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젖산농도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6초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이행재;최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8-157
    • /
    • 2005
  • 국내산 야생9차를 발효정도에 따라 몇 단계의 발효차를 제조하여 일반세균, 젖산균 및 효모 총 8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항균활성 물질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 에탄올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 야생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 해농도는 그람양성균에서는 B. subtilis가 0.2 mg/mL로 가장 낮았고, 그람음성균에서는 P fuorescens가 0.3∼0.5 mg/ mL로 가장 낮았으며, 젖산균과 효모는 1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불발효차인 녹차에 비하여 항균활성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항균효과가 더 높았다. 차 항균활성 물질의 열 및 pH 안정성 은 50∼121$^{\circ}C$ 및 pH 3∼11까지 각 균주의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나 녹차, 반발효차, 발효차 모두 열과 pH에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차 에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결과 물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에틸아세 테이트 분회물, 에테르 분획물의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적었으며, 발효도가 높은 국내산 강발효차와 중국산 홍차의 경우 에테르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p.의 항헬리코박터 활성 평가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Gajami Sikhae)

  • 배은영;조기운;정성근;조영제;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0-2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전통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LAB에 의한 H. pylori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40종의 LAB는 L. plantarum, L. brevis, Lc. mesenteroides, and W. paramesenteroides 등으로 확인되었다. 40종의 LAB중 liquid inhibition assay에 의해 H. pylori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10 종류의 젖산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젖산균 배양액을 1%, 5%, and 10% 농도로 적용하였을 때 H. pylori 52, 51, e-53와 309에 대해서 생육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LAB 배양 상등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여 적용시켰을 LAB 10 종류 모두 5%와 10%의 농도에서 H. pylori 52와 LAB 7 종류의 10% 농도에서 H. pylori e-53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것은 또한 urease 활성을 억제시키는 영향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L. plantarum spp., L. brevis spp., Lc. mesenteroides spp., W. paramesenteroides spp. 등에 의해 H. pylori가 제균되거나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흑미를 이용한 무증자 유색주의 제조와 품질 (Preparation and Quality of Uncooked-Colored Wine Using Black Rice)

  • 김순동;김미향;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4-230
    • /
    • 2000
  • 흑미와 glucoamylasc를 이용한 무증자 유색주의 제조와 품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미에 대한 흑미의 혼합비율을 검토하였다. 흑미를 20~100% 범위로 첨가하여 만든 유색주는 백미만으로 만든 술에 비하여 효모 및 젖산균의 생육도가 높았으며 잔당의 함량이 낮았다. 또 흑미의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pH와 알코올 생성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유색주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농도는 백미주에 비하여 낮았으나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높았으며 fusel유의 함량은 낮았다. 유색주의 색상은 흑미를 20% 첨가하였을 때는 연한 적색을 띠었으나 80% 이상 첨가시는 너무 진한 척색을 띠었다. 색상 및 냄새에 대한 기호도와 관능적 품질 및 주요 품질평가 지표로서 잔당의 함량, 알코올 농도, fusel유의 함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흑미의 적정 혼합율은 40~60%이었다.

  • PDF

포도당으로 Perfusion한 쥐의 다리근육에 운동(運勳)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Rat Skeletal Muscle Perfused with Glucose)

  • 조성희;윤재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7-443
    • /
    • 1984
  • 포도당으로 perfusion한 쥐의 뒷다리 근육에 전기자극으로 근육운동을 유도하여 대사물의 농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근육내의 구연산회로대사물, 피루빅산, 젖산등의 농도가 상당히 증가하였고 알라닌, 글루타믹산, 아스파틱산등의 아미노산은 약간 증가하였고, 크레아틴 포스페이트, ATP의 농도가 급강하 한데 반하여 AMP와 암모니아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운동시에 에너지대사를 촉진시키는 구연산회로 대사물 일부는 아미노산으로부터 transamination 반응을 통하여 공급되고, 일부는 purine nucleotidecycle반응을 통하여 아스파틱산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밝혔다.

  • PDF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hloride Salts and Organic Acid Salt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 이나영;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33-1238
    • /
    • 2003
  •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할 때 6종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Bioscreen C(600 nm)를 이 용하여 시험 하였다. E. cereus는 sodium chloride 7% 또는 potassium chloride 9% 처리시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Calcium chloride는 3% 농도에서 E. coli O157:H7과 S. aureus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Magnesium chloride는 5% 농도에서 B. cereus, S. Typhimurium 및 S.aureus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는 calcium propionate>calcium acetate>calcium lactate 순으로 나타났다. S. Typhimurium은 calcium chloride 단독 처리 할 때는 5% 이상 농도에서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chloride 3%와 젖산 0.01%를 병용할 때 같은 효과가 나타나 단독 사용할 때 보다 병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어류 사료 첨가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with fermented product from sewage in land-based seawater fish farm on haematological factor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강주찬;지정훈;송승엽;문상욱;강지웅;이영돈;김세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6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양식어류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육상수조식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어류 사료 첨가에 따른 혈액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젖산균 및 효모를 사용하여 발효한 양식장 배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발효물을 0.1, 0.5, 1.0 및 5.0% 농도로 8주간 투여하였다. 투여 4주째 및 8주째에 각 투여 구간별로 혈액학적 항목을 중심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배출물 발효농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석시기에 따른 적혈구수, 혈색소 농도 및 혈색소 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주요 혈청 무기 및 유기성분은 배출 발효물 농도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청 효소학적 조사에서는 조사시기별로 변동은 나타났지만, 동일 조사시기에서 각 구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육상 양식장 유래의 배출물 발효산물에 대한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진행되어야겠다.

