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방군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al-scale Experiment for Breach Retardation Effect on the Levee treated with New Substance due to Overtopping (신소재 제방의 월류붕괴 지연효과에 대한 실규모 실험)

  • Ko, Dongwoo;Kang, Woochul;Kim, Jongmin;Kim, Sungjung;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4-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제방의 세굴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바이오폴리머(Biopolymer) 기반 신소재를 활용한 흙 제방의 보강공법을 제시하였다. 바이오폴리머 기반 제방의 보강공법은 흙과 바이오폴리머를 소량만 섞어도 흙의 강도 증진시킴과 동시에 빗물에 대한 내침식성과 식생의 생장을 촉진하는 생태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제방 사면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공법이다. 이에 안동하천연구센터는 실증실험을 통한 신소재 제방 보강공법의 안정성 검증을 목표로 2 건의 월류붕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흙 제방 조건(Case 1)이며, 두 번째는 바이오폴리머 혼합 토양을 사면에 도포한 후 식생이 활착된 조건(Case 2)이다. 제방 붕괴에 따른 수로 내 수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압력식 수위계를 설치하였으며, 영상분석을 위한 다수의 카메라 및 드론을 활용하여 실험의 전 과정을 실시간 촬영하였다. 또한, 제내지 측 사면을 대상으로 월류에 따른 붕괴 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이미지 픽셀 변화 측정 기법을 통한 시간에 따른 표면 손실률을 산정하였다. 흙 제방과 신소재 처리 제방의 시간에 따른 표면손실률을 비교한 결과, Case 2의 사면손실률이 Case 1에 비해 약 1.5~2.3 배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일 조건만으로 실험군과 비교군의 붕괴지연 결과가 제방 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일반화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다소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러한 부족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다양한 조건의 추가실험을 통한 계측 데이터 및 붕괴지연시간의 평균값을 도출하여 신소재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타당한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 PDF

Analysis of Sedimentation Around Jetties in the West Coast: based on field measurement and hydrodynamic modeling (서해연안 돌제구조물 주위의 침퇴적 해석: 실측 및 수동역학 모델에 의한 초기추정)

  • Suh, Seung-Won;Yoo, Gyeong-Sun;Lee, Hwa-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4
    • /
    • pp.345-354
    • /
    • 2007
  • A sedimentation analysis has been attempted to figure out sedimentation environment due to construction of coastal jetties, such as fish harbor dike, flow guided dike and jetty in shallow Kusipo area, in which tidal range marks up to 6.6 meters in spring tide. As an initial approach of understanding field measurement were done on several stations along reference lines with total station and photo analysis taken by remote controlled small air craft far one and half years. Also numerical tests were done by 2-D ADCIRC model considering dry-wet treatment to evaluate flow and bottom shear stress variations. According to direct measurement, deposition seems to be dominant on Kusipo beach. Model results show bottom shear stress lessens to $0.10{\sim}0.15\;N/m^2$ on most shadow zone of jetties and the inner zone is suffering sedimentation as a result of dike construction. However this is the first approach with limited analysis, thus it should be dealt further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ottom sediments in a complete sediment model on upcoming stud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 You, Ju-Han;Park, Kyung-Hun;Yoon,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4
    • /
    • pp.96-10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raw data on managing naturalized plants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s by researching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summarized as 45 taxa: 18 families, 38 genera, 43 species and 2 varieties. There were 3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In an analysis of life forms, there were 2 taxa of megaphanerophytes, 1 taxa of nanophanerophytes, 3 taxa of chamaiphytes, 7 taxa of hemicryptophytes, 1 taxa of geophytes and 31 taxa of therophytes. The urbanized and naturalized indices were 16.6% and 25.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 analysis by vertical structures showed that naturalized plants included 30 taxa upstream, 42 taxa midstream and 32 taxa downstream. For the urbanized index, upstream was 11.1%, 15.5% in midstream and 11.8% in downstream. For the naturalized index, upstream was 21.7%, 33.3% in midstream and 37.2% in downstream. An analysis of crossing structures showed at taxa of 39 naturalized plants on bank. 30 taxa along the riverside and 7 in the water. For the urbanized index, banks were 14.4%, riverside 11.1% and waterside 2.6% while the naturalized index included 30.5% on the banks, 30.6% along the riverside and 20.0% in the water. As regards the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because Re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they need to be efficiently controlled.

