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전략

Search Result 6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ignal Control Policies in Saturated Network (혼잡시 신호제어전략 연구)

  • 임용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3
    • /
    • pp.81-92
    • /
    • 1998
  • 교통신호제어는 교타로상에서 유입 차량들을 관제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를 예방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네트워크의 최적화 도구로도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1950년대 후반 신호제어에 대한 Webster의 제어전략이 발표된 이후 관련 학자들에 의해 몇 개의 신호제어 전략들이 발표되었지만, 이들 전략들은 대부분 비포화시를 반영하는 전략 들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도심 가로망들은 근포화나 과포화 등 극심한 교통혼잡을 겪고 있 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 새로운 신호제어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차원 의 신호제어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첫 번째 연구로서 혼잡시를 고려한 2가지의 새로운 교통 신호제어전략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신호전략은 과포화시 차량들의 대기행렬을 수용할 수 있는 접근로의 수용용량을 고려한 전략이며, 두 번째 전략은 overflow에 의한 차량들의 지 체시간을 최소화시키는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2개 신호전략과 새로운 전략들을 예제 가로망을 대상으로 서로 비교, 평가하였으며, 신호제어전략이 통행배정모형(traffic assignment)과 결합하는 경우 유일해(unique solution)가 존재하는지(monotonicity condition)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xit-Ramp Control Strategy Avoiding Mainline Spillover for Urban Freeway (과포화 신호제어 기법을 응용한 도시고속도로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개발)

  • 김영찬;이철기;허혜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3
    • /
    • pp.89-100
    • /
    • 2001
  • 내부순환로의 진출램프 중 성산, 홍은, 홍제, 길음, 마장 진출램프에서는 램프의 지체가 심각하여, 진출차량의 대기행렬이 내부순환로 본선에까지 이르는 대기행렬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본선으로의 대기행렬 역류는 본선의 혼잡을 가중시키고 교통사고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시고속도로의 진출램프 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진출램프 제어전략을 개발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목표는 진출램프의 대기차량이 본선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대기행렬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는 진출램프의 차량이 인접한 간선도로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해야 하며, 간선도로와 진출램프의 대기행렬을 제어정책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진출램프 진출부에 신호를 설치하여 간선도로차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진출부 하류부 교차로와 연동제어를 하여 진출공간을 확보하였다. 또한, 대기행렬의 관리를 위해서는 대기행렬 관리계수를 정의하고 이 값에 따라 현시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식을 유도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은 과포화 신호제어 기법을 응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그 중 Equity offset과 내부미터링 기법을 연동제어에 응용하였고, Imbalanced split 기법은 대기행렬 관리계수에 따라 현시가 결정되는 제어식의 개발에 응용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출램프의 혼잡으로 인해 본선으로 대기행렬 역류가 발생하는 내부순환로의 홍은, 홍제 진출램프를 선정하였으며, NETSIM을 통해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출램프의 혼잡이 크게 개선되며, 운영자의 관리목적에 따라 대기행렬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은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진출램프 제어가 필요한 타도시고속도로에서도 적용을 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The Strategy Design of Control Logic for Ultra Super-Critical Power Plant Boiler (초초임계압 발전소 보일러 제어전략 설계)

  • Park, Doo-Yong;Kim, Byu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223-224
    • /
    • 2008
  • 초초임계압 화력발전 제어계통 설계와 관련하여 보일러 제어시스템의 기본 요건인 제어전략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 표준화력 500MW 제어시스템과 제어로직을 기반으로 1000MW급에서 필요로 하는 새로운 구조의 제어에 요구되는 제어전략에 대해 각종 제어 운전 모드의 구성과 각 운전 모드에서의 제어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최신제어시스템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자동 플랜트 제어(Automatic Plant Control, APE)의 각종 제어전략 구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Unit Master Control, Boiler Master Control, Turbine blaster Control, Throttle Pressure Control, Fuel/Air Master Control, Forced Draft Fan Control, Induced Draft Fan Control, Primary Air Fan, Feed Water Master Control, Super Heater/Reheater Steam Temp Control 등의 제어전략을 논하고, 실제 프로세스 응단특성 파악을 위해 국내 신규발전소를 방문하여 수집한 프로세스 응답시험 결과와 특성을 분석하고 USC에 적용하기위한 보일러 제어전략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통합 원격제어 시스템(육상제어) 개발 현황

  • 이정호;조기정;이상재;김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7-128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원격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해 선박제어 모사장치를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원격모니터링, 통신시스템에 대한 개발 현황을 나열하고 향후 기능개선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통합 원격제어 시스템(육상제어) 개발 현황 및 개선방안

