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방 모니터링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Uncertainty Analysis of Surface Image Velocimetry for the Levee Monitoring (제방 모니터링을 위한 표면영상유속계의 불확도 해석)

  • Kim, Seo-Jun;Yu, Kw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6-146
    • /
    • 2012
  • 영상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표면유속을 산정하는 표면영상유속계(SIV)는 기존 유속측정 방법들에 비해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짧은 시간에 원하는 영역의 유속장을 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장 상황에 따라 분석을 위한 변수들을 달리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유속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면영상유속계의 측정 불확도 산정을 위해 기지의 유속 분포와 추적자 분포를 가진 인공 영상들을 제작하였다. 이 인공 영상들은 입자영상유속계(PIV)의 불확도 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표준 PIV 영상과 유사한 것이다. 이 인공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의 취득과 처리에 관련된 여러 변수가 최종 유속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된 변수에는 상관창의 크기, 탐색창의 크기, 추적 입자의 농도, 면외 속도와 평균 영상 속도, 두 영상간의 시간 간격이 포함된다.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고정확도의 결과를 얻기 위해, 상관창의 크기는 상관창 안에 포함되는 입자의 수가 충분할 만큼 커야 하며, 추적 입자의 농도가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정확도 높은 유속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적 시간간격 또는 평균 영상 유속이 선택되어야 함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Water Level Change using D-InSAR Technique (D-InSAR 기법을 활용한 하천 수위 변화 분석)

  • Young Jun Bang;MinJi Seo;Hyock Jin Lim;Chi 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9-409
    • /
    • 2023
  • 하천 수위는 합리적인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수문 자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위 측정을 위해 유역 내에 관측소를 설치하여 장비 또는 인력을 통해 수위를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관측소를 운영하고 관리하기에는 예산과 인력이 소모되는 한계가 있다. 위성 영상을 통한 시계열 분석은 전지구적 모니터링과 관측 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한 수자원 분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수면적을 감지하고 수위와 유량을 판별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하천 하상의 경사와 단면 형태에 따라 수면적이 변하여 정량적인 수위 추정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의 SAR 영상과 InSAR 기법을 통해 낙동강 유역의 홍수 전후의 하천 수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Sentinel-1 IW 모드의 Single Look Complex(SLC) 영상 12장과 ESA 영상 처리 툴인 SNAP을 활용하여 VV(Vertical-Vertical) 데이터의 간섭을 통해 센티미터(cm) 단위지표 변화에 따른 수위 변위를 분석하였다. 위성 영상을 통해 추출한 수위 변위와 계측 수위 및 단면 자료의 정합성을 비교한 결과, 제방과 수체 경계면 식생과 하상 세굴로 인한 오차로 정량적이 수위의 정합성에는 한계가 존재하였지만, 수위의 정량적인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위 변화의 반응속도를 판별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River Infrastructures for Life-Cycle Management (생애주기관리를 위한 하천 시설물 성능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Yun, Gwan Seon;Kim, Boram;Kim, Hyu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8-298
    • /
    • 2020
  • 하천 혹은 그 인근에 설치된 시설물은 수문, 통문, 제방, 댐, 보, 배수펌프장, 상·하수도, 하구둑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하천 시설물은 홍수나 가뭄 등 수해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하천 시설물은 노후화, 기후변화, 하천환경변화 등으로 구조적 혹은 기능적 안정성의 저하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시설물 유형별 고령화율을 살펴보면, 댐, 하천, 상하수도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준공연수가 30년을 초과한 하천 시설물은 약 40%를 넘어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천시설물의 관리 구조는 시설물 설치단계까지만 치중되었으며, 이후 계획 재수립 단계까지의 평가 및 모니터링, 유지관리, 정보관리 등에 이르는 선순환 구조가 미흡한 실정이다.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시설물 점검 및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가주요시설물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에 안전등급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MS의 하천 시설물 안전등급 현황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효과적인 생애주기관리를 위해 하천 시설물의 성능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성능평가모델은 하천 시설물의 사용연수에 따른 안전등급의 예측이 가능하며, 관리자 측면에서 예산투입 등의 의사결정 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of River Disturbance (하천교란 평가기법 연구)

