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확도분석

Search Result 6,15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Using SPOT Imagery (SPOT 위성영상(衛星映像)을 이용(利用)한 3차원(次元) 위치결정(位置決定)의 정확도(正確度) 향상(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 Yeu, Bock Mo;Cho, Gi Sung;Lee, Hyun J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1 no.4
    • /
    • pp.151-162
    • /
    • 1991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by analizing the accuracy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according to various data types and preprocessing levels of SPOT imagery and the acquisition method for ground control points, and to develop the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algorithm and program. In this study, the optimum polynomials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ccording to each preprocessing levels (level 1B; 15 variables, level 1AP, 1A; 12 variables) are determined. As a results, the accuracy of level lAP is the best in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accuracy of positioning, but level 1A which is digital image data form also shows similar positioning accuracy. Also, in level 1A image which have different acquisition method for ground control points, the accuracy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is highly improved. But, in case of low accuracy of ground control points, only introduction of additional parameters does not effect to the improvement of accuracy. Therefore simultaneous adjustment including blunder detection method should be adopted.

  • PDF

NDGPS 의 정적(靜的)및 동적(動的) 측위 정확도 분석 연구

  • Song, Geul-Jae;An, Hyo-Seung;Gong, Hyeo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90-93
    • /
    • 2007
  • 해양수산부에서 해양 DGPS기준국과 연계하여 전국망 위성항법보정시스템 (NDGPS) 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2008년도 춘천기준국이 설치 완료되면 우리나라 전역에서 실시간 DGPS 측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DGPS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DGPS 측위 정확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바, 실시간 DGPS 의 측위 정확도를 측정 ${\cdot}$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실시간 NDGPS 측위 정확도는 Static 측정에 있어 0.42m(RMS), 회전운동에 의한 Dynamic 측정시 0.48m(RMS)로 분석되었으며, RTK에 의한 비교 측정 ${\cdot}$ 분석도 병행하였다. 따라서 위성항법보정시스템 (DGPS)은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GIS구축사업 분야에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없으나 실시간 측위 정보를 필요로 하는 GIS활용 분야에서 DGPS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LANDSAT remotely sensed data's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 Using Standardiz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표준화 주성분 분석(Standardized PCA)을 이용한 LANDSAT 위성자료 분류 (Classification)의 정확도 향상)

  • 장훈;윤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51-15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LANDSAT ETM+ 수도권 영상을 이용하여 도시지역 10개소, 식생지역 10개소를 선정해서 각각에 대해 표준화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두 지역간의 고유벡터 매트릭스를 비교ㆍ분석해보았다. 도시 지역과 식생 지역각각에 대해 총 6개의 주성분이 생성되었으며 PC-2와 고유벡터 부호가 변한 밴드(band2, band7)를 RGB로 조합하여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분류(Classification)한 결과의 정확도를 분광서명 분별 분석(Signature Separability Analysis)통해 얻은 밴드조합(band1, band3, band5) 영상의 분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수원지역 2000년 IKONOS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4×4m)와 전정색 밴드(1x1m)를 융합한 영상이 분류 정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비교결과 분류 전체 정확도는 각각 87.7%, 77.29% Khat 지수는 0.83, 0.68로 나타나 PC-2, 밴드2, 밴드7을 이용했을 때 분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Accuracy Assessment of DTM by Airborne Laser Mapping System (항공 레이저 매핑 시스템에 의한 DTM 생성의 정확도 분석)

  • 김영배;서정헌;임삼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2
    • /
    • pp.105-110
    • /
    • 2002
  • For the accuracy assessment of DTM obtained by Airborne Laser Mapping Systems (ALMS), we selected 500 m spaced test points and analyze the accuracy of the DTM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GPS survey. To estimate the height at the point in between the test points of the DTM we produced a TIN, and to analyze the accuracy we use a GPS coverage map overlaid with the TIN.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DTM by ALMS is shown to be relatively accurate, and therefore, ALMS is applicable to 1/5000 digital terrain mapping.

A Cost Effective Reference Data Sampling Algorithm Using Fractal Analysis (프랙탈 분석을 통한 비용효과적인 기준자료추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창재;이병길;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9-154
    • /
    • 2000
  • 분류기법을 통해 얻어진 원격탐사 자료는 사용되기 이전에 그 정확성에 관한 신뢰도 검증을 해야 한다.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분류행렬(confusion matrix)을 사용하여 정확도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때 오분류행렬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준자료(reference data)에 대한 표본추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준자료의 표본을 추출하는 기법간의 비교 및 표본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난, 추출된 표본들간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정확도 평가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랙탈 분석을 통하여 기준자료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표본추출 기법과 정확도 차이 및 비용효과 측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랙탈 분석을 통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기법은 그 정확도 추정에 있어 기존적 표본 추출 기법과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추출된 화소들이 가까운 거리에 군집해 있어 비용효과측면에서 보다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 PDF

Accuracy Improvement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by using Cross-Section Velocity Distribution (횡단면 유속 분포를 이용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개선)

