    • 2001
  • 무선망에서는 유선망에 비해 그 특성상 비교적 많은 패킷을 손실된다. TCP 프로토콜은 흐름제어나 에러정정,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 TCP 프로토콜은 유선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무선망에서 혼잡한 상황에서 패킷이 도달하지 못한 경우와 실제로 패킷이 손실되어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를 구분하지 못한다. 최근까지 제시된 여러 이동망 TCP에 대한 논문은 무선망에서 패킷이 손실된 경우 혼잡 제어를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 Persist Timer를 이용하여 혼잡제어를 회피하는 방법을 기존에 제시된 Snoop 프로토콜에 적용하여 자체적인 이동망상에서의 TCP 성능향상에 더하여 연속적인 에러에 대한 성능 향상을 제고하고 있다. 개선된 Snoop 프로토콜은 WZACK(Window Size Zero ACKnowledge Packet)을 이용하여 혼잡제어를 정지시킴으로써 비효율적인 혼잡제어를 막도록한다.

  • PDF

The Design of LED Moving Light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DMX512 Protocol (DMX512 프로토콜을 이용한 LED 무빙라이트 무선제어시스템 설계)

  • Kim, T.K.;Kim, G.M.;Kang, C.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427-428
    • /
    • 2012
  • LED 무빙라이트는 기존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무빙라이트에 비해 에너지 소모율이 낮고 효율성이 높아 무대용 및 방송용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DMX512 프로토콜은 LED를 제어하는 표준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며 무대조명용, 방송조명용, 경관조명용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DMX512 프로토콜은 유선 환경에서 제어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조명은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며 제어선들의 복잡성,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선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DMX512 프로토콜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MODBUS PROTOCOL CONTROL (모드버스 프로토콜 제어)

  • Kim, Ki-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18-321
    • /
    • 2017
  • 인더스트리4.0 시대의 도래로 첨단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들의 정보를 수집,분석,가공,저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각 장비들은 통신을 통하여 모든 정보를 통합할 수 있게 하며 통신 시스템은 인더스트리4.0의 시대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표준프로토콜로 자리잡고 있는 MODBUS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통신 제어를 제안한다. 각 지원되는 기능들을 알아보고 각 프로토콜 파싱기법과 에러처리를 알아보고 MODBUS프로토콜을 만들어 통신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제어시스템 DNP3 프로토콜 취약점과 보안 현황

  • Kwon, Sungmoon;Shon, Taeshik
    • Review of KIISC
    • /
    • v.24 no.1
    • /
    • pp.53-58
    • /
    • 2014
  • 과거의 제어 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아 그 자체로 보안성을 보장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제어시스템의 디바이스들이 다양해지고 효율적인 제어를 필요로 하여 현재의 제어시스템은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제어시스템 관리 효율은 증대 되었으나, 기존 네트워크가 가진 사이버 공격에 노출되어 보안적인 요소가 필요해 졌다. 본 논문은 많은 제어 시스템의 프로토콜 중 컨트롤 센터와 변전소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3 프로토콜을 중점으로 다루며 어떠한 취약점에 노출이 되어 있는지, 어떠한 보안 요소의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지에 대해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