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스처 컨트롤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obot Control using Vision 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비전기반 손 제스처 인식을 통한 로봇 컨트롤)

  • Kim, Dae-Soo;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97-20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컨트롤 시스템을 위해 입력 받은 영상부터 몇 가지의 손 제스처를 인식하는 비전기반 손 제스처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로봇으로부터 입력 받은 이미지는 로봇의 위치, 주변환경, 조명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환경에서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시스템이 로봇 컨트롤을 위해 미리 지정한 몇 가지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한다. 먼저 이미지 조명 변화에 강한 손 제스처 인식을 위하여 레티넥스 이미지 정규화를 적용한 후, YCrCb 공간 상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손 영역을 검출 후 위치를 추정한다. 인식된 손 영역에서 특징벡터를 추출함으로서 입력 영상내의 존재할 수 있는 손의 크기나 손의 회전각도 등에 상관없이 필요로 하는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한다. 제안된 제스처 인식 결과는 로봇컨트롤을 위한 기존의 제스처인식과 비교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AdaBoost-Based Gesture Recognition Using Time Interval Trajectory Features (시간 간격 특징 벡터를 이용한 AdaBoost 기반 제스처 인식)

  • Hwang, Seung-Jun;Ahn, Gwang-Pyo;Park, Seung-Je;Baek, Joong-Hwa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7 no.2
    • /
    • pp.247-254
    • /
    • 2013
  • The task of 3D gesture recognition for controlling equipments is highly challenging due to the propagation of 3D smart TV recently. In this paper, the AdaBoost algorithm is applied to 3D gesture recognition by using Kinect sensor. By tracking time interval trajectory of hand, wrist and arm by Kinect, AdaBoost algorithm is used to train and classify 3D gestur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successfully extract trained gestures from continuous hand, wrist and arm motion in real time.

Point Accelerating Algorithm for Hand Gesture Interaction Within the Restricted Moving Range (제한된 이동 범위 내에서의 손 제스처 상호작용을 위한 포인트 가속 알고리즘)

  • Kim, Ju-Chang;Park, Jeong-Woo;Kim, Woo-Hyun;Lee, Won-Hyung;Jung,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32-1933
    • /
    • 2011
  • 손 제스처 인식을 위한 손 위치 검출 및 추적 알고리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검출된 손의 위치를 통한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인터랙션(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과정에서 손의 위치 좌표를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은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이동 범위 내에서의 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컴퓨터상의 포인트를 효율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손 위치 검출을 위해 깊이 센서를 이용하였으며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따른 포인트의 위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추적되는 손의 위치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포인트를 컨트롤함을 확인하였다.

  • PDF

Multifunctional Gesture Recognition using Infrared Light Emitters (적외선을 이용한 다기능 제스처 인식 포인터)

  • Lee, Kyu-Hwa;Jin, Yoon-Suk;Lee, Jin-Kyu;Choi, Young-Kyu;Park, J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23-428
    • /
    • 2007
  • 본 연구는 기존의 프레젠터의 단순한 포인터 및 클릭 기능을 넘어선 다기능 제스처 인식 포인터의 구현이 주 목적이다. 주된 연구 내용으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을 인지하여 포인터의 궤적 인식을 하는 기술과 이를 응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있다. 본 하드웨어에는 기본적인 마우스 클릭 기능 외에도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탑재하여 PC와 연결된 카메라가 이를 인지하도록 한다. 장점으로는 카메라가 항상 PC와 가까이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어느 장소이든 관계없이 적외선 투과 필터가 장착된 카메라 하나만 설치할 수 있는 곳이면 구현이 가능하며 적외선을 이용하므로 가시광선의 영향을 적게 받아 효율적으로 영상 처리를 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제스처 인식을 통하여 수많은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보다 사용자와 인터랙티브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구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프레젠테이션 및 게임 컨트롤에 사용되었다.

  • PDF

Hand pose recognition on Table Top Display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손 형상 인식)

  • Kim, Hyung-Kwan;Lee, Yang-Weon;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719-720
    • /
    • 2008
  • 마우스나 키보드를 벗어나 직관적인 손을 이용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는 대부분 Touch 정보를 이용한다. 직접적인 터치에 손 형상 및 제스처를 이용할 수 있다면 보다 자유롭게 시스템을 컨트롤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서의 손형상 인식을 기술한다.