  • Yu, Kwon-Kyu;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98-1902
    • /
    • 2009
  • 영상 분석에서는 적절한 탐색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측정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탐색 범위는 흐름장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탐색 범위를 작게 잡을 경우 분석 시간이 절약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지나치게 작게 되는 경우는 오히려 유속 분포 추정에 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탐색 범위를 크게 잡을 경우에는 유속 분포 추정에 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분석 시간이 길게 되며 전반적인 정확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설정은 영상 분석의 정확도 향상에서 큰 관건이 된다. 실험실 수로의 경우 유속 분포에 대해 사전에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속이나 수위가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선정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현장 적용을 위한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의 경우, 수위와 유량이 급변하고 또한 수위에 따른 유속 분포의 변화가 매우 심하므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선정이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된 탐색 범위를 설정하여 일차적으로 유속 분포를 추정하고, 여기서 얻은 유속 분포에 기반하여 탐색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설정하고 재탐색을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유속 분포에 기반한 탐색 영역의 설정을 통하여 유속 분포 추정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수전교에서 2008년 7월 $23{\sim}24$일 동안의 영상 자료를 이용한 추정 결과, 추정 유량의 오차를 절반 정도 줄여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according to Interval Change between Images (영상간의 시간간격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

  • Kim, Seo-Jun;Yu, Kw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56-1960
    • /
    • 2010
  • 최근 이상홍수 및 하천정비 등으로 인해 갈수시 또는 홍수시 하천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량측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존 유량측정 방법은 고비용과 다수의 측정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전자장비를 이용한 비접촉식 유량측정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 중에 있다. 이 중 간편하고 측정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표면영상유속계(SIV, Surface Image Velocimetry)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표면영상유속계는 일정 시간 간격을 갖는 두 영상을 분석하여 유속을 계산하기 때문에 수표면이 움직이는 시간보다 두 영상 사이의 시간 간격을 길게 할 경우 잘못된 상관영역을 찾게 되어 유속 측정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영상간의 시간간격 변화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간의 시간간격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을 위해 현장에서 수면 요철이 발생하는 근경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내의 수면 움직임의 최소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대부분의 수면 요철은 0.1 ~ 0.2 초 내에서 발생하였다. 측정 결과 일반 캠코더를 이용하여 초당 최대 30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하천 표면유속을 측정한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Impact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Conceptual Cost Estimation Accuracy for Public Office Building (공공청사 개산견적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사비 영향요인 분석)

  • Jo, Yeong-Ho;Yun, Seok-H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5
    • /
    • pp.495-506
    • /
    • 2021
  • A Conceptual cost estimate, which is computed in the preliminary step of a project, is important for decision-making by a contractor in terms of the project budget, economic feas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alternative comparisons. Therefore, a high error rate of a prediction model for a conceptual cost estimate can lead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excessive project expenditures and a delayed break-even point. this study proposed optimal impact factors by configuring quantitative impact factors computable in a preliminary step in various cases(combinations of impact factors). subsequently, the accuracy of different cases was comparatively analyzed by using the cases as input values of a prediction model using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optimal combination of impact factors proposed in this study and other combination of impact factors were applied to the prediction model, the regression analysis-based prediction model exhibited 0.2-4.7% improvements in accuracy, respectively. the optimal combination of impact factors propos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of a conceptual cost estimate by removing unnecessary impact factor.

Accuracy Analysis of SBAS Satellite Orbit and Clock Corrections using IGS Precise Ephemeris (IGS 정밀궤도력을 이용한 SBAS 위성궤도 및 시계보정정보의 정확도 분석)

  • Jeong, Myeong-Sook;Kim, Jeong-R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3 no.2
    • /
    • pp.178-186
    • /
    • 2009
  •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provides GNSS satellite orbit and clock corrections for positioning accuracy improvement of GNSS users. In this paper, the accuracy of SBAS satellite orbit and clock corrections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precise ephemeris. The GPS antenna phase center offsets and the P1-C1 bias a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The correction data of the US WAAS and the Japanese MSA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BAS satellite orbit and clock corrections are highly correlated. The correction data accuracy depends on the SBAS ground network size and orbit trajectories.

  • PDF

Accuracy Evaluation of Critical Rainfall for Inundation Using ROC Method (ROC 기법을 이용한 침수유발 한계강우량 정확도 산정)

  • Chu, Kyung Su;Lee, Seok Ho;kang, Dong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7-367
    • /
    • 201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호우 및 태풍의 빈도가 빈발하고 및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홍수피해규모는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지역의 호우로 인한 침수유발 강우량을 산정하는 기법의 정확도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ROC(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포형 홍수해석 모형인 S-RAT 모형과 2차원 침수해석 모형 FLO-2D을 커플링하여 호우로 인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강우시나리오는 설계 강우 200mm의 강우를 10% 간격으로 증가시켜 강우량 대비 침수심 자료를 모의하였다. 모의한 침수심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 격자를 $1km{\times}1km$ 별 강우량-침수심 관계곡선식을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하여 특정 침수심(20cm)을 유발시키는 강우량(한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정확도 산정은 ROC(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침수 유무의 적중률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용하여 AUC(Area Under the Curve)의 점수로 정확도를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한계강우량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2011년 7월의 사당역 일대 침수사례를 이용하였다. 실제 침수정보가 없어 실제 호우사상과 실제 하수관망을 고려할 수 있는 SWMM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ROC는 약 0.7로 나타났으며 5 단계의 구분에서 Fair 단계로 적정 수준의 정확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