Flood Level Estimation of the Yeongcheon River using Hydraulic Model in July 2006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한 2006년 7월 영천강 홍수위 산정)

  • Chu, Hyun-Jae;Yoon, Kwang-Seok;Song,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82-1286
    • /
    • 2007
  • 우리나라는 매년 여름 발생하는 집중호우로 인해 해마다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집중호우 발생으로 인한 홍수로 인해 홍수범람, 제방붕괴 등이 발생할 경우 그 피해는 실로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피해 발생 이전에 충분한 준비를 통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방지를 준비해야 한다. 지난 2006년 7월 전국적인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남강의 지류인 영천강 유역에서도 제방의 월류 붕괴로 인한 제내지 범람 피해가 다수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7월 태풍 에위니아 내습시 낙동강수계 남강 유역에 발생한 홍수피해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위를 추정하였다. 영천강은 남강 제1지류이며 남강하구에서 63.0 km 지점인 진양군 문산면 소문리에서 남강에 합류되고 있으며 유로연장은 35 km 이다. 수리학적 모형을 통해 홍수위와 같은 기본적인 수리량의 산정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영천강 유역의 제방붕괴 원인 및 홍수범람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뿐만 아니라 상류 유역에 대한 1차원 수리학적 모형의 적용과 관련하여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of Levee Safety Using Electrical Surveys (하천제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 Yoon, Jong-Ryeol;Kim, Jin-Man;Choi, Bong-Hyuck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8 no.2
    • /
    • pp.53-61
    • /
    • 2005
  • 2-D and 3-D resistivity surveys were carried out at the Deok-In2 levee during the period of arid and rainy seasons to assess the waterproof effectiveness of sheet pile and routing sections and detect the location of pipings. Inverted resistivity sections clearly indicated the boundaries of sheet pile and grouting sections and the locations of pipings observed at the ground surface. It is necessary that proper survey parameters are determined considering inverted depth and resolution and contacting resistance is decreased to obtain favorable result.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lood Inundation Area using Numerical Models (수치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지역의 수리특성 분석)

  • Jun Kye Won;Ahn Sang Jin;Yeon In Sung;Choi Byu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54-11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여름 전국을 강타한 태풍 '루사'에 의한 집중호우와 관련하여 충북 영동군 일원에 발생한 하천범람에 따른 침수피해에 대해 하천의 수위 상승과 하천변 제내지의 침수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홍수유출량 산정에 HEC-HMS모형과 HEC-GeoHMS모형을 사용하였고, 외수위 변동을 해석하기 위해서 HEC-RAS를 이용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침수구역의 수리특성과 하상변동, 유사분포 모의를 위해 RMA2, SED2D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하천범람시 유속은 $2.6m/sec\~3.4m/sec$ 분포를 나타내었고, 하상변동의 경우 제방에 근접한 곳에서 제방 절개부와 가까운 지역은 $0.15m\~0.17m$정도 유사가 퇴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Techniques of Levee Safety (하천제방의 안전성 평가기법 연구)

  • Yoon Jong-Ryeol;Kim Jin-Man;Choi Bong-Hyuck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11-116
    • /
    • 2005
  • 2-D and 3-D resistivity surveys were carried out at the Deok-In2 levee during the period of arid and rainy seasons to assess the waterproof effectiveness of sheet pile and grouting sections and detect the location of pipings. Inverted resistivity sections clearly indicated the boundaries of sheet pile and grouting sections and the locations of pipings observed at the ground surface. Besides, GPR surve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ar cavity of culvert in levee which is thought to be the major cause of levee breakdown, But the quality of GPR data was very poor due to the steel reinforcements buried in the culvert. Because it is not easy to apply various geophysical surveys upon concrete structures, newly designed hydraulic response test was proposed to assess the continuity of rear cavity of culvert in this study.