김치 부재료가 젖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Minor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11-520
    • /
    • 1995
  • 파, 마늘, 생강, 적생고추, 고추가루의 멸균 추출액의 농도가 2%와 4%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에서 김치의 주된 젖산균들인 Leu. mesenteroides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부재료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마늘은 이 균에의 저해효과가 가장 컸으며, 생강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에 증진 효과를 보였고, 마늘이 역시 Leu. mesonteroides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마늘, 생강 및 고추가루의 연속분획추출 후 멸균액을 배지에 첨가해 역시 두균의 생육정도를 조사하였을 때 마늘의 부탄을 분획물이 두균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보여 그 효과물질은 alkaloid나 flavonoid일 것으로, 또 생강과 고추가루의 물 분획물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 촉진 효과를 나타낸 바 그 효과물질은 당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키토산을 이용한 김치의 숙성지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longing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ng Chitosan)

  • 서정숙;방병호;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0-65
    • /
    • 2004
  • 고분자 키토산(분자량 약 800,000)을 농도별(0%, 0.1%, 0.2%, 0.3%)로 김치를 제조하여, pH, 적정산도, 총 균수, 젖산균 수, 대장균군 수 및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키토산 첨가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pH 저하 및 적정산도의 증가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숙성지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키토산 첨가(0.3%) 김치는 숙성 6에서 9일까지 대조구에 비하여 총 균수와 젖산균수가 약 1.3 log(cfu/g)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15일 후 대장균군 수는 시간과 더불어 그 수가 모든구에서 1.6∼2.3 log(cfu/g)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관능검사 결과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와 0.1% 첨가 김치는 유사한 선호도를 나타내어 0.1% 첨가 김치가 기능성과 보존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선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seudogobio esocinus (Cypriniformes) 젖산수소이탈효소 동질사량체들의 정제, 역학 및 면역화학 (Purification, Kinetics and Immunochemistry of Two Homotetrameric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Pseudogobio esocinlus (Cypriniformes))

  • 김명옥;염정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0-428
    • /
    • 1989
  • Pseudogobio esocinus의 심장, 신장 및 간 조직은 하부단위체 C를 함유하는 젖산수소이탈효소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부단위체 A 및 B에 대한 유전자들의 조직 발현은 다른 포유동물의 것과 유사하였으며 분자량은 140,000 정도로 추정되었다. Oxamate gel을 사용한 chromatography결과 A4 동위효소는 NAD+보다는 column buffer에 의해 용출되었다. B4 동위효소는 CM-Sepharose column을 사용하여 부붙 정제되었다. B4 동위효소는 물론 A4 동위효소도 고농도의 Pyruvate에 의해 저해되었다. A4 동위효소의 affinity chromatography 상 행동과 Pyruvate 저해 정도로 보아 A4 등위효소는 B4 동위효소 두 역학적으로 유사하다고 사료된다. P. esainus A4 동위효소에 대한 항체는 mouse A4 등위효소와 반응하지만 동종의 B4 동위 효소와는 반응하지 않는 특성으로 보아 하부단위체 B는 진화과정에서 보존성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Three tissues of heart, kidney and liver of a primitive cvprinid Pseudogobio esocinus were found to hav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5) containing subunit C. Tissue expressions of genes for subunits A and B were similar to those of mammalian species. Molecular weight of the isozymes were estimated to be 140,000 approximately. Affinity chromatography of the isozymes on the immobilized oxamate gel revealed that A4 isozyme was not elected in NAD+ but in column buffer. B4 isozune was isozpnatically purified by subjecting kidney extract to a CM-Sepharose column. Ae isozvme as well as B4 isozvme was inhibited by high concentrations of pyruvate. The affinity chromatographic behavior and susceptibility to pyruvate inhibition of the A4 isorpne suggest that A4 isozwne is similar to B4 isozyme kinetically. Antibodies against p. esocinus A4 isogyme reacted with mouse At isozyme but not with p. esocinus B4 isogyme, reflecting that subunit B is less conservative in its evolution.

  • PDF

고온에서의 점증적 최대운동시 매실함유 음료 밀 생수섭취에 따른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 변화의 비교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between Ingestion of Prunus mume Solution and Water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in Hot Environment)

  • 김기진;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56-362
    • /
    • 1999
  • Humans may lose considerable amounts of water and electrolytes from sweat during exercise in a hot climate. Optimal ingestion of fluid-replacement beverages may overcome an obstacle factor of exercise performance in the heat.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between ingestion of Prunus mume solution and water solution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using bicycle ergometer in the heat(ambient temperature of 31-32$^{\circ}C$ and relative humidity of 50-55%). Ten healthy no-heat-acclimatized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ercise duration until all-out of graded testing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786.15$\pm$47.66s)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Heart rate at 4 min during graded testing and recovery phase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t 30min of recovery phase after graded maximal exercise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Recovery rate of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t 15 min and 30 min of recovery phase after grated maximal exercise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ingestion of Prunus mume solution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acid-base regulation as compared with ingestion of water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and recovery phase in hot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