  • PDF

AdaBoost-based Gesture Recognition Using Time Interval Window Applied Global and Local Feature Vectors with Mono Camera (모노 카메라 영상기반 시간 간격 윈도우를 이용한 광역 및 지역 특징 벡터 적용 AdaBoost기반 제스처 인식)

  • Hwang, Seung-Jun;Ko, Ha-Yoon;Baek, Jo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3
    • /
    • pp.471-479
    • /
    • 2018
  • Recently, the spread of smart TV based Android iOS Set Top box has become common. This paper propose a new approach to control the TV using gestures away from the era of controlling the TV using remote control. In this paper, the AdaBoost algorithm is applied to gesture recognition by using a mono camera. First, we use Camshift-based Body tracking and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Gaussian background removal for body coordinate extraction. Using global and local feature vectors, we recognized gestures with speed change. By tracking the time interval trajectories of hand and wrist, the AdaBoost algorithm with CART algorithm is used to train and classify gestures. The principal component feature vector with high classification success rate is searched using CART algorithm. As a result, 24 optimal feature vectors were found, which showed lower error rate (3.73%) and higher accuracy rate (95.17%) than the existing algorithm.

Design and Prototyping of Legacy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s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레거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oo, Bonhyun;Choi, Lyn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8
    • /
    • pp.555-560
    • /
    • 2015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xisting control methods of the legacy wearable-based CE devices and identified the requirements for improvements. In the conventional system, users waste their time configuring the initial network and registering their devic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To overcome these hurdles, we implemented the Easy-Setup framework for smart phones to personalized cloud devices.

Multi-modal automatic control of the smartphone music player considering the noisy environment (스마트폰 음악 플레이어에서의 주변환경을 고려한 멀티모달 자동제어기법)

  • Kwak, Joo-Eun;Park, Chan-Youngk;Song, Byung-In;Yu, Jeong-Heon;Lee, Ju-Eun;Lim, Soo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371-373
    • /
    • 2012
  • 기존의 스마트폰 음악 플레이어는 이어폰을 끼고 장소를 이동할 때 주변의 경고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위험함이 있고, 플레이어 컨트롤을 위해서는 화면을 보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멀티모달 자동제어 기법을 사용한 새로운 플레이어를 제안하였다. 주변의 dB(데시벨)을 입력받아 자동으로 볼륨을 제어해주며, 음성 명령과 터치 제스처 모드를 통해 화면을 보지 않고도 플레이어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Enhancement Guidelines of Smart Application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향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Jun, Wooc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9 no.1
    • /
    • pp.69-76
    • /
    • 2015
  • In current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 barrier called digital divide. Due to this barrier, the disabled have difficultie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Recently, with advanced smart techniques, smart devices become necessity for the disabled. Currently improvements of smart application accessibility become a great concern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ome guidelines for enhancing smart application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The enhancement guidelin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mobile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modified for better adaptability for the disabled. Our principles are as follows: minimizing blue light emission from smart devices, automatic focus on input window, action trace, font color change, emergency notification by motion, gesture recognition, control location, scrolling avoidance, auditory service for visual warning, and icon literation.

A Study on Wearable Augmented Reality-Based Experiential Content: Focusing on AR Stone Tower Content (착용형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콘텐츠 연구: AR 돌탑 콘텐츠를 중심으로)

  • Inyoung Choi;Hieyong Jeong;Choonsung Shin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4
    • /
    • pp.114-123
    • /
    • 2024
  • This paper proposes AR stone tower content, an experiential content based on wearable augmented reality (AR). Although wearable augmented reality is gaining attention, the acceptance of the technology is still focused on specialized applications such as industrial sites.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AR stone tower content is based on the material of 'stone tower' so that general users can relate to it and easily participate in it, and it is organized to utilize space in a moving environment and find and stack stones based on natural hand gestures. The proposed AR stone tower content was implemented in the HoloLens 2 environment and evaluated by general users through a pilot exhibition in a small art museum.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averaged 3.85, and the content appropriateness for the stone tower material was very high at 4.15. In particular, us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content comprehension and sound, but somewhat less satisfied with object recognition, body adaptation, and object control. The above user evaluations confirm the resonance and positive response to the material, but also highlight the difficulties of the average user in experiencing and interacting with the wearable AR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