  • 이정호;조기정;이상재;김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65-66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원격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해 선박제어 모사장치를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원격모니터링, 통신시스템에 대한 개발 현황을 나열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증류탑의 제어 시스템 설계

  • 양대륙
    • ICROS
    • /
    • v.2 no.1
    • /
    • pp.93-100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증류탑 제어 구조의 선택과 선택된 조작변수를 이용한 조성제어 전략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제어구조 설계시 증류탑의 양끝에서 물질 수지와 에너지 수지제어를 조합해 주는 두 파라미터에 의해, 예상되어지는 제어구조를 동적 구조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쉽게 분석할 수 있으며, Combined balance 방법으로부터 시작하여, 증류탑에 대한 3가지의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어구조를 결정하는데 ITAE와 같은 닫힌 루프 성능지표에 기초한 최적 combined balance 구조는 multiloop dual 조성 제어에 대해 다른 구조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다. 이 방법은 새로운 증류탑의 제어구조를 설계할 때나, 기존의 증류탑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구조가 결정된 후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어전략을 소개하였다. 제어전략의 선택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는 적당한 제어구조를 Combined balance 구조로서 결정하게 되면 간단한 형태의 전통적 제어기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제어구조의 선택이 선행되지 않으면 MPC와 같은 고급 제어전략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등에 의하여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원격제어를 위한 육상용 ECDIS 기능 개선방안

  • 이정호;조기정;이상재;김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2-183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원격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육상에서의 선박 원격조종과 그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하여 ECDIS 시스템을 도입하고 원격제어 모니터링에 적합하도록 육상용 ECDIS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분석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원격제어 보조를 위한 최적항로예측 시뮬레이션 개선방안

  • 이정호;조기정;이상재;김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86-87
    • /
    • 2023
  • 해상환경에 적용된 최적항로예측 알고리듬을 자율운항선박의 기본 시스템으로 가정하고 육상의 육상원격제어시스템을 통해 선박이 제어되는 환경을 ECDIS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자율운항선박과 육상원격제어 간 안전운항를 위해 상호 시스템 공유를 이용한 협업을 바탕으로 최적항로예측 시뮬레이션을 개선하는 방안을 분석하였다.

  • PDF

Corridor Control Strategies of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in Seoul (신신호 시스템의 신호제어 전략 및 교통축 운영성과 분석연구 (영동대로와 도곡동 축을 중심으로))

  • 이영인;장근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93-207
    • /
    • 2002
  •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검지기 체계로부터 교통소통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분석, 처리하여 신호시간을 신호주기별로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신호제어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신호제어기능 또는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는 신호제어전략의 효율성 여부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신호 시스템의 기본 제어알고리즘과 개선된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관하고, 신신호시스템의 운영성과를 현장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신신호 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제어기능과 알고리즘을 토대로 비 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하여 신호제어전략을 수립하고, 이의 적용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운영성과는 시범지역의 남북 교통축(영동대로)과 동서 교통축(도곡동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동대로는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함에 따라 시스템 운영성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곡동길은 현재의 신호운영 전략과 검토대안이 비슷한 수준의 운영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범 운영지역의 교통축은 1개의 중요 교차로와 5-6개의 비 중요 교차로로 구성된다. 영동대로의 운영성과 분석결과, 교통축의 운영효과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과 동시에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제어기능이 적절하게 연계 운영될 때 운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신호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의 개선과 동시에 비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의 개선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고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축의 동적통합제어모형 구축

  • 유병석;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6-296
    • /
    • 1998
  • 고속도로 교통축은 고속도로와 운전자가 대체도로로 이용할 수 있는 표면가로로 구성된 가로망을 말한다. 이러한 고속도로에서의 도로망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제어기법으로는 고속도로 진입램프에서의 램프미터링과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시간조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합한 제어전략은 아직 고려되고 있지 못하다. 고속도로에서 사고나 극심한 혼잡으로 인해 지체가 되었을 경우 단순히 진입램프에서 램프미터링만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부체도로로의 경로전환을 통해 고속도로교통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지능형교통체계(ITS)에서 고려하고 있는 경로안내시스템과도 결부된다. 그러므로, 고속도로 교통축에서는 진입램프에서의 램프미터링전략과 진출램프에서의 경로전환전략,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최적화전략을 통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에서의 진입램프미터링과 진출램프를 통한 경로전환,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시간조정을 통합한 제어모형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통합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통합제어모형은 적정 제어변수의 값을 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합제어알고리즘을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