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방시설물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f a Levee Failure Forecasting using SAM Algorithm (SAM 알고리즘을 이용한 하천제방 붕괴예측에 관한 연구)

  • Yoo, Byung-Sun;Park, Yong-Dae;Lee, Kyu-Shik;Chang, K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9.03a
    • /
    • pp.649-658
    • /
    • 2009
  • The Aim of this development is the safety management network of embankment facilities using forecasting analysis algorism. Using this algorithm it is possible to predict a failure of embankment facilities in adv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aking plans of a safety countermove. In this development we have researched the analysis method which could operate effectively the embankment facilities using real-time monitoring data from a remote sensing system and the safety managerial program using the algorithm from the analysis method developed.

  • PDF

Development of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Framework for River Facility Construction at Planning Stage (하천시설물 공사의 기획단계 개략공사비 산정체계 개발)

  • Shin, Jung Min;Woo, Sungkwon;Lee, Si Wook;Kim, Ok 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371-381
    • /
    • 2008
  • The systematic methodology for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approximately at planning and pre-design phase of a river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becaus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cluding its relatively small project size in terms of cost. This research suggests a 4-level cost information structure and identifies critical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cost as a result of thorough analysis of accumulated historical cost data of river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Also, this research presents the framework of the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ethodology for river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 a planning stage.

Levee Maintenance Using Point Cloud Data Obtained from a Mobile Mapping System (모바일 매핑시스템을 이용한 제방 유지보수에 관한 연구)

  • Lee, Jisang;Hong, Seunghwan;Park, Il suk;Mohammad, Gholami Farkoushi;Kim, Chulhwan;Sohn, Hong-Gy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4
    • /
    • pp.469-475
    • /
    • 2021
  • In order to effectively maintain and manage river facilities, on going data collection of associated objects is important. However, the existing data acquisition methods of using a total station,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a terrestrial laser scanner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cost/time/manpower when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data on river facilities distributed over a wide and long area, unlike general facilities. In contrast, a mobile mapping system (MMS), which acquires data while moving its platform, acquires precise spatial information data for a large area in a short time, so it is suitable for use in the maintenance of linear facilities around rivers. As a result of applying a MMS to a research area of 4 km, 184,646,099 points were acquired during a 20-minute data acquisition period, and 378 cross-sections were extracted. By comparing this with computer-drawn river plans, it was confirmed that efficient levee management using a MMS is possible.

An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in Embankment (제방에서의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 Ahn, Taegyu;Ko, Chihye;Jeong, Yujeong;Lee, Heuisoon;Song, Sung-Ho;Yong, Hwan-H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59-67
    • /
    • 2015
  • A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widely conducte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embank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a tidal variation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data of the embankment located in west coast. We monitored the vari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on the coastal embankment where there was a high tidal variation for 3 days in every 3 hours.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data showed a variation of resistivity distribution in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time, which demonstrated some correlation with a tidal height variation. Therefore, we highly recommend that a tidal effect be considered whe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conducted on the embankment where there is a high tidal variation. For further study, we need a long term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and analyzing on tidal variation.

Stability Analysis of Levee by Infiltration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침투해석을 통한 제방의 안정성 평가)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1-231
    • /
    • 2016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EP/W 모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하천 제방을 바탕으로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안정성 평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Derivation of External Flood Hazard Curves for SOC Facilitie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SOC시설물의 외부침수 재해도 곡선 산정)

  • Kim, Beom Jin;Kim, Hyun Il;Han, Kun Yeun;Heo, Jun Haeng;Shin, Ju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16
    • /
    • 2018
  • 최근 국가시설물에서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 내의 홍수 발생 시 주요시설물에 기능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대상 부지에서의 외부침수의 원인으로서는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에 의한 홍수 발생조건, 인근에 댐, 제방 등이 위치한 경우 이들 시설물의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원전 유입, 지진해일/폭풍해일에 의한 바다로부터의 홍수 유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대상 부지 및 그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높은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한홍수가 유입될 때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강도 등의 재해도를 분석하여야하고, 이들 SOC시설물의 취약도 평가를 실시하고 재해도와 취약도를 결합한 연계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재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해서 LIP(극한강우) 조건을 빈도별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에 의한 가능최대강우량(PMP)의 재포락을 실시하고, 이를 확률강우조건과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부지에서의 RCP4.5와 RCP8.5 조건하에서 발생빈도-지속시간-극한강우량과의 상관도를 제시하였다. 지형분석의 고도화 및 수문분석을 통한 LIP를 이용한 극한 홍수량의 산정을 실시하였고, 수리분석에 의한 극한홍수조건의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침수해석을 통한 수리변량(침수심, 침수강도, 침수지속시간 등)을 산정하였고, 침수해석결과에 주요지점별 발생빈도-지속시간-침수위의 관계를 재해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집중호우 조건하에서 국가 주요시설물에서의 침수심, 침수강도 등에 대한 새로운 재해도 곡선을 산정함으로써 중요한 SOC시설물의 내수 설계, 홍수 방지기능 설계, 홍수 방지 대책 및 절차의 고도화 및 홍수 저감 기능 평가에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ject of Dam Safety reinforcement on Gampo Dam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