  • PDF

Characteristics of Flow for Optimal Interval of Groynes (수제설치 간격에 따른 흐름특성)

  • Kim, Keun-Yeong;Park, Hyo-Gil;Chun, Do-Seok;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43-847
    • /
    • 2009
  • 본 연구는 가상하도에서의 합리적인 수제공 설계 근거를 확립하기 위하여, 가상하도에서 수제설치 간격에 따른 수제군 주변의 유속 및 벡터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제는 하천에서의 흐름을 하도 중앙으로 집중시켜 일정수심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하안 및 제방의 보호 및 유로제어를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근래 하천정비사업에는 견고한 재료로 하안을 피복하는 호안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침식퇴적작용을 억제하고 하안을 고착화, 단순화 시켜왔다. 또한, 최근 자연생태계 복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하천정비사업에서도 자연친화적인 기법적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수제 서리에 있어서 하천의 흐름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수제를 올바르게 이용하지 못하는 예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하도에서 수제설치 간격에 따른 수제군 주변의 흐름특성을 수제공의 수리학적 원리를 통해 수제설치간격에 따른 수제군 주변의 흐름특성을 비교 분석하겠다.

  • PDF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lood Damage (기후변화가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 평가)

  • Kang, Dong Ho;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35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에 따른 제방 붕괴로 인한 하천 범람 등 많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내수침수, 도시하천의 범람은 피해 지역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액을 동반한다. 이에 도심지에서 발생되는 홍수피해액을 산정하기 위하여 다차원법을 이용한 피해액 추정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피해에 관련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다차원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침수편입률 산정에 있어 건물군 인벤토리를 고려하지 않고 토지이용에 따른 면적비율만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건물군 인벤토리를 이용하여 미래 잠재홍수피해에 따른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여 기후변화가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으로 2020년부터 국가하천으로 승격되며 하천의 좌안과 우안에 도심지가 형성되어있는 원주천 유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13종 국가표준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SDQDM 기법을 적용하여 상세화 자료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자료를 이용하여 원주천 하천정비계획(80년 빈도) 보다 높은 80년, 100년, 2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확률강우에 따른 유출량을 산정하여 홍수범람모형에 적용하였다. 산정된 홍수피해면적과 원주시 건물군 인벤토리를 활용하여 침수편입률을 산정하였으며 미래 잠재홍수피해에 따른 빈도별 홍수피해액 산정을 통해 원주천 유역의 기후변화가 따른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amjin-river Estuarine Ecosytem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특성 분석 연구)

  • Lim, Jeongcheol;Kim, Taes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2
    • /
    • pp.181-189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ynamics and distributional condition of biological community and to suppor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stuarine ecosystem management by using the intensively surveyed results by each taxon experts around Tamjin river. We analyzed the biological diversity, abundance, correlation among speci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bout 11 taxa groups including vegetation, fish, birds, mammals, etc. in the Tamjin river estuarine ecosystem. We classified vegetation types into 7 physiognomic types and 18 communities according to habitat conditions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salinity. In total, 1125 species including 9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were identified in research area.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taxon were corresponded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ine ecosystem. Especially, the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riv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low rate, salinity, and soil. Despite the disturbance factors such as barrage and levees, the biodiversity and its distribution were evaluated to be high level under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loss or reduction of wildlife habitat due to reclamation, embankment, barrag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farmland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threat to the diversity and health of the local eco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cope with various development pressure and damage crisis of the whole estuaries including Tamjin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