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 및 감시장치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Realtime Digital Monitoring and Controller Development for Power Systems (전력시스템의 실시간 디지털 중앙감시 및 제어장치 개발)

  • Jong-Dug Cho;Sun-Hag Ho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2
    • /
    • pp.1517-1522
    • /
    • 2001
  • In this paper, We propose digital protective relay which monitors the status of distribution line and controls power apparatus with real time operation. Digital protective rela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basic functions which are measurement, display and communication. The Int one we consider is that the protective device has the standard method for protecting the distribution systems which are circuit brakers, switch and emergency generators. These are Protected by analog type Protective relay and devices. The security requirements should be activated within a few seconds, and with real time operation. The second one is an efficient method for adapting the one chip micro-processor(PIC16F84) which is enable to digital control system. The proposed methods are implement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have an high fidelity characteristics in local experiment tests.

  • PDF

로봇기술을 응용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극한 작업 무인 자동화

  • 이재경;김승호
    • ICROS
    • /
    • v.2 no.5
    • /
    • pp.49-55
    • /
    • 1996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새로 개발되는 각종 신기술들이 적극 활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로봇기술을 원자력분야에 접합시키려는 노력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제한된 고방사선 구역에서의 효율적인 감시점검을 위한 원자력시설 감시점검용 이동형 로봇을 개발하였다. 환경감시 및 감시대상물의 이상상태의 점검 및 판단에 활용하기 위하여 열영상 감시장치, 방사선 준위 분포 관측장치 및 물체인식/추적장치가 탑재되도록 하였으며, 로봇의 주행 및 감시 점검 작업의 원활한 제어를 위하여 입체 영상장치, 가상현실 원격조작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동형 로봇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센싱장치들은 로봇에의 탑재 및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독립 시스템 형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장치 없이도 단독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발된 이동형 로봇은 원자력시설의 감시점검 뿐만 아니라 실제 사고 발생시의 비상사태에 대응하여 사태진압 및 사후처리 작업에 활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비원자력 분야의 극한환경에서의 응용이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of 50KW Photovoltaic System (50KW 태양광발전의 원격 감시제어장치 구축 및 분석)

  • Park, Jae-Bum;Kim, Byung-Mok;Son, Bang-Won;Rho, Dae-Seok;Yoo, Jae-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88-6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전지능화시스템과 정보 연계, 미래 지능형전력망 운용 및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등과 같은 신 에너지전원의 단지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특성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격 감시제어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감시제어장치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캠퍼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50KW급 태양광전원장치를 대상으로 유 무선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작한(AutoBase) 감시장치, PLC를 이용한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장치를 이용하여 태양광전원의 출력특성을 분석한 결과, 원격지에 설치된 대규모 태양광단지의 보수유지 관리에 필요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감시제어기술의 대안으로,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전 세계 상용 Radar Beacon의 제어 및 감시장치 개발 기술 연구

  • Jo, Mun-Bae;Gang, Chil-Se;Kim,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44-146
    • /
    • 2018
  • 해상에서 안개 등 시계불량 시 항행 위험을 알려주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레이다 비콘은 세계에서 5 ~ 6 종류를 사용하나, 발사부호 및 발사주기의 조정이 어려운 실정이며, 레이다비콘의 정상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레이다를 작동시켜 그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등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에 상용되는 레이콘을 하나의 기기에서 감시 제어 및 조정기능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 PDF

Study on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icro Gas Turbine (마이크로 가스 터빈의 감시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o, Chang-Hee;Park, Min-Kook;Ahn, Jong-Bo;Kim, Sung-S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33-1735
    • /
    • 2005
  • 최근의 소형 분산 전원의 보급 필요성의 커짐으로 전력과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 이용함으로서 종합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공해 배출 및 소음 특성이 우수한 초소형 가스터빈 발전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마이크로 가스터빈 시스템과 그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가스터빈 감시 제어장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마이크로 가스 터빈은 초고속(수만$\sim$10만 RPM)으로 회전하여 발전을 하므로 터빈 및 전동기 설계 기술과 더불어 고성능의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감시 제어 시스템은 터빈, 발전기 및 전력 변환장치를 제어하는 고성능의 DSP 제어장치들과 고속 직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의 제어 및 상태 감시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서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개발자와 운용자의 보조 역할을 담당한다.