  • Cheon, Geun Ho;Han, Yo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4-214
    • /
    • 2022
  • 감포댐은 2006년 준공하여 각종 시설 및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중에 있으며, 최근 감포댐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경주지진(규모 5.8) 및 포항지진(규모 5.4)이 발생하여 지진시 시설물의 안전성에 대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에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주요 사업내용은 취수탑 관리교 내진보강, 댐체 심벽보강을 통한 댐체 안전성확보, 비상방류시설 개선이다. 취수탑 관리교는 교각단면의 변위연성도 및 교량받침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고, 단면강도는 모멘트-곡률해석법에서 탄성영역의 단면강도 대비 탄성지진력을 비교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교량받침의 내진성능은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어 유량제어형 멀티펌프와 안전잭을 이용한 변위제어 방식의 교량동시 인상공법이 가능하고 인상정밀도 ±0.5mm이내의 성능을 가진 교량인상공법 적용하여 보강을 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댐체 심벽보강을 위해 먼저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여 전기비저항대를 탐사하여 심벽부에서 포화대가 형성된 부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댐 상·하류에 전극을 설치하고 전류를 발생시켜 측정 지점별 자기장을 측정을 통하여 댐체내 침투에 따른 유로 형성여부 파악을 위한 전자기장탐사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벽 시추조사를 시행하여 공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포화대의 위치 및 이상대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불특정 지점에 연약대가 존재한다 판단하여 심벽부 보강계획을 전반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비상방류시설은 최근 15년 실측자료의 홍수기(6~9월) 평균유입량을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 배제대상 높이 75%까지는 3.7일, 완전배제까지는 11.2일이 걸려 댐설계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검토되다. 다만 감포댐 비상방류시설이 하천제방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천의 폭이 좁아 과거 방류시에도 제방을 월류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하천의 세굴을 방지하고 제방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방류시설에 감세공을 설치하고, 제방에 디플렉터 옹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감세공은 2번에 걸친 감세효과로 방류시 하류바닥 및 옹벽 보호 효과가 큰 미국 USBR의 TypeVI를 적용하였으며, Flow-3D 모델링을 통하여 제방에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대안 옹벽규모를 산정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Stability of Revetment on Inland Slope of River Levee for Prevention of Failure due to Overtopping (제방뒷비탈 월류보호공의 안정성 분석을 위한 수리실험 연구)

  • Kim, Sooyoung;Yoon, Kwang 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712-721
    • /
    • 2017
  • Recently,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floods has increasing worldwide, and flood disasters have become a big problem. Flood disaster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disasters, are floods accompanied by typhoons and localized heavy rainfall. As a result, they cause damage of levee overtopping, in which the water level of a river rises to the levee crown. Therefore, countermeasures are essential and necessary because of the damage to the facility itself as well as to life and other property. The damage magnitude depends on the collapse of the levee. A levee that is difficult to collapse will reduce the discharge inland significantly. Accordingly, the protection of the inland slope, where the collapse of the levee is initiate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untermeasures In this study, revetments with various porosity and forms were suggested and hydraul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each type. The hydraulic experiments showed that the stability of a revetment in an inland slope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reve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velocity, which is the velocity at the moment of leaving the revetment, and the weight per unit area was derived. Through this study, by applying the nature friendly revetment, which has not yet been applied to Korea, it is expected that life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levee overtopping during flooding can be reduced, and a nature friendly river space can be constructed.

Flood Damage Analysi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in North Korea (고해상도 광학영상을 이용한 북한 함경북도 홍수 피해 분석)

  • Kim, Yong-Min;Lee, Soo-Bong;Kim, Jong-Pil;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64-36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지난 8월 29일 북한 함경북도 지역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한 피해를 분석하였다. 북한은 접근이 불가능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공위성을 활용한 모니터링이 유일한 관측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측 발표내용에 의하면 이번 홍수로 인해 사망 130여명, 실종 400여명, 시설물 8,670동 등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이재민은 7만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모든 피해지역을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일부 지역의 피해분석을 통해 피해규모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5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플래닛스코프(PlanetScope), 래피드아이(RapidEye) 영상을 이용하여 회령, 송학, 남양, 종성 4개 지역의 홍수피해 전, 직후, 한 달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해당지역은 시설물 및 농경지 침수, 제방붕괴 등이 발생하였으며, 홍수로 인한 지형변화가 동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일본의 자연공생연구센터 소개와 우리나라의 하천생태환경연구센타 건립 제안

  • 정관수
    • Water for future
    • /
    • v.37 no.4
    • /
    • pp.75-85
    • /
    • 2004
  • 하천은 산, 들, 바다 등과 같이 국토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하천과 인간사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져왔다. 하천의 이ㆍ치수 기능과 환경기능 모두 인간 사회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1990년대에 들어 이ㆍ치수와 환경 기능의 공존을 위한 국민들의 관심과 욕구는 급증하고 있고, 특히 주 5일제 근무시행으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로 향후 친수환경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그동안 부적절한 하천관리로 우리나라의 하천은 홍수배제를 위주로 한 하천변형(직강화, 제방증고, 하상굴착 등), 부적절한 시설물 설치(고수부지, 하천복개, 호안공, 도로 및 주차장 등) 및 오염물질의 배출통로 역할 등으로 인하여 하천환경이 점점 악화되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