  • Kim, Ki-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33-637
    • /
    • 2007
  • 하천환경 복원사업이나 자연형하천 정비사업의 근본 목표는 그 하천 고유의 하천경관이나 생태계 등 특성을 회복(Rehabilitation)시키거나 복원(Restoration)하는 것이다. 현재 이 치수기능 확보를 위한 댐 보의 건설, 하천정비 및 골재채취 등 하천의 인공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하천 및 하도의 물리, 화학,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하천의 인위적 교란은 요인, 규모, 빈도 및 강도는 다르지만 하천생태 서식처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변형, 변질되어 하천생태계가 변화, 단절, 절멸되는 심각한 상태가 빈발하고 있다. 하천교란(River disturbance)은 요인에 따라 유량 및 유사량 변화, 하상변동, 하도준설, 인공호안, 생태통로 차단 등 하천의 물리적 환경 변화를 초래하고, 그에 따른 영향으로 생물종의 감소 및 단순화, 개체수 감소 등과 같이 하천 생태계가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하천의 교란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또한 표준화된 평가체제가 구축되어 있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복원에 대한 의식 보급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교란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하천교란평가기법 개발을 위한 전단계로서 일본의 하천수변 국세조사, 영국의 River Habitat Survey, 호주의 River Assessment System, 미국의 Stream Corridor Restoration 등에서 제시하는 하천모니터링 및 평가체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외국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천교란 요인을 하천정비, 댐건설, 골재채취로 유형화하고 교란요인별 조사해야 할 물리적 인자로서 유량, 유사량, 하도 제원, 특징적 내용, 하도형상, 여울과 소, 점사주, 인공구조물, 제방 호안의 재료 및 특징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으며, 생태계 인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 PDF

Butterfly Community Monitoring on Wolchulsan National Park in Korea (월출산국립공원 나비군집 모니터링)

  • Kim, Do-Sung;Park, Doo-Sang;Oh, Hae-Seon;Kim, Dong-Hyuk;Jeong, Jong-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2
    • /
    • pp.196-203
    • /
    • 2013
  • Butterfly communities were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pattern with line transect method at Wolchulsan National Park through May to October in 2012. Totally 1,151 individuals belong to 49 species were monitored through the study period. Libythea celtis was a dominant species with showing 357 individuals(31%) followed by Pseudozizeeria maha 96 individuals(8.3%), Mycalesis gotama 75 individuals(6.5%) and Ninois dryas 72 individuals(6.2%) respectively. Among the monitoring periods, highest individuals and species(516 individuals belong to 30 species) were found at June and showed a high abundance near reservoir region. Highest diversity was shown at August with a Shannon index of 2.75 while lowest at October(Shanon index 1.78) and total diversity index was 1.71. Dominance values(Simpson index) showed highest at June with a value of 0.40 while lowest at September with a value of 0.07 and averaged 0.12. Kungol and Seongjeon compose a high similarity habitats with a similarity value of 0.52 and it was 0.17 at Kungol and Youngsan, lowest cases. Reservoir banks played a important role for habitats of specific specie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y provide an open space of glass land for butterfly population, which was deficient at mountain area.

Development of a River Maintenance Management Technology Related with National River Management Data (국가하천관리자료와 연계한 하천유지관리 기술개발)

  • Jo, Myung-Hee;Kim, Kyung-Jun;Kim,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159-171
    • /
    • 2012
  • This study has developed a technology for river basin including the management of the data related with riverbed and the analysis of the riverbed maintenance based on the high-resolution imagery data and LiDAR (Light Detection and Raging)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river management by using RIMGIS(River Information Management GIS) and to acquire the advanced operation for river management. Using the detailed river topographical map specially designed in the form of LiDAR or high-resolution images, riverbed data and river bank channel information that are dynamically changed were informationized and established in the RIMGIS DB. At this stage, a monitoring techniques that is established in the river management system associated with RIMGIS and minimized the impact of riverbed maintenance (fluctuations) has been studied. In addition, functions and data structure of RIMGIS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geography and management of the river have been supplemented to make an improvement of the real-time management of the river. Furthermore, a technology that is capable of supplementing RIMGIS has been developed, making it feasible to maintain the river in use of structural method including an structural scheme of cross-section of the river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riverbed and cross-section of the river. This is considered to solve an issue of insufficient data on accuracy and based on a lack of information of the river based on the two-dimensional lines, making it feasible to (steadily) improve the function of RIMGIS and to operate management tasks. Therefore, it is highly expected to enhance aforementioned technology of the river information management as a great foundation that maximizes the utilization of the river management to support RIMGI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river management data.

A Study on Transport the Hydrological Property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에 관한 수리학적 특성연구)

  • Oh, Chae-Yeon;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47-1752
    • /
    • 2008
  • 강원도 산간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의 경우 유송잡물 및 토석류에 의하여 교량이 파괴되거나, 통수능이 작아져 댐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인해 교량 상류지역이 침수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강원도 산간지역에 설치된 소규모 수공구조물들은 교량의 경우 교각이 많아 경간장이 짧고, 교량 상판이 제방고 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등 하천흐름에 장애를 주는 많은 요인들을 내재하고 있어 홍수시 하천유량의 증가에 따른 하천흐름 해석, 유송잡물의 발생원인 및 수공구조물에 미치는 영향들에 관한 판단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유송잡물의 발생경로는 대부분 산지계류에서 집중호우시 산사태발생에 따른 유목과 토석류 발생이 주원인이 된다. 또한 유송잡물은 큰 홍수시 고수위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유송잡물은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 집중된다. 또한 유송잡물은 큰 홍수시 고수위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유송잡물은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 집중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특성에 대한 국내 외 문헌조사, 현장피해사례조사 및 현장모니터링 조사를 실시하고 1차원 모형인 HEC-RAS와 2차원 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수리모델링 분석에 따른 수치모의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 PDF