  • PDF

광전송 시스팀을 위한 감시제어 기술동향

  • Ha, Jae-Gwon;Lee, Jong-Won;Kim, Hong-Ju;Choe, Dong-Gyeong
    • ETRI Journal
    • /
    • v.9 no.2
    • /
    • pp.62-70
    • /
    • 1987
  • 본고에서는 광전송 시스팀의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감시제어의 개요와 일반적인 원칙을 서술하고 외국의 광전송 시스팀의 감시제어 장치를 살펴보는 한편, 본 연구실에서 개발될 감시제어 장치의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 PDF

The Design of Monitoring & Control(M&C) for KUS RFS in KASS (KASS 위성통신국 RF시스템 감시제어장치 설계)

  • Kim, Taehee;Sin, Cheonsi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2 no.4
    • /
    • pp.50-55
    • /
    • 2017
  • In this paper, the design of the RF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KUS (KASS: KASS Uplink Station) which constitutes KASS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is described. The Korean satellite calibration system is named KASS and aims to develop the SBAS system of the APV-1 level SoL service level and the CAT-1 test operation technology. Software and hardware development environment, function and algorithm of supervisory control device, structure of supervisory control device, and user interface were designed to implement KUS / RFS monitoring control device. We have secured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by using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design of the COMS (Communication Ocean & Meteorological Satellite) and the Korea Satellite 5A / 7 control system, which has already been used for the design of the surveillance control system. In addition, we have made it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actual operator's request more conveniently.

An Interface System for the Telecommunication Power Monitoring Equipment (통신용 전원감시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

  • Park, Byung-Hun;Kim, Hee-Jun;Youm, Jea-K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79-80
    • /
    • 2010
  • 본 논문은 기존 통신용 전원장비를 첨단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제어 및 감시가 가능하게끔 해주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이다. 인터넷, 휴대폰 등 각종 통신이 발전함에 따라 통신용 전원장비도 날이 갈수록 정밀해지고 고용량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장비의 관리 및 유지보수비용 또한 상당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비용절감을 위한 연구와 다양한 운영방법들이 논의 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통신장비의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위한 원격 감시 제어 환경 속에서 원격지의 전원장비들과 첨단통신망을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발에 관하여 논하였다. 개발된 인터페이스 장치는 통신기능을 통하여 전원의 상태를 감시 및 계측할 뿐 아니라 최적온도 및 습도 등의 유지를 위한 제어도 가능한 다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원의 계측 값들도 485통신을 통하여 바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전원감시장치로 보냄으로써 범용성에도 큰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color graphic monitoring system (공정 감시를 위한 Software의 개발)

  • 가민호;임준홍;조영조;김광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2.10a
    • /
    • pp.364-369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연속 공정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제어장치 중 공정의 제반운영 및 제어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공정상태를 나타내는 여러가지의 data를 그래픽 모니터상에 graphics로 표시해 주는 User Interface System인 Operator Terminal의 설계 및 구현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Operator Terminal은 출력장치로 VGA board와 color monitor, 입력장치로는 mouse와 function keyboard, 통신을 위한 RS232C serial port를 갖는 IBM-PC AT급의 mother board로 구성된다. 또한 program 저장은 상위 computer의 HDD를 이용한다. 그래픽 편집 및 모니터링을 위한 software는 한글 MS Windows 환경에서 구현한다.

  • PDF

Fuzzy Demand Control System (퍼지제어형 최대수요전력 관리시스템)

  • 안준식;조성원;윤상철;신성철;성기철;한홍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241-24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이 편리하여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는 전기에너지의 이용합리화의 수단의 하나인 디맨드 감시/제어 장치에 대한 퍼지제어의 적용에 대해 제안한다. 이 장치는 전력사용이 많은 300㎾이상의 수용가에 있어서 피크(Peak)시 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감시/제어하여 에너지 사용의 합리화 및 전기요금 절감효과를 도모할수 있는 에너지 기기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디맨드 감시/제어를 위해 지수평활법을 이용한 부하예측과 퍼지제어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