A Validation Study on the Reinforcement Effect of Reservoir Grouting by Surface Wave Survey (표면파탐사를 이용한 저수지 제체 그라우팅 보강효과 검증 연구)

  • Bae, Hyungseop;Lee, Yeong-Dong;Won, Kyoung-Si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2
    • /
    • pp.297-312
    • /
    • 2018
  • In order to assess the safety diagnosis and grouting reinforcement effect of old reservoir facility,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offices mainly us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However,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a qualitative evaluation that varies the resistivity value by various exploration conditions. It is also difficult to grasp the stiffness change directly related to the stability of reservoir, thus a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not applicable to continuous stability monitoring after grou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validat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inforcement effect of reservoir with cement grouting through shear velocity (V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tiffness (${\mu}$) of the 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wo reservoir facilities. The reinforcement effec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ermeability test, standard penetration test, down-hole test and MASW(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 survey before and after cement grouting. Shear wave velocity changes before and after grouting were analyzed by phase velocity difference and inversion analysis, respectively, an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tical results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field test results. Shear wave velocity increases to 5~10% in case of the D levee, and 10~20% in the levee of H reservoir. These results are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field test results.

A Study on the File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Porous Concrete For Retaining Wall (환경친화 옹벽용 포러스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Ⅱ)

  • Kim, Jeong-Hwan;Lee, Nam-Ik;Lee, Jun;Park, Seung-Bum;Jang, Young-Il;Seo, Dae-S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817-820
    • /
    • 2008
  • The river environments of many streams in korea have been deteriorate throug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the 1960s. In korea, on the other hand, much efforts on the research and project have been made for the restoration of the deteriorated streams to close-to-nature. in order to restore the deteriorated stre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uch advanced technologies and materials. In view of this requirement, various research paths are being taken focusing on coarse aggregates to make multi-functional porous concrete having continuous voids so as to improve water and air permeability, acoustic absorption, water purification and applicability to veg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for recovery of the environment in the streams area using porous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the multi-P.O.C block applies for test in the Jangduri-cheon have been monitored planting, stability etc. after 6 months, plant grows flourishing and reconstructed in state such as nature rivers.

  • PDF

Case Study on Construction of Small Washland (천변 아지늪 조성 사례 연구)

  • Kim, Ki-Heung;Lee, Hyeong-Rae;Shin, Yeoung-Cheol;Kim, Young-Taek;Jung, Hae-Ry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03-1007
    • /
    • 2007
  • 최근 기상이변, 불투수층의 증가와 배수체계개선 등의 요인으로 인한 홍수량의 증대로 하도방어 위주의 현재 홍수방어체제는 지속적인 치수사업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하류에서의 홍수가 격심해지는 등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는 천변저류지 등에 의한 면적 개념의 2차원적 홍수량 분담을 통한 피해의 잠재성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수요의 증가에 따라 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삽교천유역종 합치수계획 등에서는 중규모 이상의 천변저류지가 검토되었지만 이러한 예는 대하천유역이므로 홍수피해가 빈발하는 농촌지역의 중소규모 하천에서는 계획된 적이 없다. 지금까지 지속적인 하천개수사업으로 2004년말 현재 하천연장 기준으로 전국의 하천 개수율은 78%에 이르고 있다. 이 중 국가하천과 지방1급하천은 약 15%로서 개수율이 약 90%이상으로 높고, 지방2급하천은 약 85%를 차지하나 대부분은 농촌지역에 위치하여 약 70% 미만의 낮은 개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향후 중소규모유역의 지방2급하천에서 하천개수가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현재 하천정비기본계획이 미수립된 하천구간에 대하여 하도계획시 제방축제에 의한 경제성이 미미한 일부 구간에 무제부의 소규모 아지늪을 조성하고, 홍수파의 전파속도를 저감하여 하류의 홍수집중을 경감시키고 유수 에너지를 감소시키며 아울러 본천의 유수환경과는 다른 습지로서의 정수환경을 창출하여 하천생태계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하동군에 위치하는 지방2급하천인 주교천에 약 $4000m^2$의 소형 습지(아지늪)를 2004년 3월에 조성하고 2006년 11월에 습지의 어류 및 수생식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아지늪의 하천생태의 다양성의 달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주교천에서 홍수량의 증가에 따른 홍수류의 유속 변동과 그에 따른 에너지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HEC-RAS를 적용하고 주교천 아지늪 주변의 수리학적 거동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